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1장] 액체와 분자간의 힘120 고체의 증기압과 액체의 증기압이 같아지는 온도 고체의 증기압과 액체의 증기압이 같아지는 온도 ------------------------ [참고] 상평형도. phase diagram[ https://ywpop.tistory.com/2602 ] [ 그림 출처 Wikimedia ] 일반적인 물질의 상평형도.위 그림을 보면,고체-액체 평형 곡선(녹색)이 두 개 그려져 있는데,실선(solid green line)은 일반적인 물질의 고체-액체 평형 곡선이고,점선(dotted green line)은 물의 고체-액체 평형 곡선이다.The solid green line shows the usual shape of the liquid-solid phase line. The dotted green line shows the anomalous.. 2025. 8. 22. 액체의 정상 끓는점. normal boiling point of a liquid 액체의 정상 끓는점. normal boiling point of a liquid ------------------------ [참고] 액체의 증기 압력(vapor pressure)[ https://ywpop.tistory.com/2651 ] > 100℃에서 물의 증기압은 760 torr이다. > 760 torr, 즉 1 atm(1기압)에서 물의 끓는점은 100℃이다. ▶ 액체의 정상 끓는점= 1 atm에서 액체의 끓는점= 상평형도에서 액체의 증기압이 1 atm이 되는 온도 [그림] 상평형도에서 증기압 곡선(= 액체-기체 평형 곡선)만 따로 그린 그림. ▶ 액체-기체 평형(공존) 곡선. 기화 곡선(vaporization curv.. 2025. 8. 22.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은? ------------------------ 두 물질의 분자간 인력을 비교할 때,특히, 상온에서 둘 다 액체 상태라면,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각 물질의 끓는점이다.> 물(H2O)의 끓는점 = 100℃> 아세트산(CH3COOH)의 끓는점 = 118℃ 일반적으로 물질의 끓는점과물질의 분자간 인력은 비례하므로,끓는점이 더 높은 아세트산이물보다 분자간 인력이 더 크다. 또한물과 아세트산, 둘 다 수소결합을 하지만,아세트산은 수소결합을 통해 이합체를 형성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72 ) 이 때문에아세트산의 분자간 인력은 매우 크다. .. 2025. 6. 25. 증기 압력과 분자 사이의 인력 증기 압력과 분자 사이의 인력 ------------------------ [참고] 액체의 증기 압력[ https://ywpop.tistory.com/2651 ] [참고] 기체(gas) vs. 증기(vapor)[ https://ywpop.tistory.com/1918 ] [액체의 증기 압력이란] 액체 분자들 중 일부는( 특히 액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분자는 )액체의 정상 끓는점 보다 훨씬 아래에서도기체 상태로 변할 수 있는데,이들을 증기(vapor)라 부른다. 이때 증기 분자의 운동에 의해압력이 발생하는데,이 압력을 “증기 압력”이라 한다. 한편,액체 분자들 사이의 인력이 강하면 강할수록,분자들끼리 서로 강하게 붙잡고 있기 때문에,기체 상태로 변하는 분자 수는.. 2025. 1. 21. Which compound more volatile at 25℃, CCl4 or CBr4 Which compound more volatile at 25℃, CCl4 or CBr4 Which compound do you think is more volatile at 25℃, CCl4 or CBr4?a) CBr4, because dispersion forces between its molecules are greater than in CCl4.b) CBr4, because polar forces between its molecules are smaller than in CCl4.c) CCl4, because polar forces between its molecules are greater than in CBr4.d) CCl4, because dispersion forces betwee.. 2024. 6. 17. hexane bp 69.0℃ vaporization 25℃ 60℃ vapor pressure Trouton rule hexane bp 69.0℃ vaporization 25℃ 60℃ vapor pressure Trouton rule 헥산의 정상 끓는점은 69.0℃이다.a) 헥산의 증발 엔탈피와b) 25℃와 60℃에서의 증기 압력을 구하여라.(힌트: Trouton의 규칙을 이용하여라.) The normal boiling point of hexane is 69.0℃. Estimate(i) its enthalpy of vaporization and(ii) its vapour pressure 25℃ and 60℃.Assume hexane follows Trouton’s rule in thatΔH_vap / T_b = 85 J K^-1 mol^-1. -------------------------------.. 2024. 5. 28. [목차] 분자간 힘. blogspot [목차] 분자간 힘. blogspot ▶ intermolecular forces. CHCl3 H2O LiCl OBr2 HBr IBr> ibr polar or nonpolar 기준, ibr polar or nonpolar dic[ https://ywpop.blogspot.com/2024/05/intermolecular-forces-chcl3-h2o-licl.html ] [키워드] 분자간 힘 목차 기준, blogspot dic 2024. 5. 5. 분자간 힘. Ar HCl HF CaCl2 CH4 분자간 힘. Ar HCl HF CaCl2 CH4 고체일 때 가장 중요한 형태의 입자간 힘 [참고]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Ar: London 분산력 > HCl: 쌍극자-쌍극자 힘 > HF: 수소결합 > CaCl2: 이온결합 (이것만 화학 결합)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995 ) > CH4: London 분산력 [키워드] 분자간 힘 기준 2024. 4. 23. 280 K에서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 280 K에서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 280 K에서 이산화탄소가 기체, 액체, 고체의 세 개의 다른 상이 될 수 있다. 각 상의 압력 범위를 나타내라. [참고] 상평형도 1. phase diagram [ https://ywpop.tistory.com/2600 ] [참고] 상평형도 2. phase diagram [ https://ywpop.tistory.com/2602 ] 아마 문제가 나온 교재 본문에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가 나올 겁니다.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에서 아마 x축이 온도 축일텐데, x축에서 280 K (= 7℃) 지점을 찾아서 y축과 평행한 직선을 그립니다. ( 아래 그림 참고 ) 그러면, 첫 번째로 만나는 곡선이 기체-액체 평형 곡선인데, 그 지점에서 이번에는 x축과 평행한 직선을 그립니다. 이.. 2024. 3. 19. 분산력은 표면적에 비례 분산력은 표면적에 비례 분자량이 비슷한 무극성 분자인 경우, 표면적이 클수록 분산력이 큰 이유 무극성 분자라도 순간 쌍극자가 발생할 수 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85 ) 순간 쌍극자-유도 쌍극자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이 분산력이다. ---> 쌍극자의 크기와 분산력은 비례한다. 쌍극자의 크기의 척도인 쌍극자 모멘트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μ = Q × r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81 ) Q가 같을 경우, 표면적이 더 크다. = r이 더 크다. = μ가 더 크다. ---> 분산력이 더 크다. 부피가 같을 때, 표면적이 가장 작은 입체도형은 “구”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 2024. 3. 16. 이전 1 2 3 4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