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07장] 원소의 주기적 성질65 전자의 수가 같은 것. Mg^2+와 O^2- 전자의 수가 같은 것. Mg^2+와 O^2- --------------------------------------------------- ▶ 참고: 10개의 등전자를 가진 원자/이온 [ https://ywpop.tistory.com/18136 ] --------------------------------------------------- 문제에서 Mg^2+와 O^2- 와 같이 주어졌다면, 원자가 이온이 될 때 어떤 이온전하값을 갖는지 몰라도 된다. 왜? 문제에서 이온으로 주어졌기 때문이다. 즉, 이 문제는 Mg 원자가, 만약 +2가 양이온되면 몇 개의 전자를 갖고있는가? O 원자가, 만약 –2가 음이온되면 몇 개의 전자를 갖고있는가? 를 계산해 보라는 문제이다. “원자번호 = 양성자수 = 전자수” 이므로.. 2023. 3. 29. 원소기호 이름 규칙 원소기호 이름 규칙 --------------------------------------------------- 원소기호는 원소의 라틴어, 그리스어, 영어 이름에서 따왔다. 1. 원소기호는 한 문자 또는 두 문자로 나타낸다. 2. 첫 번째 문자는 대문자로 표시. 3. 두 문자인 경우, 두 번째 문자는 소문자로 표시. 예) 탄소의 기호는 ‘C’, 나트륨의 기호는 ‘Na’. 나트륨의 기호가 ‘Na’인 이유는 질소의 기호가 ‘N’으로 이미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661 ] [주기율표] 화학원소이름 (원자번호순)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1389 ] 과학자의 이름을 붙인 원소 [키워드] 원소기호 이름 기준문서, 원소기.. 2023. 2. 27. PBr3의 P–Br 결합 길이와 AsCl3의 As–Cl 결합 길이 PBr3의 P–Br 결합 길이와 AsCl3의 As–Cl 결합 길이 Predict which is longer, the P–Br bond in PBr3 or the As–Cl bond in AsCl3. --------------------------------------------------- ▶ 참고: A원자와 B 원자의 결합 길이 [ https://ywpop.tistory.com/19622 ] --------------------------------------------------- ▶ 원자 반지름 (단위: Å) > P: 1.06 > Br: 1.14 > As: 1.19 > Cl: 0.99 P–Br의 결합 길이 = (1.06) + (1.14) = 2.20 Å As–Cl의 결합 길이 = (1.19) + .. 2023. 1. 5. X–X 결합 길이 2.04 Å Y–Y 결합 길이 1.68 Å X–Y 결합 길이 X–X 결합 길이 2.04 Å Y–Y 결합 길이 1.68 Å X–Y 결합 길이 --------------------------------------------------- ▶ 참고: A원자와 B 원자의 결합 길이 [ https://ywpop.tistory.com/19622 ] --------------------------------------------------- 동핵 이원자 분자의 결합 길이의 1/2 = 원자 반지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47 ) X–Y 결합 길이 = X 원자의 반지름 + Y 원자의 반지름 = (2.04/2) + (1.68/2) = 1.86 Å 답: 1.86 Å [키워드] 원자 반지름 기준문서, 원자간 결합 길이 기준문서, X-X bond 2.0.. 2023. 1. 4. 리튬의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가 헬륨보다 현저히 낮은 이유 리튬의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가 헬륨보다 현저히 낮은 이유 --------------------------------------------------- ▶ 옥텟 규칙 > 원자의 이상형은 비활성 기체족의 원자가 전자의 전자 배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34 ) 리튬의 원자가 전자는 1개. 이 전자를 버리면, 리튬은 자신의 이상형인 헬륨의 전자 배치와 같게 되므로, 리튬은 기꺼이 이 전자를 버릴 수 있다. 아니, 버리고 싶어서 미칠 정도의 상태이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에너지를 조금만 가해도 리튬은 전자를 잃어버린다, 즉 이온화된다. 반면에, 헬륨은 매우 안정한 전자 배치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전자 1개를 잃어버리면, 불안정한 상태가 되므로, 헬륨은 자신의 모든 힘을 다.. 2022. 10. 9. 