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03장] 화학량론856 미정계수법. CO + O2 → CO2 미정계수법. CO + O2 → CO2미정계수법. (_)CO + (_)O2 → 2CO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CO2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개수가“C 원자 1개, O 원자 2개”라는 것과그래서 2CO2가, 전체적으로,“C 원자 2개, O 원자 4개”라는 것을알고 있는 학생이라면,(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68 ) 일부 물질의 계수가 주어진 이런 문제는실제 시험에는 나올 수도 없는아주 쉬운 문제이다. (_)CO + (_)O2 → 2CO2 반응식에서,분자를 “레고 블록으로 만든 장난감”,원자를 “레고 블록”이라 생각해 보자. .. 2025. 3. 27. O2 11.2 L의 질량과 같은 He의 부피 O2 11.2 L의 질량과 같은 He의 부피단, 0℃, 1기압 조건. ------------------------ [참고] 환산 인자. 단위 소거법[ https://ywpop.tistory.com/3121 ] [기체의 부피를 기체의 몰수로 환산]0℃, 1기압에서,기체 1 mol의 부피 = 22.4 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11.2 L O2의 몰수= 11.2 L × (1 mol / 22.4 L)= 0.5 mol [몰수를 질량으로 환산]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0.5 mol O2의 질량= 0.5 mol × (32 g / 1 mol)= 16 g(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 2025. 3. 24. 0.0050 g/L K2CrO4 속 CrO4^2- 이온의 g/L 농도 0.0050 g/L K2CrO4 속 CrO4^2- 이온의 g/L 농도0.0050 g K2CrO4 속 CrO4^2- 이온의 질량(g)화합물 속 이온의 질량 ------------------------ > K2CrO4의 몰질량 = 194.19 g/mol> CrO4^2-의 몰질량 = 115.99 g/mol 0.0050 g K2CrO4 × (115.99 g CrO4^2- / 194.19 g K2CrO4)= 0.0050 × (115.99 / 194.19)= 0.0029865---> 유효숫자 2개에 맞추면,= 0.0030 g 답: 0.0030 g/L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2958 ]화학식과 조성 백분율 [키.. 2025. 3. 21. 몰질량과 질량의 차이 몰질량과 질량의 차이질량과 몰질량의 차이 ------------------------ ▶ 몰질량(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13 )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어떤 물질(원자, 분자 등) 1 mol의 질량( 1 mol만큼의 질량 ) > 물질마다 변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가진다.( 전자저울 등으로 측정할 필요가 없다. ) > 덜어낸 양에 상관없이(무관하게),물질의 몰질량 값은 같다(변하지 않는다). > 기본 단위는 g/mol. ▶ 질량> 가령, 어떤 물질을 약수저로한 스푼 또는 두 스푼 덜어낸 질량 > 전자저울 등으로 측정해야 값을 알 수 있다. > 덜어낸 양에 따라,물질의 질량 값은 달라진다(변한다). > 기본 단위는 g. .. 2025. 3. 19. 탄소 원자의 몰질량 12 g/mol 탄소 원자의 몰질량 12 g/mol ------------------------ 1) 탄소-12 원자 1개의 질량 = 12 amu( 참고 https://ywpop.tistory.com/6741 ) 2) 탄소-12 원자 6.022×10^23 개의 질량 = 12 g(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6.022×10^23 개 = 1 mol 이므로,3) 탄소-12 원자 1 mol의 질량 = 12 g---> 탄소-12 원자의 몰질량 = 12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13 ) [키워드] 탄소의 몰질량 기준, 탄소의 몰질량 사전, 탄소 원자의 몰질량 기준, 탄소 원자의 몰질량 사전 2025. 3. 19. 질량 보존의 법칙과 물질의 상태 질량 보존의 법칙과 물질의 상태 ------------------------ [참고] 질량 보존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16676 ] 질량 보존의 법칙은물질의 상태와 무관하다.(물질의 상태변화와 무관하다.) (닫힌계에서)(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80 ) 반응(변화) 전/후,물질의 상태가 변해도,질량은 보전된다. 얼음 100 g이 녹으면,물 100 g이 되고,H2O(s) → H2O(l) 물 100 g을 가열시키면,수증기 100 g이 된다.H2O(l) → H2O(g) [키워드] 질량 보존의 법칙 기준, 질량 보존 법칙 기준 2025. 3. 2.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Al + bH2O → cAl(OH)3 + dH2 > Al의 개수: a = c ... (1)> H의 개수: 2b = 3c + 2d ... (2)> O의 개수: b = 3c ... (3) a = 1 이라 두면,from (1), c = 1from (3), b = 3 from (2), 6 = 3 + 2d2d = 3d = 3/2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3> c = 1> d = 3/2 계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각 계수에 2씩 곱하면,> a = 2> .. 2025. 2. 27.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분자량과 1 g당 분자 수 ------------------------ 이런 게 이해가 안 되면,그냥 한 번 계산해 보는 겁니다. 가령,H2O의 몰질량(= 분자량) = 18 g/mol 이고,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 참고: 몰질량 https://ywpop.tistory.com/11196 ) 1 g H2O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18 g) (6×10^23 개 / 1 mol)= (1) (1 / 18) (6×10^23)= 3.33×10^22 개---> H2O 1 g당 H2O 분자의 수 1 g CO2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44 g) (6×10^23 개 / 1 mol).. 2025. 2. 23.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 CH4의 몰질량 = 16 g/mol 이므로,4 g CH4의 몰수= 4 g / (16 g/mol)= 0.25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개 CH4 분자 속에 들어있는전체 원자 수는 5개이므로,전체 원자의 몰수= (0.25 mol 분자) × (5개 원자 / 1개 분자)= 1.25 mol 원자 1 mol = 6.022×10^23 개 = N_A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1.25 mol 원자) × (N_A / 1 mol)= 1.25N_A 원자 .. 2025. 2. 22.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C2H4 가스와 O2 가스가 반응하여CO2와 H2O가 생성되는 반응에서,28 g의 C2H4와 128 g의 O2가 반응하여생성되는 CO2가 70.4 g 얻어졌다면반응의 수득률(%)은? ------------------------ C2H4의 몰질량 = 2(12) + 4(1) = 28 g/mol 이므로,28 g의 C2H4의 몰수= 28 g / (28 g/mol)= 1 mol C2H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128 g의 O2의 몰수= 128 / 32= 4 mol O2 C2H4 연소 반응식C2H4 + 3O2 → 2.. 2025. 2. 19. 이전 1 2 3 4 ··· 8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