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12776

9.8 g H2SO4 25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9.8 g H2SO4 25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H2SO4 9.8 g을 물에 녹여최종 부피를 250 mL로 정용하였다면이 용액의 노말 농도는?   ------------------------   H2SO4의 몰질량 = 98 g/mol 이고,H2S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9.8 g H2SO4의 eq수를 계산하면,(9.8 g) (1 mol / 98 g) (2 eq/mol)= (9.8) (1 / 98) (2)= 0.2 eq       노르말농도 = 용질 eq수 / 용액 L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6131 )   = 0.2 eq / 0.250 L= 0.8 eq/L   .. 2025. 3. 28.
2.42 m NaCl 용액 만들기 2.42 m NaCl 용액 만들기     2.42 m NaCl 용액을 증류수 472 g을 이용하여 만들기2.42 m NaCl 용액 제조에 필요한 NaCl의 질량(g)   ------------------------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2.42 m NaCl 용액= 2.42 mol NaCl / 1 kg H2O       용액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몰수를비례식으로 계산하면,NaCl : H2O = 2.42 mol : 1 kg = ? mol : 0.472 kg   ? = 2.42 × 0.472 = 1.14224 mol NaCl       [검산]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1.. 2025. 3. 27.
1 M NaOH 용액 250 mL 만들기 1 M NaOH 용액 250 mL 만들기     1 M NaOH 용액 250 mL 제조에 필요한 NaOH의 질량(g)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NaOH 시약의 질량(g)=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1 × 0.250 × 40.00= 10 g※ 시약의 순도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순도/100) 생략.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질량) 확인용이며,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504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NaOH 몰농도 기준, NaOH 몰농도 사전, 용액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질량.. 2025. 3. 27.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8.53×10^5 - 7.5×10^5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8.53×10^5 - 7.5×10^5sig fig. 8.53*10^5 - 7.5*10^5   ------------------------   [참고] 지수가 포함된 유효숫자 계산[ https://ywpop.tistory.com/4935 ]       8.53×10^5 – 7.5×10^5= (8.53 – 7.5)×10^5 = 1.03×10^5---> 0.1의 자릿수에 맞추면,= 1.0×10^5       답: 1.0×10^5         [키워드]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기준 2025. 3. 19.
유효숫자 혼합 계산. (7.8 - 0.34) / (1.15 + 0.82) 유효숫자 혼합 계산. (7.8 - 0.34) / (1.15 + 0.82)유효숫자 혼합 계산. (7.8 m - 0.34 m) / (1.15 s + 0.82 s)sig fig. (7.8 m - 0.34 m) / (1.15 s + 0.82 s)   ------------------------   [참고] 과학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https://ywpop.tistory.com/3211 ]       (7.8 – 0.34) = 7.46---> 이 계산 결과는 0.1의 자릿수이므로,다음 계산에서 유효숫자 2개임을 기억한다.       (1.15 + 0.82) = 1.97---> 이 계산 결과는 0.01의 자릿수이므로,다음 계산에서 유효숫자 3개임을 기억한다.       (7.8 – 0.34) / (1.. 2025. 3. 18.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3.6×10^(-4))×(3.6×10^6)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3.6×10^(-4))×(3.6×10^6)sig fig. (3.6*10^(-4))*(3.6*10^6)   ------------------------   [참고] 지수가 포함된 유효숫자 계산[ https://ywpop.tistory.com/4935 ]       (3.6×10^(-4))×(3.6×10^6) = 1296---> 유효숫자 2개에 맞추면,= 1300= 1.3×10^3       답: 1.3×10^3         [키워드] 지수형 유효숫자 곱셈 기준, 지수형 유효숫자 기준 2025. 3. 17.
유효숫자 혼합 계산. 2.32×(184.21+210.1)-1.2812×32+0.802 유효숫자 혼합 계산. 2.32×(184.21+210.1)-1.2812×32+0.802sig fig. 2.32×(184.21+210.1)-1.2812×32+0.802   ------------------------   [참고] 과학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https://ywpop.tistory.com/3211 ]       [계산1]   (184.21+210.1) = 394.31---> 이 계산 결과는 0.1의 자릿수이므로,다음 계산에서 유효숫자 4개임을 기억한다.       2.32×(184.21+210.1) = 914.7992---> 이 계산 결과는 유효숫자 3개이므로,다음 계산에서 1의 자릿수임을 기억한다.       [계산2]   1.2812×32 = 40.9984---> 이 계산 결과는.. 2025. 3. 16.
지수형 유효숫자 덧셈 계산. (2.01×10^2) + (3.014×10^3) 지수형 유효숫자 덧셈 계산. (2.01×10^2) + (3.014×10^3)sig fig. (2.01×10^2) + (3.014×10^3)   ------------------------   [참고] 지수가 포함된 유효숫자 계산[ https://ywpop.tistory.com/4935 ]       (2.01×10^2) + (3.014×10^3)= (0.201×10^3) + (3.014×10^3)= (0.201 + 3.014)×10^3---> 0.201, 3.014, 둘 다 0.001의 자릿수이므로,= 3.215×10^3= 3215       답: 3.215×10^3         [키워드]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기준 2025. 3. 12.
희석배율. 52 mg/L 용액을 45 mg/L로 희석 희석배율. 52 mg/L 용액을 45 mg/L로 희석     농도가 52 mg/L인 용액을45 mg/L로 만들려고 하면희석배율은?   ------------------------   희석 전,52 mg/L 용액의 부피를 1 L라 가정하자.       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V2 = M1V1 / M2= (52 mg/L) (1 L) / (45 mg/L)= 1.156 L---> 희석 후, 45 mg/L 용액의 부피       희석배수 = 희석후 양 / 희석전 양= 희석후 부피 / 희석전 부피(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73 )   = 1.156 / 1= 1.156       답: 1.156배    .. 2025. 3. 11.
유효숫자 혼합 계산. 723.5 - (743.5 / 8.1) 유효숫자 혼합 계산. 723.5 - (743.5 / 8.1)sig fig. 723.5 - (743.5 / 8.1)   ------------------------   [참고] 과학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https://ywpop.tistory.com/3211 ]       743.5 / 8.1 = 91.79012345679...---> 이 계산 결과는 유효숫자 2개이므로,다음 계산에서 1의 자릿수임을 기억한다.       723.5 – (743.5 / 8.1) = 631.7098765432...---> 1의 자릿수에 맞추면,= 632       답: 632         [키워드] 유효숫자 혼합 계산 기준 2025.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