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8장] 환경화학22

광화학 산화물. H2SO4의 생성 광화학 산화물. H2SO4의 생성 --------------------------------------------------- [1] O2 + hν(자외선) → 2O ( 참고: 광분해 https://ywpop.tistory.com/7350 ) [2] SO2 + O → SO3 [3] SO3 + H2O(대기 중 수분) → H2S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568 ) [키워드] 황산 산성비 기준문서, 광분해 기준문서 2022. 8. 29.
산성화된 호수에 석회를 뿌려서 중화시키는 화학 반응식 산성화된 호수에 석회를 뿌려서 중화시키는 화학 반응식 --------------------------------------------------- ▶ 석회: CaO 또는 Ca(OH)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683 ) ▶ 산성비의 원인 물질: H2SO4, HN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568 ) ▶ 산성화된 호수에 존재하는 H^+ 이온과 Ca(OH)2의 산-염기 반응 2H^+(aq) + Ca(OH)2(aq) → Ca^2+(aq) + 2H2O(l) > H2SO4 + Ca(OH)2 → CaSO4 + 2H2O > 2HNO3 + Ca(OH)2 → Ca(NO3)2 + 2H2O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602 .. 2021. 11. 22.
과잉염소처리법. super chlorination 과잉염소처리법. super chlorination --------------------------------------------------- ▶ 과잉 염소 처리법 = 불연속점 염소 처리법 = 파과점 염소 소독법 ▶ 암모니아를 함유한 우물이나 정수장에 염소를 주입하면 두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클로라민(chloramine)이 형성되고, 클로라민 잔류염소량은 주입염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염소와 암모니아의 몰(mol) 비율이 1:1인 시점에 최대가 된다. 이 지점을 지나 염소를 계속 주입하면 암모니아의 산화와 염소의 환원작용을 통해 잔류염소량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몰 비율이 2:1인 경우 극소량으로 내려간다. 이 점을 불연속점(break point)이라고 하며, 주입한 염소량을 ‘염소요구량’이라 한다... 2021. 10. 17.
에어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이유 에어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이유 --------------------------------------------------- 에어컨 자체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에어컨의 냉매로 수소불화탄소(HFC)가 사용되는데, 이 수소불화탄소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에어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다고 하는 것입니다. [참고] 가정에서 에어컨을 사용할 때 전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화력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 때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컨은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한다.”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관련 기사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51567.html ] 지구촌 에어컨 9억대…에.. 2021. 8. 6.
에어컨과 지구온난화 에어컨과 지구온난화 에어컨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는 이유 --------------------------------------------------- 냉매로 사용되는 수소불화탄소(HFC) 때문입니다. ( 참고: 오존층 파괴 https://ywpop.tistory.com/7403 ) 수소불화탄소는 기체 상태이므로, 에어컨 제작, 사용(이동설치), 폐기 과정에서 공기 중으로 누출될 수 있습니다. 공기 중에서 수소불화탄소는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관련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10505001000072 ] 미국, 에어컨 냉매 규제 예고…15년 내 85% 감축 기후변화 대책으로 프레온 가스 대체품 HFC도 사용.. 2021. 8. 6.
수질오염의 정의. 수질오염이란? 수질오염의 정의. 수질오염이란? ▶ 수질오염(water pollution)이란 인간의 활동결과 발생한 폐수가 호수, 강, 해양, 지하수 등에 유입되어 수질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 ▶ 물이 자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이 상호연관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하여 분화됨으로써 물 이용상의 지장을 초래하거나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여 수중생물에 영향을 주는 상태로 변화하는 것으로, 좁게는 주로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에 의하여 병원성미생물 또는 기생충 등이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고, 공중 보건상 위해를 일으키는 등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말한다. 넓게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수중에 부패성 물질, 유독성 물질 및 부유물질 등 물 이외의 이물질이 혼입됨으로써 생활, 농업, 공업, 수산 등 용수 .. 2021. 4. 7.
pH 5.6 산성비의 pOH, [H^+], [OH^-] 계산 pH 5.6 산성비의 pOH, [H^+], [OH^-] 계산 산성비의 기준은 pH 5.6 이하이다. 산성비의 pOH, [H^+], [OH^-]를 계산하시오. --------------------------------------------------- ▶ 참고: pH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706 ] pOH = 14 – pH = 14 – 5.6 = 8.4 pH = –log[H^+] = 5.6 이므로, [H^+] = 10^(-5.6) = 2.5×10^(-6) M pOH = –log[OH^-] = 8.4 이므로, [OH^-] = 10^(-8.4) = 4.0×10^(-9) M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178 ] 산성비의 정의. 산성비의 기준 2021. 4. 2.
제18장 환경화학. 목차 ★ 제18장 환경화학. 목차 Chemistry of the Environment --------------------------------------------------- ▶ 참고: 일반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971 ] --------------------------------------------------- ▶ 환경공학의 5개 분야 (&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 대기 환경; 대기환경기사 > 수질 환경; 수질환경기사 > 폐기물 처리; 폐기물처리기사 > 소음/진동; 소음진동기사 > 토양/지하수/해양 환경; 토양환경기사 / 해양환경기사 18.1 지구의 대기. Earth’s Atmosphere [ https://ywpop.tistory.com/9287 ] 고도에 따른 .. 2020. 11. 18.
트리할로메탄 제거. trihalomethane removal 트리할로메탄 제거. trihalomethane removal --------------------------------------------------- ▶ 브로메이트Bromate (BrO3^-) is an inorganic ion which is tasteless, colorless.Bromate dissolves easily in water and is fairly stable.Bromate is not typically derived from natural sources.It forms when ozone (O3) reacts with the naturally occurring bromide ion (Br^-)commonly found in raw water supplies such as lakes.. 2020. 9. 14.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 ▶ 화학적 산소 요구량 ▶ COD. chemical oxygen demand ▶ KMnO4 등 산화제를 사용하여 측정한 유기물의 농도 ▶ 유기물을 분해(산화)시키는데 소비된 KMnO4의 농도 측정 ▶ BOD 보다 측정이 간편하고, 빠르고, 재현성이 높다. > 공장 폐수 등 생물학적 반응을 방해하는 물질이 있어도 측정 가능. ▶ COD 값이 클수록, ---> 물속에 유기물이 많다. ---> 수질은 나쁘다. ▶ 수질 환경 기준 > 상수원수 1급수: 1 mg/L 이하 > 상수원수 2급수: 3 mg/L 이하 ( 1 ppm ≒ 1 mg/L ) [추가 내용] ▶ COD는 물속의 피산화성 물질을 .. 2020. 9.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