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12950

30% NaOH 용액을 250 ppm 용액으로 만들기 30% NaOH 용액을 250 ppm 용액으로 만들기 30% NaOH 용액 100 g을 250 ppm 용액으로 만들기 [계산 방법 1] 30% NaOH 용액 = (30 g NaOH / 100 g 용액)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250 ppm NaOH 용액 = (30 g NaOH / ? g 용액) × 10^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7 ) ? = 30 / 250 × 10^6 = 120000 g 용액 [계산 방법 2] (30 g NaOH / 100 g 용액) × 10^6 = 300000 ppm ---> 30% NaOH = 300000 ppm NaOH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 2024. 3. 19.
37% HCl 시약(d 1.18)으로 1.5 M HCl 용액 100 mL 만들기 37% HCl 시약(d 1.18)으로 1.5 M HCl 용액 100 mL 만들기 단, HCl의 몰질량 = 36.46 g/mol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1.5 × 0.100 × 36.46 / (37/100) / 1.18 = 12.53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8829 )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5626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37% 염산 몰농도 기준 2024. 3. 19.
유효숫자. 눈금의 간격이 0.2 mL인 눈금 실린더 유효숫자. 눈금의 간격이 0.2 mL인 눈금 실린더 [참고] 유효 숫자 (significant figure) [ https://ywpop.tistory.com/3212 ] 눈금의 간격이 1이 아닌 2인 측정기구의 경우, 혼동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위 그림과 같이, 0.2 mL 눈금 간격의 눈금 실린더의 경우, 확실한 수를 나타내는 눈금이 0.2 mL 간격이므로, 0.1의 자릿수까지가 확실한 수일 것 같다. 이 때문에, 유효숫자는 불확실한 수(= 눈대중으로 짐작한 수)를 한 자리 더해서 0.01의 자릿수까지 나타내야 할 것 같다. 그래서 액체의 부피가 2.8과 3 mL 눈금 사이에 있고, 눈대중으로 2.9 mL쯤 같아보이기에 측정값은 2.90 mL로 기록해야 할 것 같다. 그러나, 이렇게 생각하면.. 2024. 3. 18.
항온건조기. Constant temperature laboratory oven 항온건조기. Constant temperature laboratory oven Laboratory oven. Forced convection oven Forced convection drying oven [ 그림 출처 Wikimedia ] Baxter Scientific DN-63 Constant Temperature Laboratory Oven. [키워드] 건조 오븐 기준, dry oven 기준, 항온기 기준, 실험실 장비 기준 2024. 3. 18.
30.0 g CHO sample 44.0 g CO2 18.0 g H2O 30.0 g CHO sample 44.0 g CO2 18.0 g H2O 30.0 mg CHO sample 44.0 mg CO2 18.0 mg H2O Upon combustion, a 30.0 g sample of a compound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produces 44.0 g of carbon dioxide and 18.0 g of water. Find the empirical formula of the compound. [참고] CHO 연소분석 [ https://ywpop.tistory.com/2854 ] ① 각 성분의 질량 계산 > C의 질량 = 44.0 g × (12/44) = 12.0 g > H의 질량 = 18.0 g × (2/18).. 2024. 3. 17.
1 M NaOH 용액의 % W/V 농도 1 M NaOH 용액의 % W/V 농도 1 M NaOH는 몇 %(W/V) 용액인가? (단, NaOH의 분자량은 40) 1 M NaOH 용액 = 1 mol NaOH / 1 L 용액 1 mol NaOH = 40 g NaOH (40 g NaOH / 1000 mL 용액) × 100 = 4% w/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64 ) 답: 4% w/v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4123 ] 0.01 M NaOH 용액의 %농도 [키워드] 1 M NaOH 용액의 퍼센트농도 기준 2024. 3. 16.
유효숫자 평균 계산. 18.600×3+18.550+18.500×3+18.400×2+18.450 유효숫자 평균 계산. 18.600×3+18.550+18.500×3+18.400×2+18.450 [참고] 유효숫자와 평균값. 평균값과 유효숫자 [ https://ywpop.tistory.com/6777 ] 18.600×3 + 18.550 + 18.500×3 + 18.400×2 + 18.450 = 18.600 + 18.600 + 18.600 + 18.550 + 18.500 + 18.500 + 18.500 + 18.400 + 18.400 + 18.450 = 185.1 ---> 덧셈이므로, 0.001의 자릿수에 맞춘다. = 185.100 이제 10회 측정값의 평균을 계산하면, 185.100 / 10 = 18.51 ---> 10은 완전수이므로, 185.100의 자릿수에 맞춘다. = 18.510 답: 18.510 .. 2024. 3. 16.
Calculate the original concentration of a solution Calculate the original concentration of a solution Calculate the original concentration of a solution if 29 mL of the original solution was diluted to 360 mL to make a 4.75×10^(-2) M solution. Submit your answer to 3 significant figures.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M1 = M2V2 / V1 = (4.75×10^(-2)) (360) / (29) = 0.589655 M = 0.590 M 답: 0.590 M [키워드] 묽힘 법칙 기준 2024. 3. 16.
유효숫자. 1 / 55000 유효숫자. 1 / 55000 [참고] 유효 숫자 (significant figure) [ https://ywpop.tistory.com/3212 ] 1 / 55000 = 1.81818181818181818...×10^(-5) ① 이 계산이 그냥, 단순무식하게, 1 / 55000 이라면, 1의 유효숫자가 1개 이므로, 답은 2×10^(-5) 그게 아니라, ② 이 계산이 55000의 역수를 구하는 계산이라면, 숫자 1은 역수를 구하는 공식에 나오는 숫자이므로, 완전수. 따라서 답은 55000의 유효숫자가 2개이므로, 1.8×10^(-5) [키워드] 1 나누기 유효숫자 기준, 1 나누기 기준 2024. 3. 16.
0.05 M 옥살산염 표준용액 0.1 L 만들기 0.05 M 옥살산염 표준용액 0.1 L 만들기 [참고] 용액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질량 계산 [ https://ywpop.tistory.com/24161 ] 0.05 M 옥살산염 표준용액 0.1 L 제조에 필요한 사옥살산칼륨, KH3(C2O4)2*2H2O의 질량 = (0.05 mol/L) (0.1 L) (254.19 g / 1 mol) = (0.05) (0.1) (254.19) = 1.271 g [참고] KH3(C2O4)2•2H2O > potassium tetraoxalate dihydrate, KH3(C2O4)2•2H2O > 테트라 옥살산 칼륨 이수화물 > KH3(C2O4)2*2H2O의 몰질량 = 254.19 g/mol [키워드] 테트록살산칼륨 기준 2024.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