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열역학140 1 atm, 25℃에서 CO 1 mol이 만들어질 때 ΔU 1 atm, 25℃에서 CO 1 mol이 만들어질 때 ΔU 1 atm, 25℃에서 CO 1 mol이 만들어질 때 ΔU를 계산하시오. C(흑연) + 1/2 O2(g) → CO(g) ... ΔH = –110.5 kJ/mol What is ΔU for the formation of 1 mole of CO at 1 atm and 25°C? C(graphite) + 1/2 O2(g) → CO(g) ... ΔH = –110.5 kJ/mol --------------------------------------------------- ΔH = ΔU + RTΔn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4717 ) Δn = 1 – (1/2) = 1/2 = 0.5 ΔU = ΔH – RTΔn = (–1105.. 2020. 6. 14. [열역학 제1법칙] ΔH = ΔU + RTΔn 식 유도 [열역학 제1법칙] ΔH = ΔU + RTΔn 식 유도 --------------------------------------------------- ΔH = ΔE + PΔ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604 ) 교재(저자)에 따라, 내부에너지 E는 U로도 표기하므로, ΔH = ΔU + PΔV [1] 기체가 포함되지 않은 반응 예를 들면, 고체, 액체, 수용액 반응에서 부피 변화는 무시할 수 있으므로, ΔV = 0. 따라서 ΔH = ΔU [2] 기체가 포함된 반응 이상 기체 방정식, PV = 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ΔH = ΔU + PΔV ΔH = ΔU + Δ(PV) ΔH = ΔU + Δ(nRT) 온도가 일정한 조건이면, Δ.. 2020. 6. 14. 주위에 한 일은 279 J, 주위로부터 216 J 열 흡수 주위에 한 일은 279 J, 주위로부터 216 J 열 흡수 기체가 팽창할 때 주위에 한 일(PV-일)은 279 J이다.이와 동시에 주위로부터 216 J의 열을 흡수하였다.이때 계의 에너지 변화는 얼마인가? --------------------------------------------------- ▶ 팽창: 기체(계)가 (주위에 대해) 일을 한다.---> 계의 에너지 감소(-w) ▶ 압축: 주위가 (계에 대해) 일을 한다.---> 계의 에너지 증가(+w) ΔE = q + w(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34 ) = (+216 J) + (-279 J)= -63 J [키워드] 열역학 제1법칙 기준문서 2020. 5. 28. 열용량. ΔU = n C_v ΔT. ΔH = n C_p ΔT 열용량. ΔU = n C_v ΔT. ΔH = n C_p ΔT [열역학 제1법칙] 열용량. heat capacity --------------------------------------------------- ▶ 열용량(C)의 정의 > 계에 가해질 열(q)과 그 온도상승(ΔT)과의 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C = q / ΔT ▶ 열용량의 종류 > 부피가 일정할 때 열용량, C_v > 압력이 일정할 때 열용량, C_p [1] 일정부피 조건 열용량, C_v > 부피가 일정하면, q_v = ΔE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72 ) C_v = q_v / ΔT = ΔE / ΔT = dE / dT dE = C_v • dT ( dU.. 2020. 5. 23. ΔS의 정성적 예측. C2H2(g) + 2H2(g) → C2H6(g) ΔS의 정성적 예측. C2H2(g) + 2H2(g) → C2H6(g) 에테인(C2H6)은 아세틸렌(C2H2)에 수소를 반응시켜 합성된다.이 반응의 ΔS° 값은 양인가 음인가? 설명하시오.C2H2(g) + 2H2(g) → C2H6(g) --------------------------------------------------- 3 mol 기체 반응 → 1 mol 기체 생성---> 기체 몰수 감소.---> 엔트로피 감소. 답: 음 (negative)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5358 ] ΔS의 정성적 예측 [키워드] 엔트로피 기준문서, 엔트로피 변화 기준문서, 기체 몰수가 증가하면, 기체 몰수가 감소하면, 기체 몰수 증가, 기체 몰수 감소 2020. 5. 6. 최대일. 1 mol 이상기체 25℃ 10 L에서 20 L로 팽창 최대일. 1 mol 이상기체 25℃ 10 L에서 20 L로 팽창 1 mol 이상기체가 25℃ 10 L가 있었는데이것이 20 L로 팽창한다면최대의 일이 얼마이겠는가?에르그 단위로 계산하여라. ---------------------------------------------------▶ 참고: PV-work [ https://ywpop.tistory.com/4514 ]--------------------------------------------------- 최대의 일 = 등온 가역 팽창 w = -nRT ln (V_2 / V_1)= -(1 mol) (8.314 J/mol•K) (25+273 K) ln(20/10) = –1717.3 J 1 J = 10^7 erg–1717.3 J × (10^7 erg / 1 J.. 2020. 4. 15. 최대일. 등온 가역 팽창. 2 mol 298 K from 10 L to 20 L 최대일. 등온 가역 팽창. 2 mol 298 K from 10 L to 20 L Calculate the amount of work done by 2 mol of an ideal gas at 298 Kin reversible expansion from 10 L to 20 L. ---------------------------------------------------▶ 참고: PV-work [ https://ywpop.tistory.com/4514 ]--------------------------------------------------- ▶ reversible expansion = 외부압력이 변하는 경우 가역 등온 팽창 일reversible isothermal expansionw = -2.303 nR.. 2020. 4. 15. 흡열, 발열 결정하고, ΔE 계산 흡열, 발열 결정하고, ΔE 계산 다음 과정이 흡열인지, 발열인지를 결정하고, ΔE를 계산하시오.a) q = 0.763 kJ이며, w = -840 J인 경우b) 계는 66.1 kJ의 열을 주위에 방출하고, 주위는 44.0 kJ의 일을 계에 한 경우 --------------------------------------------------- ΔE = q + w(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34 ) a) q = 0.763 kJ이며, w = -840 J인 경우> 열의 형태로 내부에너지 증가 ---> 흡열 반응.( 참고 https://ywpop.tistory.com/5242 )> 일의 형태로 내부에너지 감소.> ΔE = (763 J) + (-840 J) = -77 J b) 계는 66.. 2020. 4. 9. 100℃ 수증기 응축되어 물 10.00 g 생성 과정에 대한 계의 엔트로피 변화 100℃ 수증기 응축되어 물 10.00 g 생성 과정에 대한 계의 엔트로피 변화- 상변화 시의 계의 엔트로피 변화 100℃에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 10.00 g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한 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라.단, H2O(l)의 S = 69.9 J/K•mol, H2O(g)의 S = 188.7 J/K•mol,물의 증발열은 43.9 kJ/mol 이다. --------------------------------------------------- 등온 가역과정이므로,( 100℃ 수증기 → 100℃ 물 )( 상변화는 등온 가역과정. )ΔS = q_rev / T= ΔH_vap / T= (-43900 J/mol) / 373.15 K= -117.65 J/mol•K -117.65 J/mol•K × (10.00 g .. 2020. 1. 9. 가역과정, 일정압력 조건에서, ΔH = Q 가역과정, 일정압력 조건에서, ΔH = Q Why does Q = ΔH for a reversible, constant pressure process? --------------------------------------------------- From 열역학 제1법칙 dU = dq + dw ... (1) ( ΔE = q + w ) 가역과정 & only PV work (= 화학적 일) 조건이면, dU = dq_rev - PdV ... (2) ( w = – PΔV ) From 엔탈피의 정의 H = U + PV ... (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72 ) (3)식을 미분하면, dH = dU + d(PV) = dU + PdV + VdP ... (4) ---> 일정압력 조건.. 2019. 12. 18.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