금속의 이온전하(= 산화수) 결정하기 금속의 이온전하(= 산화수) 결정하기 --------------------------------------------------- [참고] 주기율표 족 이름 붙이는 방법 ① 미국식: 전형원소는 A, 전이원소는 B ② IUPAC: 전형/전이 구분없이 1족~18족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893 ) [그림] 주기율표와 이온전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841 ) ▶ 금속의 이온전하를 암기할 때는 전형원소, 전이원소로 구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1A족 금속의 이온전하 = +1 (항상, 100%, 예외없음) > 족의 숫자와 이온전하 값이 같다. 예) Na^+, K^+ ▶ 2A족 금속의 이온전하 = +2 (항상, 100%, 예외없음) > 족의.. 2022. 9. 17. the largest radius. Cl^- P^3- K^+ S^2- Ar the largest radius. Cl^- P^3- K^+ S^2- Ar Which of the following has the largest radius? a) Cl^- b) P^3- c) K^+ d) S^2- e) Ar --------------------------------------------------- ▶ 참고: 등전자 이온 [ https://ywpop.tistory.com/18136 ] --------------------------------------------------- Cl^- P^3- K^+ S^2- Ar ---> 18개의 등전자를 가진 원자/이온 등전자 원자/이온의 크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유효핵전하. Since the number of electrons is the.. 2022. 9. 6. 전자의 에너지 준위와 이온화 에너지 전자의 에너지 준위와 이온화 에너지 에너지 준위가 큰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가 에너지 준위가 작은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보다 왜 이온화 에너지가 작은가? 떼어내기 쉬운가? --------------------------------------------------- ▶ 참고: 전자의 에너지 준위와 이온화 에너지 [ https://ywpop.tistory.com/15184 ] ---------------------------------------------------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더 크다, 더 높다 라는 것은 원자핵으로부터 전자가 더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거리. 정전기적 인력은 거리(r)에 반비례하므로,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높을수록, 원자핵과 전자 사이.. 2022. 6. 26. 준금속은 양이온이 되기 쉬울까? 음이온이 되기 쉬울까? 준금속은 양이온이 되기 쉬울까? 음이온이 되기 쉬울까? --------------------------------------------------- ▶ 참고: 준금속. metalloid [ https://ywpop.tistory.com/8496 ] --------------------------------------------------- 준금속은 금속 성질과 비금속 성질, 둘 다 갖고있는데, 그렇다면, “준금속 또는 준비금속”이란 이름이 가능할텐데, 준비금속 대신 준금속이라 이름붙인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금속 성질이 조금 더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준금속은 일반적으로 양이온이 되기 쉽다. ▶ 다음 산화물에서 준금속의 산화수(이온 전하)는 양(+)의 값을 갖는다. > B2O3, SiO2, .. 2022. 6. 26. 14족 원소의 옥텟규칙 14족 원소의 옥텟규칙 4A족 원소의 옥텟규칙. 탄소의 옥텟규칙 --------------------------------------------------- ▶ 참고: 옥텟 규칙. 팔전자 규칙 [ https://ywpop.tistory.com/2634 ] --------------------------------------------------- 14족 원소는 딱 가운데여서 전자를 버리기도 뭐하고 얻기도 뭐해서... 그래서 전자를 버리지도 않고 얻지도 않고, 그대신 다른 원자의 전자를 함께 공유해서 비활성기체족의 전자배치와 같은 8전자를 맞춘다. ---> 이렇게 하는 것을 ‘공유결합’이라고 한다. ( 참고: 공유결합 https://ywpop.tistory.com/2562 ) Carbon does not .. 2022. 6. 19.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