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20장] 전기화학316 Cu^2+ 0.10 M 0.010 M 전위차 0.41 V 패러데이 상수 Cu^2+ 0.10 M 0.010 M 전위차 0.41 V 패러데이 상수 환원전극/산화전극의 Cu^2+ 농도가 각각 0.10 M, 0.010 M이고 전위차가 0.41 V일 때, 패러데이 상수는? --------------------------------------------------- Cu^2+ 농도가 각각 0.10 M, 0.010 M인 농도차 전지의 기전력을 계산하면, 네른스트 식 E = E° – (0.0592 V / n) × logQ = 0 – (0.0592 / 2) × log(0.010 / 0.10) = 0.0296 V ( 참고: 농도차 전지 https://ywpop.tistory.com/9626 ) ---> 전위차 0.41 V는 가상의 값이라 가정하겠다. 네른스트 식 E = E° – (RT / n.. 2021. 11. 23. STP 조건에서 18 g water 전기분해 시 생성되는 H2의 부피 STP 조건에서 18 g water 전기분해 시 생성되는 H2의 부피 --------------------------------------------------- ▶ 참고: 물의 전기분해 [ https://ywpop.tistory.com/5654 ] --------------------------------------------------- 18 g / (18 g/mol) = 1 mol H2O 2H2O → 2H2 + O2 H2O : H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생성되는 H2의 몰수 = 1 mol STP 조건에서, 기체 1 mol = 22.4 L ( 참고: 몰부피 https://ywpop.tistory.com/8321 ) 답: 22.4 L [키워드] vol H2 18 g water el.. 2021. 11. 22. CrCl3 용액에서 크롬 금속 35.0 g 환원에 필요한 전기량(C) CrCl3 용액에서 크롬 금속 35.0 g 환원에 필요한 전기량(C) Cr의 원자량 = 52.00 --------------------------------------------------- ▶ 참고: 전기분해의 화학량론 [ https://ywpop.tistory.com/4461 ] --------------------------------------------------- 35.0 g / (52.00 g/mol) = 0.6730769 mol Cr Cr^3+(aq) + 3e^- → Cr(s) (0.6730769 mol Cr) (3 mol e^- / 1 mol Cr) (96500 C / 1 mol e^-) = (0.6730769) (3) (96500) = 1.95×10^5 C 답: 1.95×10^5 C 2021. 11. 20. 납축전지 12 V 전압 생성 6개 전지 직렬 연결 납축전지 12 V 전압 생성 6개 전지 직렬 연결 다음 납축전지의 반응에 대한 올바른 답은? Pb(s) + PbO2(s) + 2H^+(aq) + 2HSO4^-(aq) → 2PbSO4(s) + 2H2O(l) ... E° = +1.92 V 12 V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___ --------------------------------------------------- ▶ 참고: 납축전지 [ https://ywpop.tistory.com/4282 ] --------------------------------------------------- 답: 6개의 전지를 직렬로 연결한다. [키워드] 납축전지 기준문서 2021. 11. 20. 네른스트 식. Cr | Cr^3+ (0.1 M) || Fe^2+ (0.01 M) | Fe 네른스트 식. Cr | Cr^3+ (0.1 M) || Fe^2+ (0.01 M) | Fe Calculate the emf of the cellCr | Cr^3+ (0.1 M) || Fe^2+ (0.01 M) | FeE°(Cr^3+/Cr) = –0.75 VE°(Fe^2+/Fe) = –0.45 V > 산화: Cr → Cr^3+ + 3e^-> 환원: Fe^2+ + 2e^- → Fe > 산화: 2Cr → 2Cr^3+ + 6e^-> 환원: 3Fe^2+ + 6e^- → 3Fe---> n = 6 > 전체: 2Cr(s) + 3Fe^2+(aq) → 2Cr^3+(aq) + 3Fe(s)Q = [Cr^3+]^2 / [Fe^2+]^3= (0.1)^2 / (0.01)^3 > E.. 2021. 11. 