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화학분석기사249

다음의 화학반응식에서 평형 이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 다음의 화학반응식에서 평형 이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 다음의 화학반응식에서 평형 이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CO(g) + O2(g) ⇌ 2CO2(g) + 열 ① CO를 첨가할 경우 평형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② CO2를 제거할 경우 평형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③ 반응계를 냉각할 경우 평형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④ 압력을 증가하면 평형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 ▶ 참고: 르샤틀리에의 원리 [ https://ywpop.tistory.com/2685 ] --------------------------------------------------- ① CO를 첨가할 경우 평형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 반응물.. 2023. 3. 3.
액체 속 기체의 용해도는 용액에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에 비례 액체 속 기체의 용해도는 용액에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에 비례 “액체 속에 들어 있는 기체의 용해도는 용액에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에 비례한다.”는 어떤 법칙인가? ① Hess의 법칙 ② Raoult의 법칙 ③ Henry의 법칙 ④ Nernst의 법칙 --------------------------------------------------- ① Hess의 법칙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376 ) ② Raoult의 법칙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46 ) ③ Henry의 법칙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11 ) ④ Nernst의 법칙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00 ) 답: ③ H.. 2023. 3. 3.
한계 반응물. 1.5몰 Al + 3.0몰 Cl2 AlCl3 몇 몰 생성 한계 반응물. 1.5몰 Al + 3.0몰 Cl2 AlCl3 몇 몰 생성 다음 반응에서 1.5몰 Al과 3.0몰 Cl2를 섞어 반응시켰을 때 AlCl3 몇 몰을 생성하는가? 2Al(s) + 3Cl2(g) → 2AlCl3(s) ① 2.3몰 ② 2.0몰 ③ 1.5몰 ④ 1.0몰 --------------------------------------------------- 2Al(s) + 3Cl2(g) → 2AlCl3(s) Al : Cl2 = 2 : 3 = 1.5 mol : ? mol ? = 3 × 1.5 / 2 = 2.25 mol Cl2 ---> Cl2는 이만큼 있다, 남는다? ---> Cl2 = 과잉 반응물, Al = 한계 반응물. ( 참고: 한계 반응물 https://ywpop.tistory.com/3318.. 2023. 3. 3.
질소기체 7.0 g 생성되는 암모니아 기체의 부피 질소기체 7.0 g 생성되는 암모니아 기체의 부피 수소와 질소로부터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반응에서 질소기체 7.0 g을 충분한 양의 수소와 반응시켰을 때 생성되는 암모니아 기체의 부피는 표준상태에서 몇 L인가? N2 + 3H2 → 2NH3 ① 22.4 ② 11.2 ③ 5.6 ④ 4.48 --------------------------------------------------- 7.0 g / (28 g/mol) = 0.25 mol N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N2 + 3H2 → 2NH3 N2 : NH3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생성되는 NH3의 몰수 = 2 × 0.25 = 0.5 mol 0.5 mol × (22.4 L / 1 mol) = 11... 2023. 3. 2.
pka가 5인 0.1 M 약산(HA) 용액의 pH pka가 5인 0.1 M 약산(HA) 용액의 pH --------------------------------------------------- pKa = –logKa = 5 이므로, Ka = 10^(-5) x = [Ka × C]^(1/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 [10^(-5) × 0.1]^(1/2) = 0.001 M = [H^+] pH = –log[H^+] = –log(0.001) = 3 답: pH = 3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9254 ] pka가 5인 1 M 약산(HA) 용액의 pH 2023. 3. 1.
짝산 또는 짝염기가 틀리게 작성된 것 짝산 또는 짝염기가 틀리게 작성된 것 다음 각 산 또는 염기에 대하여 필요한 짝산 또는 짝염기가 틀리게 작성된 것은? ① H2O가 염기로 작용할 때 짝산은 H3O^+이다. ② HSO3^-가 산으로 작용할 때 짝염기는 SO3^2-이다. ③ HCO3^-가 산으로 작용할 때 짝염기는 H2CO3이다. ④ NH3가 염기로 작용할 때 짝산은 NH4^+이다. --------------------------------------------------- [팁] 약산의 짝염기는 H^+를 하나 제거하면 되고, 약염기의 짝산은 H^+를 하나 추가하면 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0 ) ③ HCO3^-가 산으로 작용할 때 짝염기는 H2CO3이다. HCO3^-에서 H^+를 하나 제거하면, .. 2023. 3. 1.
질량백분율 10.0% NaCl 용액의 몰랄농도 질량백분율 10.0% NaCl 용액의 몰랄농도 질량백분율 10.0% NaCl 수용액의 몰랄농도는 얼마인가? (단, NaCl의 몰질량은 58.44 g/mol 이다.) ① 0.171 m ② 1.71 m ③ 0.19 m ④ 1.9 m --------------------------------------------------- 가령, 10.0% NaCl 용액이 100 g 있다면, 10.0 g NaCl(용질) + 90.0 g H2O(용매) 인 용액.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NaCl의 몰질량 = 58.44 g/mol 이므로, 10.0 g / (58.44 g/mol) = 0.171 mol Na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랄농도.. 2023. 3. 1.
250 nm에서 0.50 cm 셀로 측정한 흡광도가 0.432 250 nm에서 0.50 cm 셀로 측정한 흡광도가 0.432 순수한 화합물 A를 녹여 정확히 10 mL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 중 1 mL를 분취하여 100 mL로 묽힌 후 250 nm에서 0.50 cm의 셀로 측정한 흡광도가 0.432이었다면 처음 10 mL 중에 있는 시료의 몰농도는? (단, 몰 흡광계수(ε)는 4.32×10^3 M-1cm-1이다.) ① 1×10-2 M ② 2×10-2 M ③ 1×10-3 M ④ 2×10-4 M --------------------------------------------------- 흡광도, A = εbC 또는 A = ε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905 ) C = A / εL = 0.432 / [(4.32×10^3) (0.. 2023. 2. 28.
100 mL의 물에 몇 g의 Ag3AsO4가 용해 100 mL의 물에 몇 g의 Ag3AsO4가 용해 25℃에서 100 mL의 물에 몇 g의 Ag3AsO4가 용해될 수 있는가? (단, 25℃에서 Ag3AsO4의 Ksp=1.0×10-22, Ag3AsO4의 분자량 : 462.53g/mol이다.) ① 6.42×10-4 g ② 6.42×10-5 g ③ 4.53×10-9 g ④ 4.53×10-10 g --------------------------------------------------- s = [Ksp / 27]^(1/4) = [(1.0×10^(-22)) / 27]^(1/4) = 1.387×10^(-6) M ---> Ag3AsO4의 몰용해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842 ) (1.387×10^(-6) mol/L) (462... 2023. 2. 28.
530 nm 파장을 갖는 빛의 에너지보다 3배 큰 에너지 530 nm 파장을 갖는 빛의 에너지보다 3배 큰 에너지 530 nm 파장을 갖는 빛의 에너지보다 3배 큰 에너지의 빛의 파장은 약 얼마인가? ① 177 nm ② 226 nm ③ 590 nm ④ 1590 nm --------------------------------------------------- E = hν = hc / λ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964 ) = [(6.626×10^(-34) J•s) (2.998×10^8 m/s)] / [530 nm × (1 m / 10^9 nm)] = (6.626×10^(-34)) (2.998×10^8) / (530 / 10^9) = 3.75×10^(-19) J 3 × (3.75×10^(-19)) = 1.125×10^(-18) J .. 2023. 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