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5장] 열화학422

ΔH 계산. H(g) + Br(g) → HBr(g) ΔH 계산. H(g) + Br(g) → HBr(g)     You are given the following data:(1) H2(g) → 2H(g) ... ΔH° = 436.4 kJ(2) Br2(g) → 2Br(g) ... ΔH° = 192.5 kJ(3) H2(g) + Br2(g) → 2HBr(g) ... ΔH° = –104 kJ   Calculate the ΔH° for the reaction:H(g) + Br(g) → HBr(g)   ------------------------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H(g) + Br(g) → HBr(g)---> 이 식을 ‘타깃’이라 한다.       .. H(g) → 1/2 H2(g.. 2025. 2. 14.
프로판 생성열. 프로판 생성엔탈피 프로판 생성열. 프로판 생성엔탈피반응엔탈피로 생성엔탈피 계산   ------------------------   ΔH°_rxn = [생성물들의 ΔH°_f 합] – [반응물들의 ΔH°_f 합]= [3×ΔH°_f(CO2,g) + 4×ΔH°_f(H2O,l)] – [1×ΔH°_f(C3H8,g) + 5×ΔH°_f(O2,g)]= [3×(–393.5) + 4×(–285.8)] – [1×(–103.85) + 5×(0)]= –2219.9 kJ( 참고 https://ywpop.tistory.com/3431 )       ΔH°_rxn = [3×(–393.5) + 4×(–285.8)] – [1×(–103.85) + 5×(0)]= –2219.85 kJ---> 프로판의 연소엔탈피(= 반응엔탈피)       프로판의 생성.. 2025. 2. 2.
질소 수소 암모니아 반응 ΔH –90 kJ 15 atm 4 L 감소 내부 에너지 질소 수소 암모니아 반응 ΔH –90 kJ 15 atm 4 L 감소 내부 에너지     질소와 수소로 암모니아를 만드는 반응의 ΔH = –90 kJ이다.이 반응이 15 atm의 일정 압력하에서 일어나고부피가 4 L 감소하였을 때,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kJ]은?   ------------------------   ΔU = q + w(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19 )       w = –PΔV= –(15 atm) (–4 L)= 60 atm•L       [참고] 부피가 4 L 감소“ΔV = 나중부피 – 처음부피” 이므로,부피가 감소하면,“나중부피 “나중부피 – 처음부피” 계산 결과는 음수(–)가 된다.       기체상수, R 값으로부터,0.08206 atm•L.. 2025. 1. 29.
H2와 CH4 기체 혼합물 25.0 g 연소 2354 kJ 발생 H2와 CH4 기체 혼합물 25.0 g 연소 2354 kJ 발생     수소(H2)와 CH4의 기체 혼합물 25.0 g을 연소시키면2354 kJ의 열이 발생한다.각 기체의 양을 g 단위로 계산하세요.     The combustion of a 25.0 g gaseous mixture of H2 and CH4 releases 2354 kJ of heat. Calculate the amount of each gas in grams.   ------------------------   H2, 수소 연소 반응식H2(g) + 1/2 O2(g) → H2O(l) ... ΔH° = –285.8 kJ/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1175 )     CH4, 메테인 연소 반응식CH.. 2025. 1. 9.
H2(g)와 CH4(g) 21.3%와 78.7% 부피 304.6 K, 2.50 atm 혼합물 15.6 L H2(g)와 CH4(g) 21.3%와 78.7% 부피 304.6 K, 2.50 atm 혼합물 15.6 L     특정 온도와 압력의 H2(g)와 CH4(g)를21.3%와 78.7%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였다.304.6 K, 2.50 atm에서 측정된 위의 기체 혼합물 15.6 L를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시켰다.발생된 열(양수)은 몇 kJ인지 계산하세요.(R = 0.082057 atm•L/mol•K)2H2(g) + O2(g) → 2H2O(l) ... ΔH°_반응 = –571.6 kJ/molCH4(g) + 2O2(g) → CO2(g) + 2H2O(l) ... ΔH°_반응 = –890.3 kJ/mol   ------------------------   [참고]2H2(g) + O2(g) → 2H2O(l) ... .. 2025. 1. 7.
