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24장] 생명의 화학: 유기화학과 생화학375

[유기화합물 명명법] 1-bromo-2-chloro-4-methylbenzene [유기화합물 명명법] 1-bromo-2-chloro-4-methylbenzene ------------------------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 치환기 이름은“알파벳 순서”이므로,bromo chloro methyl---> 이건 오케이. 치환기 번호는“가장 작은 숫자가 나오도록”이므로,① methyl을 1로 정하면,4-bromo-3-chloro-1-methyl 또는4-bromo-5-chloro-1-methyl ② chloro를 1로 정하면,2-bromo-1-chloro-5-methyl 또는6-bromo-1-chloro-3-methyl ③ bromo를 1.. 2025. 4. 16.
[유기화합물 명명법] (E)-4-vinylhept-2-ene [유기화합물 명명법] (E)-4-vinylhept-2-ene   ------------------------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   [참고] E-Z 표기법. E-Z notation[ https://ywpop.tistory.com/13631 ]         [그림] (E)-hept-2-ene.         [그림] (E)-4-vinylhept-2-ene.         [키워드] hept-2-ene 기준, 2-heptene 기준 2025. 3. 22.
[그림] 설탕 C12H22O11 table sugar sucrose [그림] 설탕 C12H22O11 table sugar sucrose         [ 그림 출처 Wikimedia ] Structure of sucrose (saccharose).Sucrose, a disaccharide, is a sugarcomposed of glucose and fructose subunits.         [키워드] 설탕 그림 기준, C12H22O11 그림 기준, table sugar 그림 기준, sucrose 그림 기준, 설탕 루이스 기준, C12H22O11 루이스 기준, table sugar 루이스 기준, sucrose 루이스 기준, 설탕 구조 기준, C12H22O11 구조 기준, table sugar 구조 기준, sucrose 구조 기준, 설탕 구조식 기준, C12H.. 2025. 1. 4.
[유기화합물 명명법] (E)-cyclodec-2-enecarboxylic acid [유기화합물 명명법] (E)-cyclodec-2-enecarboxylic acid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   [참고] E-Z 표기법. E-Z notation[ https://ywpop.tistory.com/13631 ]         ▶ IUPAC name: (E)-cyclodec-2-enecarboxylic acid> (E)-2-cyclodecenecarboxylic acid> trans-2-cyclodecenecarboxylic acid         [참고] hex-3-enoic acid의 E-Z isomers           [ 관련 글 https://en.wikipedia.org/wi.. 2024. 11. 25.
치환된 벤조산. substituted benzoic acid 치환된 벤조산. substituted benzoic acid       [참고] 벤젠 유도체. benzene derivatives[ https://ywpop.tistory.com/3044 ]           [그림] 벤조산. benzoic acid.(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Benzoic_acid )           (a) 2-chlorobenzoic acid> ortho-chlorobenzoic acid> o-chlorobenzoic acid(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2-Chlorobenzoic_acid )   > 2-substituted benzoic acid> ortho-substituted benzoic ac.. 2024. 11. 12.
탄화수소가 홀수 개의 수소를 가지지 못하는 이유 탄화수소가 홀수 개의 수소를 가지지 못하는 이유       [참고] 탄화수소. hydrocarbon> 탄소(C)와 수소(H)만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https://ywpop.tistory.com/4750 ]       탄화수소가 홀수 개의 수소 원자를 가지지 못하는 이유는탄소와 수소의 화학 결합 방식과 관련이 있다.( + 옥텟 규칙과도 관련이 있다. )( 참고: 옥텟 규칙 https://ywpop.tistory.com/2634 )       탄화수소는 오로지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탄소는 4개의 결합을 할 수 있는 4가 원소이고,수소는 1개의 결합을 할 수 있는 1가 원소이다.( 참고: 원자가 https://ywpop.tistory.com/12438 )       또는 탄화수소에서,.. 2024. 11. 11.
E-Z 표기법. (E)-2-(aminomethyl)but-2-enenitrile E-Z 표기법. (E)-2-(aminomethyl)but-2-enenitrile       [참고] E-Z 표기법. E-Z notation[ https://ywpop.tistory.com/13631 ]   [참고] 우선순위 결정방법[ https://ywpop.tistory.com/3967 ]         (E)-2-(aminomethyl)but-2-enenitrile       –CN 기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① –CN② –CH2–NH2③ –CH3④ –H         [키워드] 우선순위 결정방법 기준, 우선순위 기준 2024. 11. 8.
[유기화합물 명명법] 2-cyclohexylacetic acid [유기화합물 명명법] 2-cyclohexylacetic acid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   [참고] 고리 치환기, 고리 치환체[ https://ywpop.tistory.com/16976 ]         ▶ 2-cyclohexylacetic acid         [ 관련 글 https://www.chemspider.com/Chemical-Structure.20080.html ]Cyclohexylacetic acid       [키워드] acetic acid 기준 2024. 11. 5.
Lewis structure of adrenaline. 아드레날린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adrenaline. 아드레날린의 루이스 구조Lewis structure of epinephrine. 에피네프린의 루이스 구조               [ 관련 글 https://en.wikipedia.org/wiki/Adrenaline ]Adrenaline, also known as epinephrine       [키워드] 아드레날린 루이스 기준, 에피네프린 루이스 기준 2024. 11. 4.
BHA, an antioxidant used as a preservative in foods BHA, an antioxidant used as a preservative in foods     Classify each of the following according to its functional groups.a. BHA, an antioxidant used as a preservative in foods such as baked goods, butter, meats, and snack foods     다음 화합물에서 작용기를 나타내라.a. BHA는 구운 제품, 버터, 육류 및 과자와 같은 식품의 방부제로 사용되는 항산화제이다.       [참고] 작용기[ https://ywpop.tistory.com/2210 ]         ▶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2024.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