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8장] 환경화학31

최대 오염 농도 기준 목표와 최대 오염 농도. MCLG와 MCL 최대 오염 농도 기준 목표와 최대 오염 농도. MCLG와 MCL ▶ 최대 오염 농도 기준 목표 또는 최대 오염허용 목표치 > Maximum Contaminant Level Goal, MCLG > 알려지거나 예상 가능한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음용수 내 오염물질의 한곗값을 말합니다. > MCLG는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책정합니다. > 건강에 위험하다고 알려지거나 기대되지 않는 수치 이하의 식수 내 오염물질 수준. > MCLG는 미 환경국이 설정합니다. ▶ 최대 오염 농도 또는 최대 오염허용치 > Maximum Contaminant Level, MCL > 음용수에서 허용되는 오염물질의 최대농도를 말합니다. > MCL은 기술적으로 최대한 MCLG에 근사하게 책정합니다. > 식수에 허용되는 오염물질의 최대치... 2024. 4. 7.
Chemical weathering. 화학적 풍화 Chemical weathering. 화학적 풍화 ▶ Chemical weathering의 사전적 의미 > the erosion or disintegration of rocks, building materials, etc., caused by chemical reactions (chiefly with water and substances dissolved in it) rather than by mechanical processes. > 기계적 과정이 아닌 화학 반응(주로 물과 물에 용해된 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암석, 건축 자재 등의 침식 또는 붕괴. ▶ Chemical weathering is caused by rain water reacting with the mineral grains in.. 2024. 3. 19.
대기 오염 물질과 오존의 반응 대기 오염 물질과 오존의 반응 자동차와 화력 발전소에서 배출된 오염 물질과 대기 중 오존의 화학 반응식 --------------------------------------------------- NO + O3 → NO2 + O2 NO(g) + O3(g) → NO2(g) + O2(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990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082 ) [키워드] NOx 기준문서 2023. 7. 12.
광화학 산화물. H2SO4의 생성 광화학 산화물. H2SO4의 생성 --------------------------------------------------- [1] O2 + hν(자외선) → 2O ( 참고: 광분해 https://ywpop.tistory.com/7350 ) [2] SO2 + O → SO3 [3] SO3 + H2O(대기 중 수분) → H2S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568 ) [키워드] 황산 산성비 기준문서, 광분해 기준문서 2022. 8. 29.
산성화된 호수에 석회를 뿌려서 중화시키는 화학 반응식 산성화된 호수에 석회를 뿌려서 중화시키는 화학 반응식 --------------------------------------------------- ▶ 석회: CaO 또는 Ca(OH)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683 ) ▶ 산성비의 원인 물질: H2SO4, HN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568 ) ▶ 산성화된 호수에 존재하는 H^+ 이온과 Ca(OH)2의 산-염기 반응 2H^+(aq) + Ca(OH)2(aq) → Ca^2+(aq) + 2H2O(l) > H2SO4 + Ca(OH)2 → CaSO4 + 2H2O > 2HNO3 + Ca(OH)2 → Ca(NO3)2 + 2H2O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602 .. 2021. 11. 22.
과잉염소처리법. super chlorination 과잉염소처리법. super chlorination --------------------------------------------------- ▶ 과잉 염소 처리법 = 불연속점 염소 처리법 = 파과점 염소 소독법 ▶ 암모니아를 함유한 우물이나 정수장에 염소를 주입하면 두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클로라민(chloramine)이 형성되고, 클로라민 잔류염소량은 주입염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염소와 암모니아의 몰(mol) 비율이 1:1인 시점에 최대가 된다. 이 지점을 지나 염소를 계속 주입하면 암모니아의 산화와 염소의 환원작용을 통해 잔류염소량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몰 비율이 2:1인 경우 극소량으로 내려간다. 이 점을 불연속점(break point)이라고 하며, 주입한 염소량을 ‘염소요구량’이라 한다... 2021. 10. 17.
에어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이유 에어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이유 --------------------------------------------------- 에어컨 자체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에어컨의 냉매로 수소불화탄소(HFC)가 사용되는데, 이 수소불화탄소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에어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다고 하는 것입니다. [참고] 가정에서 에어컨을 사용할 때 전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화력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 때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컨은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한다.”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관련 기사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51567.html ] 지구촌 에어컨 9억대…에.. 2021. 8. 6.
에어컨과 지구온난화 에어컨과 지구온난화 에어컨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는 이유 --------------------------------------------------- 냉매로 사용되는 수소불화탄소(HFC) 때문입니다. ( 참고: 오존층 파괴 https://ywpop.tistory.com/7403 ) 수소불화탄소는 기체 상태이므로, 에어컨 제작, 사용(이동설치), 폐기 과정에서 공기 중으로 누출될 수 있습니다. 공기 중에서 수소불화탄소는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관련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10505001000072 ] 미국, 에어컨 냉매 규제 예고…15년 내 85% 감축 기후변화 대책으로 프레온 가스 대체품 HFC도 사용.. 2021. 8. 6.
수질오염의 정의. 수질오염이란? 수질오염의 정의. 수질오염이란? ▶ 수질오염(water pollution)이란 인간의 활동결과 발생한 폐수가 호수, 강, 해양, 지하수 등에 유입되어 수질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 ▶ 물이 자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이 상호연관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하여 분화됨으로써 물 이용상의 지장을 초래하거나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여 수중생물에 영향을 주는 상태로 변화하는 것으로, 좁게는 주로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에 의하여 병원성미생물 또는 기생충 등이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고, 공중 보건상 위해를 일으키는 등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말한다. 넓게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수중에 부패성 물질, 유독성 물질 및 부유물질 등 물 이외의 이물질이 혼입됨으로써 생활, 농업, 공업, 수산 등 용수 .. 2021. 4. 7.
pH 5.6 산성비의 pOH, [H^+], [OH^-] 계산 pH 5.6 산성비의 pOH, [H^+], [OH^-] 계산 산성비의 기준은 pH 5.6 이하이다. 산성비의 pOH, [H^+], [OH^-]를 계산하시오. --------------------------------------------------- ▶ 참고: pH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706 ] pOH = 14 – pH = 14 – 5.6 = 8.4 pH = –log[H^+] = 5.6 이므로, [H^+] = 10^(-5.6) = 2.5×10^(-6) M pOH = –log[OH^-] = 8.4 이므로, [OH^-] = 10^(-8.4) = 4.0×10^(-9) M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178 ] 산성비의 정의. 산성비의 기준 2021.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