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24765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 CH4의 몰질량 = 16 g/mol 이므로,4 g CH4의 몰수= 4 g / (16 g/mol)= 0.25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개 CH4 분자 속에 들어있는전체 원자 수는 5개이므로,전체 원자의 몰수= (0.25 mol 분자) × (5개 원자 / 1개 분자)= 1.25 mol 원자 1 mol = 6.022×10^23 개 = N_A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1.25 mol 원자) × (N_A / 1 mol)= 1.25N_A 원자 .. 2025. 2. 22. 에탄 5 Nm3 완전연소 이론공기량 중 N2 양(Nm3) 에탄 5 Nm3 완전연소 이론공기량 중 N2 양(Nm3) 에탄 5 Nm3을 완전연소시킬 때필요한 이론공기량 중N2의 양은 약 몇 Nm3인가?① 46② 66③ 83④ 103 ------------------------ 에탄 연소 반응식2C2H6 + 7O2 → 4CO2 + 6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631 ) C2H6 : O2 = 2 : 7 계수비(= 부피비) 이므로,에탄 5 Nm3 연소에 필요한 O2의 부피를 계산하면,C2H6 : O2 = 2 : 7 = 5 Nm3 : ? Nm3 ? = 7 × 5 / 2 = 17.5 Nm3 O2 공기 중 O2의 부피 비 = 21% 이고,공기 중 N2의 부피 비 = 79% 이므로,( 참고 .. 2025. 2. 22.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C2H4 가스와 O2 가스가 반응하여CO2와 H2O가 생성되는 반응에서,28 g의 C2H4와 128 g의 O2가 반응하여생성되는 CO2가 70.4 g 얻어졌다면반응의 수득률(%)은? ------------------------ C2H4의 몰질량 = 2(12) + 4(1) = 28 g/mol 이므로,28 g의 C2H4의 몰수= 28 g / (28 g/mol)= 1 mol C2H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128 g의 O2의 몰수= 128 / 32= 4 mol O2 C2H4 연소 반응식C2H4 + 3O2 → 2.. 2025. 2. 19. 혼합용액의 pH. pH 3 + pH 4 혼합. 1 : 1 혼합용액의 pH. pH 3 + pH 4 혼합. 1 : 1 pH 3 용액과 pH 4 용액을동일한 부피로 혼합했을 때,( 각각 1 L씩 혼합 )혼합 용액의 pH는? ------------------------ [참고] 혼합 용액의 pH[ https://ywpop.tistory.com/14450 ] pH = –log[H^+] 이므로,( pH = –log[H^+] = a ---> [H^+] = 10^(-a) M ) > pH 3 용액의 [H^+] = 10^(-3) M> pH 4 용액의 [H^+] = 10^(-4) M 만약 각 용액의 부피가 1 L라면,> pH 3 용액에 들어있는 H^+의 몰수= (10^(-3) mol/L) × 1 L = 10^(-3) mol > .. 2025. 2. 19. 0.05 M 황산 10 mL 중화에 필요한 1/25 N 수산화소듐의 양 0.05 M 황산 10 mL 중화에 필요한 1/25 N 수산화소듐의 양 0.05 M 황산 용액 10 mL를 중화하는데 필요한1/25 N 수산화소듐 용액의 양은?(단, 1/25 N NaOH의 f=1이다.) ------------------------ 황산, H2S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5 mol/L) (2 eq/mol)= 0.1 eq/L= 0.1 N---> 0.05 M 황산 = 0.1 N 황산 1/25 N NaOH의 f=1 이므로,(1/25 N) (1)= 1/25 N= 0.04 N( 참고 https://ywpop.tistory.com/6934 ) N1V1 =.. 2025. 2. 19. 수소 원자 1 mol이 포함된 물 분자는 0.5 mol 수소 원자 1 mol이 포함된 물 분자는 0.5 molH 원자 1 mol이 포함된 H2O 분자는 0.5 mol ------------------------ [참고] 아보가드로수와 몰(mol)[ https://ywpop.tistory.com/6475 ] 물 분자(H2O)는수소 원자(H) 2개와산소 원자(O) 1개로이루어진 물질. 1개 H2O = 2개 H + 1개 O---> H2O : H : O = 1 : 2 : 1 개수비(= 몰수비) H2O : H = 1 : 2 몰수비 이므로,수소 원자 1 mol을 포함하는 물 분자의 몰수를비례식으로 계산하면,(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639 ) H2O : H = 1 : 2 = ? .. 2025. 2. 19. 다음 중 가장 짧은 N-O 결합을 갖는 것 다음 중 가장 짧은 N-O 결합을 갖는 것 다음 중 가장 짧은 N–O 결합을 갖는 것은 무엇인가?a. NO3^-b. NO^+c. NO2^- ------------------------ 다중결합일수록, 결합 길이는 감소, 결합 에너지는 증가.(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143 ) a. NO3^-> 공명 구조를 갖기 때문에,1과 1/3 결합(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66 ) b. NO^+> 삼중결합(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551 ) c. NO2^-> 공명 구조를 갖기 때문에,1과 1/2 결합 답: b. NO^+ [키워드].. 2025. 2. 18. sp2 혼성오비탈 질소를 포함하는 분자 sp2 혼성오비탈 질소를 포함하는 분자 다음 분자 중 sp2 혼성궤도를 갖는 질소를 포함하는 것은?a. NH3b. NO3^-c. N2d. HCN ------------------------ [참고] 질소의 혼성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9952 ] sp2 혼성오비탈 질소---> 1개의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질소 a. NH3> 단일결합만 존재> sp3 혼성오비탈 b. NO3^-> 1개의 이중결합 존재> sp2 혼성오비탈(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66 ) c. N2> 삼중결합만 존재> sp 혼성오비탈 d. HCN> 질소에겐 삼중결합만 존재> sp 혼성오비탈 .. 2025. 2. 18. MO 전자배치와 결합차수 MO 전자배치와 결합차수 MO 전자배치가 다음과 같다.(σ_2s)^2 (σ*_2s)^2 (σ_2p)^2 (π_2p)^2 (π*_2p)^4이 분자의 결합차수는? ------------------------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6879 ) (σ_2s)^2 (σ*_2s)^2---> 서로 상쇄, 무시. (σ_2p)^2 (π_2p)^2 (π*_2p)^4> 결합성 MO (*없는) 전자 수 = 4> 반결합성 MO (*있는) 전자 수 = 4---> 결합차수 = 0 답: d. 0 [키워드] 결합차수 기준 2025. 2. 18. 상자기성 분자. B2 상자기성 분자. B2 다음 중 어떤 분자가 상자기성인가?a. B2b. C2c. H2d. N2 ------------------------ [참고] MO Diagrams of B2, C2, N2[ https://ywpop.tistory.com/5305 ] [참고] MO Diagrams of H2[ https://ywpop.tistory.com/7353 ] 상자기성 분자---> 분자 오비탈에 홀전자가 존재하는 분자 답: a. B2 [키워드] 상자기성 분자 기준, 상자기성 기준 2025. 2. 18. 이전 1 2 3 4 ··· 24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