20. redox balance HSO3^- + ClO3^- → SO4^2- + Cl^- (acidic) redox balance HSO3^- + ClO3^- → SO4^2- + Cl^- (acidic) 산성 용액에서, 아황산수소 이온은 염소산 이온과 반응하여 황산 이온과 염화 이온을 생성한다. 이 반응에 대한 균형 이온 반응식을 쓰시오. --------------------------------------------------- ▶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산성 용액) [ https://ywpop.tistory.com/4264 ] --------------------------------------------------- 1. 반쪽 반응식 나누기 산화: HSO3^- → SO4^2- (S의 산화수는 +4에서 +6으로 증가, HSO3^-는 산화됨.) 환원: ClO3^- → Cl^- (Cl의 산화수.. 2021. 11. 20. 네른스트 식. Fe | Fe^2+ (1.500 M) || Au^3+ (0.00400 M) | Au 네른스트 식. Fe | Fe^2+ (1.500 M) || Au^3+ (0.00400 M) | Au Find the emf of the cell described by the cell diagramFe | Fe^2+ (1.500 M) || Au^3+ (0.00400 M) | AuA) 1.99 VB) 1.89 VC) 1.94 VD) 1.66 VE) 1.91 V > 산화: Fe → Fe^2+ + 2e^-> 환원: Au^3+ + 3e^- → Au > 산화: 3Fe → 3Fe^2+ + 6e^-> 환원: 2Au^3+ + 6e^- → 2Au---> n = 6 > 전체: 3Fe(s) + 2Au^3+(aq) → 3Fe^2+(aq) + 2Au(s)Q = [Fe^2+]^3 / [Au^3.. 2021. 11. 19. 가장 강한 산화제. MnO4^- 가장 강한 산화제. MnO4^- 산성 용액에서 다음 표준 환원 전위를 고려할 때Cr^3+ + 3e^- → Cr ... E° = –0.74 VCo^2+ + 2e^- → Co ... E° = –0.28 VMnO4^- + 8H^+ + 5e^- → Mn^2+ + 4H2O ... E° = +1.51 V 가장 강한 산화제는 무엇인가?1) Cr^3+2) Cr3) Mn^2+4) Co^2+5) MnO4^- ▶ 표준 환원 전위 값이 클수록, 강한 산화제.(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27 ) ▶ 산화수가 가장 높은 원자를 가진 화합물이 가장 강한 산화제.(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68 ) 답: MnO4^- .. 2021. 11. 19. Sn(s) + Cu^2+(aq) → Sn^2+(aq) + Cu(s) 0.48 V Sn(s) + Cu^2+(aq) → Sn^2+(aq) + Cu(s) 0.48 V 다음 반응을 하는 전지의 표준 기전력이 0.48 V일 때, Sn(s) + Cu^2+(aq) → Sn^2+(aq) + Cu(s) Sn^2+의 표준 환원 전위는? 단, E°(Cu^2+/Cu) = 0.34 V --------------------------------------------------- Sn(s) + Cu^2+(aq) → Sn^2+(aq) + Cu(s) > 산화된 물질 = Sn > 환원된 물질 = Cu^2+ E°cell = E°red(환원전극) – E°red(산화전극) = (환원된 물질의 표준환원전위) – (산화된 물질의 표준환원전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558 ) 0.48 V .. 2021. 11. 19. Pt(s) | H2(g) | H^+(aq) || Ag^+(aq) | Ag(s) Pt(s) | H2(g) | H^+(aq) || Ag^+(aq) | Ag(s) 다음 전지도식을 전체 전지반응으로 나타내시오. Pt(s) | H2(g) | H^+(aq) || Ag^+(aq) | Ag(s) --------------------------------------------------- ▶ 참고: 전지도식. cell diagram [ https://ywpop.tistory.com/3072 ] --------------------------------------------------- ▶ 산화 반쪽 반응 H2(g) → 2H^+(aq) + 2e^- ( 참고: SHE https://ywpop.tistory.com/8305 ) ▶ 환원 반쪽 반응 2Ag^+(aq) + 2e^- → 2Ag(s) ▶ 전체 .. 2021. 11. 1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