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가스기사209

석탄의 연료비. 휘발분 35.6%, 회분 23.2%, 수분 2.4% 석탄의 연료비. 휘발분 35.6%, 회분 23.2%, 수분 2.4%     석탄을 분석한 결과휘발분이 35.6%, 회분이 23.2%, 수분이 2.4%일 때이 석탄의 연료비는?① 1.03%② 1.06%③ 1.09%④ 1.14%   ------------------------   ▶ 석탄의 연료비 = 고정탄소 / 휘발분   ▶ 수분 + 회분 + 휘발분 + 고정탄소 = 100       고정탄소 = 100 – (수분 + 회분 + 휘발분)= 100 – (2.4 + 23.2 + 35.6)= 38.8%       석탄의 연료비 = 고정탄소 / 휘발분= 38.8 / 35.6= 1.09       답: ③ 1.09%         [키워드] 석탄의 연료비 기준 2025. 3. 9.
물 10 ton/h 높이 5 m 탱크 펌프 효율 100% 소요동력 PS 물 10 ton/h 높이 5 m 탱크 펌프 효율 100% 소요동력 PS     물을 10 ton/h의 속도로 높이 5 m의 탱크에같은 굵기의 관을 써서 수송하려고 한다.유체의 수두손실(head loss)을 무시하고펌프의 효율을 100%로 하면 소요동력(마력수, PS)은?① 0.1② 0.185③ 0.317④ 0.5   ------------------------   10 ton/h 단위를 kg/s 단위로 환산하면,(10 ton/h) (1000 kg / 1 ton) (1 h / 3600 s)= (10) (1000) (1 / 3600)= 2.78 kg/s       W = FS = mgS = mgh( 참고 https://ywpop.tistory.com/5281 )   = (2.78 kg/s) (9.8 m.. 2025. 3. 8.
30℃ 공기의 음속. 비열비 1.4 기체상수 287 J/kg•K 30℃ 공기의 음속. 비열비 1.4 기체상수 287 J/kg•K     30℃인 공기 중에서의 음속은 몇 m/s인가?(단, 비열비는 1.4이고 기체상수는 287 J/kg•K이다.)① 216② 241③ 307④ 349   ------------------------   이상기체의 음속c = (kRT / M)^(1/2)> c: 음속 (m/s)> k: 비열비(단열 지수, 등엔트로피 팽창계수) (단위 없음)( 공기의 비열비 = 1.4 )> R: 기체상수 (8.314 J/mol•K)> T: 절대온도 (K)> M: 기체의 몰질량 (kg/mol)( 공기의 몰질량 = 0.029 kg/mol )( 참고: 공기의 평균 분자량 https://ywpop.tistory.com/3707 )       c = (kRT / M.. 2025. 3. 7.
기관의 열효율. 출력 100 kW 시간당 30 kg 연료 발열량 8000 kcal/kg 기관의 열효율. 출력 100 kW 시간당 30 kg 연료 발열량 8000 kcal/kg     어떤 기관의 출력은 100 kW이며 매 시간당 30 kg의 연료를 소모한다.연료의 발열량이 8000 kcal/kg이라면 이 기관의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① 0.15② 0.36③ 0.69④ 0.91   ------------------------   연료의 시간당 발열량을 계산하면,(8000 kcal/kg) (30 kg/hr)= (8000) (30)= 240000 kcal/hr---> 입력 에너지       출력 에너지인 100 kW를kcal/hr 단위로 환산해보자.       1 W = 1 J/s 이므로,( 참고: 와트의 정의 https://ywpop.tistory.com/21357 )   100 kW.. 2025. 3. 4.
에탄 5 Nm3 완전연소 이론공기량 중 N2 양(Nm3) 에탄 5 Nm3 완전연소 이론공기량 중 N2 양(Nm3)     에탄 5 Nm3을 완전연소시킬 때필요한 이론공기량 중N2의 양은 약 몇 Nm3인가?① 46② 66③ 83④ 103   ------------------------   에탄 연소 반응식2C2H6 + 7O2 → 4CO2 + 6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631 )       C2H6 : O2 = 2 : 7 계수비(= 부피비) 이므로,에탄 5 Nm3 연소에 필요한 O2의 부피를 계산하면,C2H6 : O2 = 2 : 7 = 5 Nm3 : ? Nm3   ? = 7 × 5 / 2 = 17.5 Nm3 O2       공기 중 O2의 부피 비 = 21% 이고,공기 중 N2의 부피 비 = 79% 이므로,( 참고 .. 2025. 2. 22.
