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실험기구27

질산은(AgNO3) 실험 후 손바닥에 생긴 검은 반점 질산은(AgNO3) 실험 후 손바닥에 생긴 검은 반점 Working with silver nitrate solutions, small skin contaminants gave rise to black spots on the skin. --------------------------------------------------- [ 그림 출처 Wikimedia ] A hand stained black by silver nitrate, 17 hours after contact. > 위 사진을 찍은 사람은 이 사진 한 장을 찍기 위해서 일부러(고의로) 질산을 수용액을 손바닥에 묻힌 것 같다. > 필자도, 만약, 지금 현역(?)에 있다면, 위 사람처럼 질산은 수용액을 손바닥에 묻혀, 시간(날짜)에 따른 탈색과정을.. 2023. 3. 24.
[실험기구] 석면 철망. wire gauze with ceramic center [실험기구] 석면 철망. wire gauze with ceramic center --------------------------------------------------- [키워드] 석면 철망 기준문서 2023. 3. 12.
지시약은 조금만 사용하는 이유 지시약은 조금만 사용하는 이유 --------------------------------------------------- 일반적인 적정 실험에서 지시약은 약간만 사용한다. 왜냐하면, 적정 반응 도중, 지시약과 반응하는 물질이 이제 막 생성되거나 또는 더 이상 소모되지 않고 이제 막 남아있을 당시에는 ( 즉, 당량점을 막 벗어난 지점에서는 ) 그 물질의 양도 매우 적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시약은 소량만 사용하는 것이다. 지시약을 소량만 가해주어도 사용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시약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넣으면, 실험의 주 반응을 방해할 수도 있고, 실험 후 폐기물이 많이 발생하는 등 단점 밖에 없다. 1% 용액 등과 같은 숫자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적정 실험을 설계한 과학자들이 실.. 2022. 11. 28.
[유리기구] Boro 3.3 glass [유리기구] Boro 3.3 glass --------------------------------------------------- 화학 실험에 사용되는 유리 기구의 재질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물리적 성질 및 화학적 성질이 아주 매우 우수한 유리와 ( 떨어뜨려도 잘 안깨지고, 높은 온도로 가열해도 잘 안깨지는 ) 그냥 우수한 유리. > 아주 매우 우수한 유리 = 비싼 고급 유리 = Borosilicate glass = Boro 3.3 glass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Borosilicate_glass ) > 그냥 우수한 유리 = 저렴한 일반 유리 = Soda-lime glass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Soda%E2%.. 2022. 10. 5.
[실험] 비중병으로 고체 시료의 밀도 측정 [실험] 비중병으로 고체 시료의 밀도 측정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미지 고체 시료의 밀도를 구하시오. > 물의 밀도 = 0.97 g/mL > 25 mL 비중병의 무게: 15 g > 비중병에 증류수만 채운 무게: 40 g > 비중병에 미지 고체 15 g 넣고 증류수를 채운 무게: 46 g --------------------------------------------------- [그림] 비중병. pycnometer. > 증류수의 무게 = 40 – 15 = 25 g > 증류수의 부피 = 25 g / (0.97 g/mL) = 25.7732 mL = 비중병의 정확한 부피 (보정된 부피) 비중병 + 고체 + 증류수 = 46 g 이고, 비중병의 무게 = 15 g 이고, 고체의 무게 = 15 g 이므로,.. 2022. 6. 23.
분별 깔때기. 분액 깔때기. separatory funnel 분별 깔때기. 분액 깔때기. separatory funnel separation funnel, separating funnel, colloquially sep funnel --------------------------------------------------- [ 그림 출처 Wikimedia ] Two separatory funnels. A: cone, or pear shaped, B: cylindrical. [키워드] 실험기구 기준문서, 혼합물의 분리 기준문서 2022. 5. 21.
둥근바닥 플라스크. round-bottom flask 둥근바닥 플라스크. round-bottom flask --------------------------------------------------- [ 그림 출처 Wikimedia ] 500 mL round bottom flask.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3096 ] 히팅 맨틀. 가열교반기 [키워드] 실험기구 기준문서, 플라스크 기준문서, 반응용기 기준문서 2022. 5. 21.
리비히 냉각기. Liebig condenser 리비히 냉각기. Liebig condenser Liebig 콘덴서. 직선형 콘덴서 --------------------------------------------------- [ 그림 출처 Wikimedia ] Two Liebig condensers.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644 ] 증류와 분별증류의 차이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862 ] 합성 실험을 할 때 reflux하는 이유 [키워드] 실험기구 기준문서, 증류장치 기준문서, 냉각장치 기준문서 2022. 5. 21.
[실험기구] 막자사발과 막자. mortar and pestle [실험기구] 막자사발과 막자. mortar and pestle > 실험실에서 고체 시료를 빻거나 갈아 가루로 만드는 데 쓰는 도구 > 덩어리로 된 시료를 막자사발에 넣고 막대 모양의 막자로 눌러서 간다. > 사기나 유리재질로 되어 있다. > 유발(乳鉢)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Tools used to prepare ingredients or substances by crushing and grinding them into a fine paste or powder in the kitchen, laboratory, and pharmacy. [키워드] 막자사발 기준문서, 실험기구 기준문서 2021. 3. 21.
[유리기구] 부피 플라스크와 표선 [유리기구] 부피 플라스크와 표선 --------------------------------------------------- 부피 플라스크를 살펴보면, 가는 목의 중간 부분에 선이 1개 그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선을 “표선”이라 한다. [ 그림 출처 ] Volumetric flask with plastic stopper. 부피 플라스크와 플라스틱 마개. ( 부피 플라스크 = 메스 플라스크 = 용량 플라스크 = volumetric flask ) 부피 플라스크에 액체를 부어서 이 표선까지 채우면, 부피 플라스크의 겉면에 적혀있는 숫자만큼의 양(액체의 부피)이 채워진다. 즉, 부피 플라스크의 표선까지 액체를 채우면, 부피 플라스크의 겉면에 적혀있는 숫자만큼의 양이 담겨지도록 공장에서 만들어놓은 것이다.. 2021.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