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열역학140

ΔH° = -35.4 kJ ΔS° = -85.5 J/K 298 K ΔG° ΔH° = -35.4 kJ ΔS° = -85.5 J/K 298 K ΔG° 어떤 화학 반응의 ΔH° = -35.4 kJ이고, ΔS° = -85.5 J/K이다.298 K에서 이 반응에 대한 ΔG°를 계산하시오. --------------------------------------------------- ΔG = ΔH – TΔS ΔG° = ΔH° - TΔS°(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38 ) = (-35400 J) - (298 K) (-85.5 J/K)= -9921 J= -9.92 kJ---> ΔG° < 0 이므로,이 반응은 자발적 반응. 2020. 10. 26.
Br2(l) boiling point 58.8℃ ΔH_vap 29.6 kJ/mol entropy Br2(l) boiling point 58.8℃ ΔH_vap 29.6 kJ/mol entropy The normal boiling point of Br2(l) is 58.8℃,and its molar enthalpy of vaporization is ΔH_vap = 29.6 kJ/mol. a) When Br2(l) boils at its normal boiling point,does its entropy increase or decrease? b) Calculate the value of ΔSwhen 1.50 mol of Br2(l) is vaporized at 58.8℃.ΔS = (answer in J/K) ---------------------------------------------------▶ .. 2020. 10. 26.
ΔE = q + w. (a) q = 0.763 kJ, w = -840 J ΔE = q + w. (a) q = 0.763 kJ, w = -840 J Calculate ΔE anddetermine whether the process is endothermic or exothermic. (a) q = 0.763 kJ and w = −840 J.(b) A system releases 66.1 kJ of heat to its surroundingswhile the surroundings do 44.0 kJ of work on the system. --------------------------------------------------- (a)ΔE = q + w(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34 ) = (+763 J) + (-840 J)= -77 J ---.. 2020. 10. 5.
ΔE = q + w. 내부에너지 40 kJ 증가 0.1 kJ 일 하였을 때 가해진 열 ΔE = q + w. 내부에너지 40 kJ 증가 0.1 kJ 일 하였을 때 가해진 열 내부 에너지 160 kJ을 보유하는 물체에 열을 가했더니 내부 에너지가 200 kJ로 증가하였다. 외부에 0.1 kJ의 일을 하였을 때 가해진 열량은 몇 kJ인가? --------------------------------------------------- ΔE = 200 – 160 = +40 kJ ΔE = q + w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34 ) +40 kJ = q + (–0.1 kJ) q = +40.1 kJ 답: +40.1 kJ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3716 ] 내부에너지 20 kJ 외부 열 40 kJ 5 kJ만큼의 일 2020. 9. 23.
ΔE = q + w. 외부로부터 100 kJ 열과 300 kJ 일을 받았다 ΔE = q + w. 외부로부터 100 kJ 열과 300 kJ 일을 받았다 한 계가 외부로부터 100 kJ의 열과 300 kJ의 일을 받았다.계의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 ΔE = q + w(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34 ) = (+100) + (+300)= +400 kJ 답: ΔE = +400 kJ (내부 에너지 증가) 2020. 9. 23.
ΔE = q + w. 40 kJ 열 공급받고, 16.8 kJ 일하고 ΔE = q + w. 40 kJ 열 공급받고, 16.8 kJ 일하고 어느 계의 동작유체인 가스가 40 kJ의 열을 공급받고동시에 외부에 대해서 16.8 kJ의 일을 하였다.이때 가스의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얼마인가? --------------------------------------------------- ΔE = q + w(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34 ) = (+40) + (-16.8)= +23.2 kJ 답: ΔE = +23.2 kJ (내부 에너지 증가) 2020. 9. 23.
ΔE = q + w. 50 kJ 일 받아 100 kJ 열 방출 ΔE = q + w. 50 kJ 일 받아 100 kJ 열 방출 가스가 50 kJ의 일을 받아 100 kJ의 열을 방출했을 때 가스의 내부 에너지는? --------------------------------------------------- ΔE = q + w(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34 ) = (-100) + (+50)= -50 kJ 답: ΔE = -50 kJ (내부 에너지 감소) 2020. 9. 22.
ΔS 계산. 1.00×10^2 ℃ 뜨거운 물 125 g 스티로폼 컵 20.0 ℃ ΔS 계산. 1.00×10^2 ℃ 뜨거운 물 125 g 스티로폼 컵 20.0 ℃ 1.00×10^2 ℃의 뜨거운 물 125 g이 담긴 스티로폼 컵이상온 20.0 ℃로 식는다.실내의 엔트로피 변화는 얼마인가?컵의 비열과 실내 온도의 변화는 무시한다. A Styrofoam cup holding 125 g of hot water at 1.00×10^2 ℃ cools to room temperature, 20.0 ℃. What is the change in entropy of the room?Neglect the specific heat of the cup and any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room. ---------------------------------------------.. 2020. 8. 8.
1.0 atm, 125℃에서 2.0 mol H2O(g)가 H2(g)와 O2(g)로 1.0 atm, 125℃에서 2.0 mol H2O(g)가 H2(g)와 O2(g)로 1.0 atm, 125℃에서 2.0 mol의 H2O(g)가 H2(g)와 O2(g)로 바뀐다면 이 반응에 대한 ΔU는 얼마인가? Consider the reaction: 2H2O(g) → 2H2(g) + O2(g) ... ΔH = 483.6 kJ/mol. If 2.0 moles of H2O(g) are converted to H2(g) and O2(g) against a pressure of 1.0 atm and 125℃, what is ΔU for this reaction? --------------------------------------------------- ΔH = ΔE + PΔV 또는 ΔH = ΔU + PΔV (.. 2020. 6. 27.
엔탈피 설명. 상태함수, 반응엔탈피, 크기성질, 발열반응 엔탈피 설명. 상태함수, 반응엔탈피, 크기성질, 발열반응 --------------------------------------------------- a) 열역학 함수는 상태 함수이다.---> 엔탈피는 상태 함수이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9300 ) b) q_반응 (일정 P에서)= q_P = ΔH = H_생성물 – H_반응물(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7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431 ) c) 열역학 함수는 크기 성질이다.---> ΔH의 크기는 반응물의 양에 상관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734 ) d) 발열과정에서 계의 엔탈피는 감소한다.( 참고 https://yw.. 2020.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