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광학139 2.31×10^(-5) M 1.00 cm 266 nm 0.822 2.31×10^(-5) M 1.00 cm 266 nm 0.822 The absorbance of a 2.31×10^(-5) M solution of a compound is 0.822 at a wavelength of 266 nm in a 1.00 cm cell. Calculate the molar absorptivity at 266 nm. --------------------------------------------------- A = ε • C • L = 0.82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905 ) ε = 0.822 / (1.00 cm × 2.31×10^(-5) M) = 0.822 / (1.00 × 2.31×10^(-5)) = 35584 M^-1 cm^-1 답: .. 2023. 3. 24. 1H-NMR spectrum of 1-chloro-2-methylpropane 1H-NMR spectrum of 1-chloro-2-methylpropane ClCH2CH(CH3)2 분자의 고분해능 1H-핵자기공명 분광 1차 스펙트럼에서 a, b 및 c 수소 봉우리의 다중도는? --------------------------------------------------- ▶ NMR 다중선: (n + 1) 규칙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34 ) [그림] 1-chloro-2-methylpropane의 구조식. 화학적으로 동등한 수소는 3종류. ▶ a) red H의 피크는 2중선. ---> n + 1 = 1 + 1 = 2 ▶ b) blue H의 피크는 9중선. ---> n + 1 = (2 + 6) + 1 = 9 ▶ c) green H의 피크는 2중선. --.. 2023. 2. 4. UV 흡수견. 어깨 견. shoulder UV 흡수견. 어깨 견. shoulder lambda max shoulder --------------------------------------------------- ▶ 참고: 자외선 분광법 [ https://ywpop.tistory.com/12905 ] --------------------------------------------------- 자외가시부 흡광도 측정법에 따라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할 때 파장 281 ~ 285 nm 및 325 ~ 329 nm에서 흡수 극대를 나타내고, 파장 305 ~ 309 nm에서 흡수 극소를 나타내며, 파장 330 ~ 340 nm에서 흡수견을 나타낸다. [ 그림 출처 Wikimedia ] UV spectrum of ferulic acid, with λ_max at.. 2023. 1. 26. 묽힌 용액의 투과도. 64% 투과 1/2 묽힘 묽힌 용액의 투과도. 64% 투과 1/2 묽힘 어떤 농도의 시료는 특정 파장의 입사광 64%를 투과하였다. 이 시료의 농도를 1/2로 묽힌 용액의 동일 파장에 대한 투과도(T)는? 단, 용매는 해당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 않는다. --------------------------------------------------- 흡광도 = log(1/투과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737 ) 희석전 흡광도 = log(1/0.64) = 0.1938 흡광도와 농도는 비례하므로, ( 참고: A = ε • C • L https://ywpop.tistory.com/12905 ) 농도를 1/2로 묽힌 용액 ---> 흡광도도 1/2 희석후 흡광도 = 0.1938 / 2 = 0.0969 0... 2023. 1. 24. 투과율이 20%인 용액의 흡광도 투과율이 20%인 용액의 흡광도 단, log(2) = 0.3 --------------------------------------------------- A = log(1/T) = log(1 / (20/100)) = log(1 / 0.20) = 0.699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55 ) 또는 A = 2 – log(%T) = 2 – log(20) = 0.699 log(2) = 0.3 을 이용하면, log(20) = log(2×10) = log(2) + log(10) = 0.3 + 1 = 1.3 A = 2 – 1.3 = 0.7 [키워드] 흡광도 기준문서, 투광도 기준문서, 투과도 기준문서, 투광도를 흡광도로 기준문서, 흡광도와 투광도 기준문서, 투광도와 흡광도 기준문서,.. 2022. 11. 25. 결합 세기와 IR 흡수 파수(wavenumber) 결합 세기와 IR 흡수 파수(wavenumber) --------------------------------------------------- ▶ 결합의 종류에 따른 대략적인 IR 흡수 파수 탄소–탄소 결합을 예로 들면, > C–C 단일 결합: ~1000 cm-1 (지문영역) > C=C 이중 결합: ~1650 cm-1 > C≡C 삼중 결합: ~2200 cm-1 ▶ 다중 결합일수록, > 결합 길이는 감소한다. > 결합 에너지는 증가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143 ) ---> 결합 에너지가 증가하면, IR 흡수 파수도 증가한다. ( 참고: E = hν https://ywpop.tistory.com/4964 ) ▶ 다중 결합일수록, > 두 원자 사이의 전자 밀도는 증가.. 2022. 11. 11.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를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혼합물 속 각 성분은 분자간 힘 등의 이유로 ① 이동상 물질과 상호작용이 강할수록, 이동상과 함께 빨리 이동한다. ---> 가장 먼저 검출기를 통과. ② 고정상(정지상) 물질과 상호작용이 강할수록, 고정상에 오래 머문다. ---> 가장 늦게 검출기를 통과. 위 2개 요인 중 하나에 의해 또는 2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혼합물은 각각의 성분으로 분리된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2497 ]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래프 크로마토그램 [키워드] 크로마토그래피 기준문서, 크로마토그래피 사전 2022. 10. 31.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래프 크로마토그램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래프 크로마토그램 Chromatography Chromatograph Chromatogram --------------------------------------------------- ▶ 크로마토그래피. Chromatography > 고정상과 이동상 사이에서 혼합물을 각각의 성분으로 분리하여 혼합물을 분석하는 방법(기술).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이동상이 액체 (Liquid)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이동상이 기체 (Gas) ▶ 크로마토그래프. Chromatograph >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을 사용해서 혼합물을 분석하는 분석 기기(장치). ▶ 크로마토그램. Chromatogram > 크로마토그래프 기기로 분석해서 얻은 그래프 형태의 결과물. > IR, NMR 등의 분석 결과물인.. 2022. 10. 24. AAS 원자 흡수 분광법 조작 순서 AAS 원자 흡수 분광법 조작 순서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 ▶ 참고: AAS 원자흡수분광법 개요 [ https://ywpop.tistory.com/19783 ] --------------------------------------------------- ▶ 표준시료 농도별로 희석 조제 ▶ 시료용액 조제 > 왕수, 질산, 황산 등으로 시료 중 유기물 분해 > 탈이온수로 용해시켜 검액 완성 ▶ 배기후드 작동 ▶ 측정 원소에 맞는 램프 설치. 슬릿, 파장 선택 ▶ 측정 원소에 맞는 버너 설치 ▶ 연소가스 밸브 열어서 가스 공급 ▶ 분광기 전원 공급 ▶ 불꽃 점화, 불꽃 안정 후, 램프 .. 2022. 8. 27. [기기분석] C4H8O H-NHR 9.8 ppm 2.4 ppm [기기분석] C4H8O H-NHR 9.8 ppm 2.4 ppm This compound has the formula C4H8O. When expanded, the singlet peak at 9.8 ppm in the 1H NMR spectrum is, in fact, a triplet. The triplet pattern at 2.4 ppm turns out to be a triplet of doublets when expanded. --------------------------------------------------- IHD = C + 1 – (H – N + X)/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85 ) = 4 + 1 – (8 – 0 + 0)/2 = 1 ---> 이.. 2022. 6. 17. 이전 1 2 3 4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