A 농도는 그대로 B 농도를 처음의 2배로 반응속도 A 농도는 그대로 B 농도를 처음의 2배로 반응속도     27.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A의 농도는 그대로 하고B의 농도를 처음의 2배로 해주면반응속도는 처음의 몇 배가 되겠는가?2A + 3B → 3C + 4D① 2배② 4배③ 8배④ 16배   ------------------------   [참고] 단일단계 반응의 속도 법칙[ https://ywpop.tistory.com/7877 ]       단일단계 반응이라 가정하면,2A + 3B → 3C + 4D 반응의 속도 법칙은v1 = k [A]^2 [B]^3(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 )       A 농도는 그대로, B의 농도를 처음의 2배로 해주면,v2 = k [A]^2 [2]^3이므로,   v2 / v1 = {.. 2025. 1. 18.
287 kPa 1 m3 기체질량 2 kg 온도 기체상수 287 J/kg•K 287 kPa 1 m3 기체질량 2 kg 온도 기체상수 287 J/kg•K     압력이 287 kPa일 때 체적 1 m3의 기체질량이 2 kg이었다.이때 기체의 온도는 약 몇 ℃가 되는가?(단, 기체상수는 287 J/kg•K이다.)     35. 압력이 287kPa일 때 체적 1m3의 기체질량이 2㎏이었다. 이때 기체의 온도는 약 몇 ℃가 되는가? (단, 기체상수는 287J/㎏·K이다.)① 127② 227③ 447④ 547   ------------------------   기체상수가 287 J/kg•K 로 주어졌기에,> 1 J = 1 Pa•m3---> 기체의 압력은 Pa, 부피는 m3 사용.> 기체의 양은 kg 사용.       이상 기체 방정식PV = mRT 로부터,( 참고 https://y.. 2025. 1. 17.
탄소 1 kg 이론공기량 완전연소 발생 연소가스량(Nm3) 탄소 1 kg 이론공기량 완전연소 발생 연소가스량(Nm3)     탄소 1 kg을 이론공기량으로 완전 연소시켰을 때발생되는 연소가스량은 약 몇 Nm3인가?     40. 탄소 1kg을 이론공기량으로 완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연소가스양은 약 몇 Nm3 인가?① 8.9② 10.8③ 11.2④ 22.4   ------------------------   탄소, C의 몰질량 = 12 g/mol 이므로,탄소 1 kg(= 1000 g)의 몰수= 1000 g / (12 g/mol)= 83.33 mol C       탄소 연소 반응식C + O2 → CO2       C : O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83.33 mol C 연소에 필요한O2의 몰수 = 83.33 mol       기체.. 2025. 1. 13.
CH4 연소열(kJ). CH4, CO2, H2O 생성열 75, 394, 242 kJ/mol CH4 연소열(kJ). CH4, CO2, H2O 생성열 75, 394, 242 kJ/mol     CH4, CO2, H2O의 생성열이 각각75 kJ/mol, 394 kJ/mol, 242 kJ/mol 일 때CH4의 완전 연소 발열량은 약 몇 kJ 인가?     30. CH4, CO2, H2O 의 생성열이 각각 75 kJ/kmol, 394 kJ/kmol, 242 kJ/kmol 일 때 CH4 의 완전 연소 발열량은 약 몇 kJ 인가?① 803② 786③ 711④ 636   ------------------------   CH4 연소 반응식CH4(g) + 2O2(g) → CO2(g) + 2H2O(l)   또는CH4(g) + 2O2(g) → CO2(g) + 2H2O(g)( 이 예제에선, H2O(l)인지 H2O.. 2025. 1. 12.
시료액체의 밀도. 측정용기 11.6125 g, 증류수 13.1682 g, 시료 12.8749 g 시료액체의 밀도. 측정용기 11.6125 g, 증류수 13.1682 g, 시료 12.8749 g     20℃에서 어떤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측정용기의 무게가 11.6125 g,증류수를 채웠을 때가 13.1682 g,시료 용액을 채웠을 때가 12.8749 g이라면이 시료 액체의 밀도는 약 몇 g/cm3인가?(단, 20℃에서 물의 밀도는 0.99823 g/cm3이다.)     85. 20℃에서 어떤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용기의 무게가 11.6125 g, 증류수를 채웠을때가 13.1682g, 시료 용액을 채웠을 때가 12.8749g 이라면 이 시료액체의 밀도는 약 몇 g/cm3 인가? (단, 20℃에서 물의 밀도는 0.99823 g/cm3 이다.)① 0.791② 0.801③ 0.810④ 0... 2025.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