반응형 일반화학/[20장] 전기화학316 redox balance. C3H8 + O2 → CO2 + H2O redox balance. C3H8 + O2 → CO2 + H2O산화-환원 반응 완성하기. C3H8 + O2 → CO2 + H2O ---------------------------------------------------▶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산성 용액)[ https://ywpop.tistory.com/4264 ]--------------------------------------------------- 1. 반쪽 반응식 나누기산화: C3H8 → CO2 (C의 산화수는 –(8/3)에서 +4로 증가, C3H8은 산화됨.)환원: O2 → H2O (O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감소, O2는 환원됨.)( 참고: C3H8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9711 .. 2022. 4. 14. redox balance. NO2 → NO3^- + NO (acidic) redox balance. NO2 → NO3^- + NO (acidic) 산화-환원 반응 완성하기. NO2 → NO + NO3^- --------------------------------------------------- ▶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산성 용액) [ https://ywpop.tistory.com/4264 ] --------------------------------------------------- 1. 반쪽 반응식 나누기 산화: NO2 → NO3^- (N의 산화수는 +4에서 +5로 증가, NO2는 산화됨.) 환원: NO2 → NO (N의 산화수는 +4에서 +2로 감소, NO2는 환원됨.) > NO2 is both an oxidizing and a reducing agent.. 2022. 4. 8. Fe^3+/Fe^2+ 및 Cu^2+/Cu 전지의 표준기전력 Fe^3+/Fe^2+ 및 Cu^2+/Cu 전지의 표준기전력 Fe^3+/Fe^2+ 및 Cu^2+/Cu^0로 구성되어 있는 가상전지에서 얻을 수 있는 전위는? 단, 표준환원전위는 다음과 같다. Fe^3+ + e^- → Fe^2+ ... E° = 0.771 V Cu^2+ + 2e^- → Cu^0 ... E° = 0.337 V --------------------------------------------------- E°cell = E°red(환원전극) – E°red(산화전극) = (환원된 물질의 표준환원전위) – (산화된 물질의 표준환원전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558 ) = (0.771 V) – (0.337 V) = 0.434 V 답: 0.434 V [참고] 기전력은 .. 2022. 3. 10. 0.1 M Fe^2+ 50 mL를 0.1 M Tl^3+로 적정. 당량점에서 전위(V) 0.1 M Fe^2+ 50 mL를 0.1 M Tl^3+로 적정. 당량점에서 전위(V) 0.1 M의 Fe^2+ 50 mL를 0.1 M의 Tl^3+로 적정한다. 반응식과 각각의 표준환원전위가 다음과 같을 때 당량점에서 전위(V)는 얼마인가? > 2Fe^2+ + Tl^3+ → 2Fe^3+ + Tl^+ > Fe^3+ + e^- → Fe^2+ ... E° = 0.77 V > Tl^3+ + 2e^- → Tl^+ ... E° = 1.28 V --------------------------------------------------- Fe^2+의 몰수를 계산하면, (0.1 mmol/mL) × 50 mL = 5 mmol Fe^2+ 2Fe^2+ + Tl^3+ → 2Fe^3+ + Tl^+ Fe^2+ : Tl^3+ = 2 :.. 2022. 2. 26. redox K2Cr2O7 + SnCl2 redox K2Cr2O7 + SnCl2 다음 반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K2Cr2O7 + 3SnCl2 + 14HCl → 2CrCl3 + 3SnCl4 + 2KCl + 7H2O --------------------------------------------------- ▶ 이런 문제는 반응 전/후 산화수가 변한 원자를 찾으면 된다. ▶ 산화 반쪽 반응 > 3Sn^2+ → 3Sn^4+ + 6e^- > Sn의 산화수는 +2에서 +4로 증가, Sn은 산화되었다. > SnCl2 is a reducing agent (환원제). ▶ 환원 반쪽 반응 > 2Cr^6+ + 6e^- → 2Cr^3+ > Cr의 산화수는 +6에서 +3으로 감소, Cr은 환원되었다. > K2Cr2O7 is an oxidizing ag.. 2022. 