나프탈렌 C10H8 64 g 통열량계 연소 300 K에서 310 K 몰당 반응열 나프탈렌 C10H8 64 g 통열량계 연소 300 K에서 310 K 몰당 반응열     나프탈렌(C10H8) 64 g을 통열량계에서 연소시켰을 때,열량계의 온도가 300 K에서 310 K로 상승하였다.나프탈렌의 연소에 대한 몰당 반응열(kJ/mol)은?(단, 수소와 탄소의 원자량은 각각 1, 12 이고,열량계의 열용량은 10 kJ/K 이다.)       [참고] 열용량과 비열[ https://ywpop.tistory.com/2897 ]       열량계가 흡수한 열을 계산하면,q = C_cal •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69 )   = (10 kJ/K) (310 – 300 K)= +100 kJ       열량계가 흡수한 열 = +100 kJ 이므로,반응 계.. 2024. 12. 25.
1 kg 물체에 3 kcal 열량을 가했더니 온도가 10℃에서 20℃로 1 kg 물체에 3 kcal 열량을 가했더니 온도가 10℃에서 20℃로     질량이 1 kg인 물체에 3 kcal의 열량을 가했더니온도가 10℃에서 20℃로 변하였다.질량이 6 kg인 같은 물체에 18 kcal의 열량을 가하면온도는 10℃에서 몇 ℃로 높아지겠는가?   ---------------------------------------------------   q = C m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질량이 1 kg인 물체에 3 kcal의 열량을 가했더니온도가 10℃에서 20℃로 변하였다.” 로부터,물체의 비열을 계산하면,C = q / (m Δt)= 3 / (1 × 10)= 0.3 kcal/kg•℃       질량이 6 kg인 같은 .. 2024. 12. 16.
질량 4 kg 식용유 온도 10℃ 16 kcal 열량 필요 식용유의 비열 질량 4 kg 식용유 온도 10℃ 16 kcal 열량 필요 식용유의 비열     질량이 4 kg인 식용유의 온도를 10℃ 높이는 데16 kcal의 열량이 필요하다고 할 때,식용유의 비열은 몇 kcal/(kg•℃)인지 구하시오.       q = C m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C = q / (m Δt)= 16 kcal / (4 kg × 10 ℃)= 0.4 kcal/(kg•℃)       답: 0.4 kcal/(kg•℃)         [키워드] 비열 기준 2024. 12. 1.
비열 0.4 J/g•℃ 물질 200 g 가열 온도 10℃ 상승 비열 0.4 J/g•℃ 물질 200 g 가열 온도 10℃ 상승     비열이 0.4 J/g•℃인 물질 200 g을 15분 동안 가열하여온도가 10℃ 올랐을 때 가해준 열량은?       q = C m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 (0.4 J/g•℃) (200 g) (10 ℃)= (0.4) (200) (10)= 800 J       답: 800 J         [키워드] 열용량과 비열 기준 2024. 11. 29.
25℃ 물 100 mL + 16℃ 물 100 mL 25℃ 물 100 mL + 16℃ 물 100 mL     25℃ 물 100 mL와 16℃ 물 100 mL를혼합했을 때 최종 온도는?       q = C m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같은 물질(C)이고, 같은 양(m)이므로,최종 온도를 x라 두면,고온 물질이 잃은 열(–q) = 저온 물질이 잃은 열(+q)   –(x – 25) = (x – 16)   2x = 41   x = 20.5       답: 20.5℃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0855 ]5℃ 물과 85℃ 물을 1:1로 섞으면 최종(평형) 온도는?       [키워드] 고온 물질이 잃은 열 기준 2024.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