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0장] 기체452

돌턴의 분압법칙. 분자량이 66.0인 A 기체 0.495 g 돌턴의 분압법칙. 분자량이 66.0인 A 기체 0.495 g 분자량이 66.0인 A 기체 0.495 g과 분자량이 45.5인 B 기체 0.182 g으로 되어있는 혼합기체의 전체 압력이 76.2 cmHg이면, 각 기체의 분압은 얼마인가? [참고] 돌턴의 분압법칙 [ https://ywpop.tistory.com/48 ] ① 각 기체의 몰수 계산 > 0.495 g / (66.0 g/mol) = 0.0075 mol A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 0.182 / 45.5 = 0.004 mol B A 기체의 몰분율을 계산하면, 0.0075 / (0.0075 + 0.004) = 0.652 ② 각 기체의 분압 계산 > 0.652 × 76.2 = 49.7 cmHg A > 76.. 2024. 3. 17.
0℃, 1기압에서 기체 1 mol이 담긴 구의 지름 0℃, 1기압에서 기체 1 mol이 담긴 구의 지름 0℃, 1기압에서 기체 1 mol = 22.4 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 22.4 L = 22400 mL = 22400 cm3 구의 부피, V V = (4/3)πr^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56 ) r = [V / ((4/3)π)]^(1/3) = [22400 cm3 / ((4/3)π)]^(1/3) = 17.5 cm 지름 = 2 × 17.5 = 35 cm 답: 35 cm [키워드] 구의 부피 기준 2024. 3. 14.
3.0 m 25℃ 1.0 atm H2 air density 1.22 kg/m3 He 3.0 m 25℃ 1.0 atm H2 air density 1.22 kg/m3 He Balloons are still used to deploy sensors that monitor meteorological phenomena and the chemistry of the atmosphere.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some of the technicalities of ballooning by using the perfect gas law. Suppose your balloon has a radius of 3.0 m and that it is spherical. a) What amount of H2 (in moles) is needed to inflate it to 1.0 a.. 2024. 3. 13.
84 kg 300. K 1.00 atm 40. mL O2 1.6×10^10 cell 84 kg 300. K 1.00 atm 40. mL O2 1.6×10^10 cell 체중 84 kg인 활동적인 사람의 미토콘드리아에 초당 도달하는 산소 분자는 대략 몇 개인가? 다음 자료를 사용하여라. T = 300. K, P = 1.00 atm하에서 체중 1 kg당 1분에 약 40. mL의 산소를 소비한다. 성인에게 체중 1 kg당 약 1.6×10^10 개의 세포가 있으며 각 세포는 800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Approximately how many oxygen molecules arrive each second at the mitochondrion of an active person with a mass of 84 kg? The following data are available: Oxygen.. 2024. 3. 13.
0℃, 2기압에서 CO2 기체 11.2 L 속 CO2 분자의 몰수 0℃, 2기압에서 CO2 기체 11.2 L 속 CO2 분자의 몰수 PV = 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n = PV / RT = [(2) (11.2)] / [(0.08206) (273.15 + 0)] = 0.999 mol 답: 0.999 mol [키워드] nrt 기준 2024. 3. 12.
20℃ 1 atm 공기 밀도. O2 20.97%, N2 78.07%, Ar 0.96% 20℃ 1 atm 공기 밀도. O2 20.97%, N2 78.07%, Ar 0.96% 산소(O2) 20.97%, 질소(N2) 78.07%, 아르곤(Ar) 0.96%인 섭씨 20도 공기의 밀도를 계산하시오. 기압은 1 atm으로 가정한다. (산소, 질소, 아르곤의 원자량은 15.9994, 14.0067, 39.948) 공기의 평균 분자량 = (2 × 15.9994 × (20.97/100)) + (2 × 14.0067 × (78.07/100)) + (39.948 × (0.96/100)) = 28.9637 g/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07 ) 기체의 밀도, d = PM / 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3 ) = [(1) (28.96.. 2024. 3. 12.
실제기체의 압력 실제기체의 압력 ▶ 이상기체의 특징(정의) 1) 기체 분자간 상호작용 없음. no interaction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03 ) ---> 이상기체는 기체 분자간 인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 기체를 가두고 있는 용기의 압력(= 기체의 압력)은 기체 분자들이 운동하면서 용기 벽에 충돌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50 ) ▶ 실제기체의 압력 > 실제기체는 기체 분자간 인력이 존재한다. ---> A 기체가 용기 벽을 향해 충돌하러 날라가는데, 근처에 지나가는 B 기체가 잡아당긴다. ---> 이 때문에 이상기체보다 용기 벽에 덜(또는 약하게) 충돌한다. ---> 이 때문에 이상기체보다 압력이 작아진다. [ 관련 예제 .. 2024. 3. 11.
PVT는 일정. 745 mmHg 25℃ 45 L 178 mmHg 225 K. V2 계산 PVT는 일정. 745 mmHg 25℃ 45 L 178 mmHg 225 K. V2 계산 745 mmHg, 25℃일 때 기구의 부피가 45 L. 178 mmHg, 225 K인 고도 1000 m 높이에서 기구의 부피는? P1V1 / T1 = P2V2 / T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91 ) > P1 = 745 mmHg; V1 = 45 L; T1 = (273 + 25) K > P2 = 178 mmHg; V2 = ? L; T2 = 225 K V2 = P1V1T2 / T1P2 = [(745) (45) (225)] / [(273 + 25) (178)] = 142.2 L 답: 142.2 L [키워드] PVT는 일정 기준 2024. 3. 9.
101.325 kPa 0.00℃(273.15 K) 1.000 mol 이상 기체의 부피(L) 101.325 kPa 0.00℃(273.15 K) 1.000 mol 이상 기체의 부피(L) 기체 상수, R = 8.314 Pa•m3/mol•K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88 ) V = nRT / P = (1.000 mol) (8.314 Pa•m3/mol•K) (273.15 K) / (101.325×10^3 Pa) = 0.02241 m3 1 m3 = 1000 L 이므로, (0.022413 m3) (1000 L / 1 m3) = 22.41 L 답: 22.41 L [키워드] 기체상수 기준 2024. 3. 9.
PVT는 일정. 20℃ 740 mmHg SO2 100 L STP. V2 계산 PVT는 일정. 20℃ 740 mmHg SO2 100 L STP. V2 계산 20℃, 740 mmHg 상태에 있는 이산화황(SO2) 100 L는 표준상태(STP)로 환산하면 몇 L인가? ※ 기체의 “상태” 변화를 계산하는 문제 > STP: 0℃, 1 atm (= 760 mmHg) P1V1 / T1 = P2V2 / T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91 ) V2 = P1V1T2 / T1P2 = [(740) (100) (273 + 0)] / [(273 + 20) (760)] = 90.72 L 답: 90.72 L [참고] 기체의 “농도” 변화 계산 문제와 혼동하지 말 것. 20℃, 740 mmHg에서 5 ppm SO2를 STP로 환산 [ https://ywpop.tistory.c.. 2024.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