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열역학140

PV-work. if the volume change is –5.6 L PV-work. if the volume change is –5.6 L The reaction between hydrogen and oxygen to yield water vapor has ΔH of –484 kJ. How much PV work is done and what is the value of ΔE in kJ for the reaction of 0.50 mol of H2 with 0.25 mol of O2 at atmospheric pressure if the volume change is –5.6 L? --------------------------------------------------- 2H2(g) + O2(g) → 2H2O(g) ... ΔH = -484 kJ ---> H2 2 mol.. 2018. 10. 26.
ΔG = ΔH – TΔS. 자발적인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 예제 ΔG = ΔH – TΔS. 자발적인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 예제 주어진 ΔH와 ΔS를 이용하여 자발적인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를 구하시오. (a) ΔH = -126 kJ/mol, ΔS = +84 J/K•mol (b) ΔH = -11.7 kJ/mol, ΔS = -105 J/K•mol --------------------------------------------------- ▶ ΔG = ΔH – TΔS 식의 부호 설명 http://ywpop.tistory.com/3000 --------------------------------------------------- (a) ΔH 0 이므로, 모든 온도에서 자발적. (b) ΔH < 0 이고, ΔS < 0 이므로, 저온에서 자발적, 고온에서 비.. 2018. 10. 21.
기체가 한 일. 일정압력에서 2 L에서 5 L로 증가 기체가 한 일. 일정압력에서 2 L에서 5 L로 증가 열역학 제1법칙. PV-work 1.2기압의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가 2 L에서 5 L로 증가하였을 때, 기체가 한 일은 몇 J인가? ----------------------------------------- w = -P_ex (V_2 – V_1) ( 식 설명 http://ywpop.tistory.com/4514 ) = -(1.2 atm) (5-2 L) = -3.6 atm•L R = 8.314 J/mol•K = 0.08206 atm•L/mol•K 이므로, -3.6 atm•L × (8.314 J / 0.08206 atm•L) = -364.7 J 답: -364.7 J [키워드] 일정압력 부피팽창일 2018. 10. 5.
평형에서의 온도. WO3 + 3H2 → W + 3H2O 평형에서의 온도. WO3 + 3H2 → W + 3H2O 텅스텐은 WO3와 수소를 아래와 같이 반응시켜 상업적으로 얻는다. WO3(s) + 3H2(g) → W(s) + 3H2O(g) 아래의 자료는 이 반응에 관해 25℃에서 얻은 값이다. .................... WO3(s) ... H2O(g) Hf° (kJ/mol) ... -840.3 ... -241.8 Gf° (kJ/mol) ... -763.5 ... -228.5 이 반응이 1 atm에서 평형에 도달했을 때의 온도로 적당한 것은? ----------------------------------------- 1) 25℃에서 ΔS° 계산 ΔH° = [(0) + 3(-241.8)] - [(-840.3) + 3(0)] ( 식 설명 http://ywp.. 2018. 8. 18.
평형에서의 온도. WO3 + 3H2 → W + 3H2O 평형에서의 온도. WO3 + 3H2 → W + 3H2O Tungsten is usually produced by the reduction of WO3 with hydrogen. WO3(s) + 3H2(g) → W(s) + 3H2O(g) Consider the following data. .................... WO3(s) ... H2O(g) Hf° (kJ/mol) ... -839.9 ... -241.8 Gf° (kJ/mol) ... -763.1 ... -228.6 a) Calculate ΔS° at 25℃ for the reaction indicated by the equation above. b) What is the temperature at which G° equals zero for.. 2018. 8. 18.
생성엔탈피로 반응엔탈피 계산. CH4(g) + H2O(g) 생성엔탈피로 반응엔탈피 계산. CH4(g) + H2O(g) standard enthalpy of formation and heat(enthalpy) of reaction 메테인(CH4)에 수증기를 처리하여 수소와 CO 기체를 생산할 수 있다. 표준상태에서 1몰의 메테인 기체에서 3몰의 수소 기체를 생성할 때의 반응 엔탈피는? 단, ΔHf°(CO(g)) = -111 kJ/mol, ΔHf°(CH4(g)) = -75 kJ/mol, ΔHf°(H2O(g)) = -242 kJ/mol. --------------------------------------------------- ▶ 참고: 표준생성엔탈피로 표준반응엔탈피 계산 https://ywpop.tistory.com/3431 ---------------------.. 2018. 8. 18.
표준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인 °는 어떻게 읽는가? 표준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인 °는 어떻게 읽는가? ΔG° delta G naught ----------------------------------------- 우리는 편하게 ΔG°를 delta G zero라고 읽지만, 미국인들은 delta G naught라고 읽습니다. 참고로, naught의 뜻은 zero입니다. 2018. 8. 11.
생성엔탈피로 반응엔탈피 계산. MgO(s) + H2O(l) 생성엔탈피로 반응엔탈피 계산. MgO(s) + H2O(l) standard enthalpy of formation and heat(enthalpy) of reaction MgO(s) + H2O(l) → Mg(OH)2(s) 반응의 ΔH° 계산 --------------------------------------------------- ▶ 표준생성엔탈피로 표준반응엔탈피 계산 설명 https://ywpop.tistory.com/3431 --------------------------------------------------- MgO(s), H2O(l), Mg(OH)2(s)의 표준생성엔탈피는 각각 -601.8, -285.8, -924.7 kJ/mol이다. MgO(s) + H2O(l) → Mg(OH)2(s) Δ.. 2018. 7. 13.
STP 상태에서 증기의 부피가 3.33 L이고 무게가 10.88 g인 액체의 몰질량 STP 상태에서 증기의 부피가 3.33 L이고 무게가 10.88 g인 액체의 몰질량 ----------------------------------------- STP 상태 = 0℃, 1 atm PV = nRT ( 식 설명 http://ywpop.tistory.com/3097 ) n = PV / RT = [(1) (3.33)] / [(0.08206) (273.15)] = 0.1485633 mol 몰질량 = 10.88 g / 0.1485633 mol = 73.23 g/mol 답: 73.23 g/mol 2018. 5. 27.
엔탈피의 정의. 엔탈피의 개념 ★ 엔탈피의 정의. 엔탈피의 개념       [ 블로그스팟 https://ywpop.blogspot.com/2023/10/blog-post_26.html ]       엔탈피 또는 엔탈피 변화(ΔH)의 정의, 개념은너무나 간단하고, 따라서 너무나 쉽습니다.     엔탈피란 “일정 압력 조건”에서,어떤 반응이 일어날 때, 계가 얻은 열 또는 잃은 열입니다.이게 엔탈피의 전부입니다.그래서 엔탈피를 그냥 “반응열”이라고도 합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72 )     여기서 “일정 압력 조건” 또한 별다른 게 아닙니다.그냥 우리의 일상생활 조건이 “일정 압력 조건”입니다.가령 우리가 실험실에서 어떤 실험을 할 때,실험하는 동안 대기압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일정 압력 .. 2018. 5.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