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19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개수비와 질량비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개수비와 질량비     (1) 헬륨 원자핵 생성 전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와(2) 헬륨 원자핵 생성 후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개수비를 쓰시오.   ------------------------   (1) 헬륨 원자핵 생성 전,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 우주 초기 대폭발(빅뱅) 직후, 고온 상태에서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더 안정했기 때문에대부분이 양성자로 존재했다.답: 양성자 : 중성자 = 7 : 1       (2) 헬륨 원자핵 생성 후,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개수비> 빅뱅 핵합성에서,초기 우주의 25%는 헬륨으로, 나머지 75%는 수소로 변환되었다.이 때문에 수소 원자핵이 헬륨 원자핵보다 약 12배 더 많이 남았다.답: 수소 원자핵 : 헬륨 원자핵 ≒ 12.. 2025. 1. 26.
별의 중심에서 생성되는 원소 별의 중심에서 생성되는 원소   ------------------------   1. 무거운 원소일수록 (낮은/높은) 온도에서 반응>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핵융합 과정에서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답: 높은       2. 질량이 큰 별일수록 중심 온도가 (높아짐/낮아짐)> 질량이 큰 별은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중심부의 압력과 온도가 높아진다.답: 높아짐       3. 별의 질량에 따라 생성되는 가장 무거운 원소1)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 탄소(C) 또는 산소(O)2) 질량이 태양보다 매우 큰 별: 철(Fe)       4. 별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가장 무거운 원소: 철(Fe)이유: 가장 (안정한) 원소이기 때문(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45 )( 참.. 2025. 1. 26.
[교재 목차] 일반물리학 11판, 개정판 [교재 목차] 일반물리학 11판, 개정판   ------------------------   > 저자: Raymond A. Serway,Chris Vuille> 번역: 일반물리학 교재집필위원회> 출판: 북스힐> 발행: 2023.03.05.       PART 1 역학Chapter 1. 단위, 삼각함수 및 벡터Chapter 2. 일차원 운동Chapter 3. 이차원 운동Chapter 4. 뉴턴의 운동법칙Chapter 5. 에너지Chapter 6. 운동량, 충격량, 충돌Chapter 7. 회전 운동과 중력Chapter 8. 회전 평형과 회전 동역학Chapter 9. 고체와 유체     PART 2 열역학Chapter 10. 열물리학Chapter 11. 열과정에서의 에너지Chapter 12. 열역학 법칙.. 2025. 1. 21.
세포막의 막 전위(membrane potential) 세포막의 막 전위(membrane potential)   ------------------------   일반적인 상태에서는세포막의 안쪽이 음전하, 바깥쪽이 양전하를 띤다.       [1] 세포막 전위의 기본 원리   1. 이온 분포 차이세포막은 선택적 투과성을 가진 이중층 구조로,특정 이온들의 이동을 조절한다.> 세포 안쪽: 칼륨 이온(K^+) 농도가 높고,단백질 등 음전하(–)를 띠는 물질들이 많다.> 세포 바깥쪽: 나트륨 이온(Na^+)과 염소 이온(Cl^-) 농도가 높다.     2. 이온 펌프의 작용세포막에는 나트륨-칼륨 펌프(Na^+/K^+ ATPase)가 존재하여ATP 에너지를 사용해 Na^+를 세포 밖으로, K^+를 세포 안으로 이동시킨다.이 펌프는 3개의 Na^+를 내보내고 2개의.. 2025. 1. 8.
earth. 전세계의 바람, 날씨, 바다 상태를 보는 지도 earth. 전세계의 바람, 날씨, 바다 상태를 보는 지도       earth :: a global map of wind, weather, and ocean conditions[ https://earth.nullschool.net/ ]   See current wind, weather, ocean, and pollution conditions, as forecast by supercomputers, on an interactive animated map. Updated every three hours.   슈퍼컴퓨터로 예보하는 현재의 바람, 날씨, 해양 및 오염 상황을 확인하세요.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맵은 세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됩니다.         [그림 1] earth 초기 화면.화살표가 .. 2024. 10. 29.
500 kg rock tension 2000 N density 500 kg rock tension 2000 N density A 500 kg rock whose density is unknown is suspended by a string such that 1⁄2 of the rock’s volume is under water. The tension is 2000 N. Find the density of the rock. --------------------------------------------------- [rock의 부피의 1/2이 물에 잠긴 조건] T = mg[1 – (ρ_w / 2ρ_r)]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4029 ) 1 – (ρ_w / 2ρ_r) = T / mg ρ_w / 2ρ_r = 1 – (T / mg) ρ.. 2023. 6. 22.
5.0 kg rock whose density is 4800 kg/m3 5.0 kg rock whose density is 4800 kg/m3 A 5.0 kg rock whose density is 4800 kg/m3 is suspended by a string such that half of the rock’s volume is under water. What is the tension in the string? --------------------------------------------------- from Newton’s first law, T + F_B – mg = 0 > tension, T > buoyant force, F_B = ρ_w g V T = mg – F_B rock의 밀도 = 질량 / 부피 이므로, ρ_r = m / V V = m / ρ_r T = m.. 2023. 6. 22.
이공계 대학 목표 과탐 선택 조건 ★ 이공계 대학 목표 과탐 선택 조건 과탐 선택과목을 고를 때, 어떤 과목을 선택할 것인가?는 현재 학생의 과탐 성적을 고려해야 한다. 가장 이상적인 선택은 대학에서 전공 공부할 때 도움되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다. 가령, 전자공학 또는 기계공학 전공이 목표라면, ‘물리’는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그런데, 현재 ‘물리’ 과목 성적이 가장 나쁘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비록 대학에서 전공 공부할 때 물리를 공부해 놓으면 많은 도움이 되지만, 물리는 선택하면 안 된다. 왜? 지금은 목표로 하는 대학에 안정적으로 합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단, 다른 과목 성적이 월등히 좋아서 과탐 성적이 조금 안 좋아도 목표 대학 합격에 큰 영향이 없다면, 물리를 선택해도 된다. [참고] 대학.. 2023. 6. 5.
달무리. lunar halo 달무리. lunar halo --------------------------------------------------- [ 그림 출처 Wikimedia ] Moon Halo. 달무리는 달 주위에 나타나는 동그란 빛의 띠로, 대기 중에 떠 있는 먼지나 얼음 알갱이에 의해 달빛이 굴절, 반사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그래서 달무리는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날 보다는 얼음 알갱이가 하늘에 엷게 퍼져 만들어지는 구름인 권운과 권층운이 낀 날에 쉽게 나타난다. 옛말에 “달무리가 있으면 비가 온다”는 말이 있는데, 실제로 달무리가 나타나는 날은 비가 올 확률이 60~70% 정도로 매우 높은 편이다. [ 관련 글 https://ko.wiktionary.org/wiki/%EB%8B%AC%EB%AC%B4%EB%A6.. 2023. 1. 6.
인버터와 컨버터의 차이 인버터와 컨버터의 차이 --------------------------------------------------- ▶ 인버터. inverter > 직류를 교류로 바꾸는 장치 >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은 직류 전력을 가정용 전자제품에 사용하려면 인버터가 필요함. >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때도 사용 ▶ 컨버터. converter >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장치 > 노트북 어댑터 등 DC 전압이 필요한 소형 전자기기의 어댑터가 분류상 컨버터임. > 신호 또는 에너지의 모양을 변환하는 장치 >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 [키워드] 인버터 컨버터 기준문서, 컨버터 인버터 기준문서, 인버터 컨버터 사전, 컨버터 인버터 사전 2022.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