2. 14. 산화수법. MnO4^- + Cl^- + H^+ → Mn^2+ + Cl2 + H2O 산화수법. MnO4^- + Cl^- + H^+ → Mn^2+ + Cl2 + H2O redox balance. MnO4^- + Cl^- + H^+ → Mn^2+ + Cl2 + H2O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 https://ywpop.tistory.com/2719 ] --------------------------------------------------- [1] 산화수가 변한 원자를 확인한다. 산화: Cl^- → Cl2 > Cl의 산화수는 –1에서 0으로, 1만큼 증가, Cl^-는 산화됨. > 단, Cl2에서 Cl이 2개이므로, 전체 산화수는 2만큼 증가. 환원: MnO4^- → Mn^2+ >.. 2022. 2. 5. 기전력과 평형상수 Cd + Sn^2+ 기전력과 평형상수 Cd + Sn^2+ 25℃에서 다음 반응의 평형상수는? Cd(s) + Sn^2+(aq) → Cd^2+(aq) + Sn(s) --------------------------------------------------- ▶ 표준 환원 전위 > Cd^2+ + 2e^- → Cd ... E° = –0.40 V > Sn^2+ + 2e^- → Sn ... E° = –0.14 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27 ) E°cell = E°red(환원전극) – E°red(산화전극) = (환원된 물질의 표준환원전위) – (산화된 물질의 표준환원전위) = (–0.14) – (–0.40) = 0.26 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558 ) 표준 기.. 2022. 1. 29. 반쪽 반응 갈바니 전지. MnO4^- + Sn^4+ 반쪽 반응 갈바니 전지. MnO4^- + Sn^4+ 다음 반쪽 반응을 이용하는 갈바니 전지를 고려해 보자. > MnO4^- + 8H^+ + 5e^- → Mn^2+ + 4H2O > Sn^4+ + 2e^- → Sn^2+ a) 전체 전지 반응의 균형 반응식 b) 산화제와 환원제 c) 표준 전지 전위 --------------------------------------------------- ▶ 전체 전지 반응의 균형 반응식 5Sn^2+ + 2MnO4^- + 16H^+ → 2Mn^2+ + 5Sn^4+ + 8H2O ( 참고: 이온-전자법 https://ywpop.tistory.com/6537 ) ( 참고: 산화수법 https://ywpop.tistory.com/20143 ) ▶ 반쪽 반응식 > 산화: 5Sn^2+.. 2022. 1. 28. 농도차 전지. 0.0600 M Zn(NO3)2 아연 전극의 전위(V) 농도차 전지. 0.0600 M Zn(NO3)2 아연 전극의 전위(V) 25℃에서 아연(Zn)의 표준전극전위가 다음과 같을 때 0.0600 M Zn(NO3)2 용액에 담겨 있는 아연 전극의 전위(V)는? Zn^2+(aq) + 2e^- → Zn(s) ... E° = –0.763 V --------------------------------------------------- ▶ 참고: 농도차 전지 [ https://ywpop.tistory.com/9626 ] --------------------------------------------------- Zn^2+(aq) + 2e^- → Zn(s) ---> n = 2 농도차 전지의 기전력 E = E° – (0.0592 V / n) log([묽은 농도]/[진한 농도.. 2022. 1. 23. CuSO4(aq) 전기분해 1.0 A 32분 10초 CuSO4(aq) 전기분해 1.0 A 32분 10초 백금 전극을 이용하여 황산구리(II)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였다. 1.0 A 전류를 32분 10초 통할 때 음극(cathode)의 질량은 몇 g 변하는가? --------------------------------------------------- 구리의 환원반응 Cu^2+(aq) + 2e^- → Cu(s) ---> 이동한 전자의 몰수 = 2 Q = It = (1.0) (32×60 + 10) = 1930 C “1930 C → 전자의 몰수 → 구리의 몰수 → 구리의 질량” 순으로 환산하면, (1930 C) (1 mol / 96500 C) (1 mol Cu / 2 mol e^-) (63.55 g / 1 mol) = (1930) (1 / 96500) (1 / 2.. 2022. 1. 2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