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열역학140

25℃, 1 atm에서 물(H2O)과 다이클로로메테인(CH2Cl2) 혼합 용액 25℃, 1 atm에서 물(H2O)과 다이클로로메테인(CH2Cl2) 혼합 용액 25℃, 1 atm에서 물(H2O)과 다이클로로메테인(CH2Cl2) 혼합 용액을균일한 상태로 만든 후 가만히 놓아두면 층 분리가 자발적으로 일어난다.이 과정에서 혼합 용액의 엔탈피 변화(ΔH)와 엔트로피 변화(ΔS)는? --------------------------------------------------- ΔG = ΔH - TΔS(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38 ) 층 분리가 자발적이므로,ΔG 0 이므로,ΔG < 0 이 되기 위해서는ΔH < 0. 2021. 1. 15.
reaction 244 kJ heat evolve system 35 kJ PV work gain ΔE ΔH reaction 244 kJ heat evolve system 35 kJ PV work gain ΔE ΔH 어떤 특정 반응이 244 kJ의 열을 방출하여계에 35 kJ의 PV 일이 행해진다고 가정할 때계 및 주위에 대해 각각 ΔE 및 ΔH 값은 얼마인가? Assume that a particular reaction evolves 244 kJ of heatand that 35 kJ of PV work is gained by the system.What are the values of ΔE and ΔH for the system?For the surroundings? --------------------------------------------------- > q = -244 kJ (= q_P = ΔH)(.. 2020. 12. 19.
1.10 atm ΔE 71.5 kJ volume 13.6 L enthalpy ΔH 1.10 atm ΔE 71.5 kJ volume 13.6 L enthalpy ΔH 1.10 atm의 일정 압력에서어떤 반응의 내부에너지 변화(ΔE)가 +71.5 kJ이고부피 감소가 13.6 L라면,이 반응에서 엔탈피 변화(ΔH)는 얼마인가?(1 L•atm = 101.325 J) A reaction takes place at a constant pressure of 1.10 atmwith an internal energy change (ΔE) of 71.5 kJand a volume decrease of 13.6 L.What is the enthalpy change (ΔH) for the reaction?(1 L-atm = 101.325 J) -----------------------------------.. 2020. 12. 19.
NO2(g) + N2O(g) → 3NO(g) ΔH ΔS ΔG 800 K 1000 K NO2(g) + N2O(g) → 3NO(g) ΔH ΔS ΔG 800 K 1000 K 질소 산화물 간의 다음 반응을 보자.NO2(g) + N2O(g) → 3NO(g) a) 298 K에서 ΔH°, ΔS°, ΔG° 값을 계산하시오. 온도에 따라 ΔH°, ΔS° 값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b) 800 K에서 ΔG° 값을 계산하시오.이 온도와 표준 상태에서 이 반응은 자발적인가?c) 1000 K에서 ΔG° 값을 계산하시오.이 온도와 표준 상태에서 이 반응은 자발적인가? Consider the following reaction between oxides of nitrogen:NO2(g) + N2O(g) → 3NO(g)a) Calculate ΔG° at 800 K,assuming that ΔH° and ΔS° d.. 2020. 12. 14.
75℃ 1.6 g O2 2.5 L 3.5 L entropy ideal gas 75℃ 1.6 g O2 2.5 L 3.5 L entropy ideal gas 일정 온도 75℃에서 1.6 g인 O2의 부피가2.5 L에서 3.5 L로 증가했을 때,엔트로피 변화는 얼마인가?O2는 이상 기체처럼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What is the entropy change when the volume of 1.6 g of O2increases from 2.5 L to 3.5 L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75°C?Assume that O2 behaves as an ideal gas. ---------------------------------------------------▶ 참고: 이상기체의 부피와 엔트로피[ https://ywpop.tistory.com/3034 ]---.. 2020. 12. 7.
HgO(s) + Zn(s) → ZnO(s) + Hg(l) ΔH° -259.7 ΔS° +7.8 HgO(s) + Zn(s) → ZnO(s) + Hg(l) ΔH° -259.7 ΔS° +7.8 a) 이 반응의 ΔH° = -259.7 kJ/mol, ΔS° = +7.8 J/K 이면,ΔS_전체는 얼마인가?25℃ 표준 상태 조건에서 이 반응은 자발적인가? b) 이 반응이 비자발적으로 되는 온도를 추정하시오. --------------------------------------------------- 25℃ = 25 + 273 = 298 K ΔS_surr = -ΔH_sys / T(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04 ) = -(-259700 J/mol) / 298 K= +871.5 J/K•mol ΔS_total = ΔS_sys + ΔS_surr= (+7.8 J/K•mol) + (+871.. 2020. 12. 7.
90℃에서 벤젠의 증발에 대한 ΔG 계산 90℃에서 벤젠의 증발에 대한 ΔG 계산 ---------------------------------------------------▶ 연결 예제 [ https://ywpop.tistory.com/16509 ]--------------------------------------------------- ΔG_sys = -TΔS_univ(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38 ) = -(273+90 K) (2.4 J/K•mol)= -871 J/mol 또는ΔG_sys = ΔH_sys -TΔS_sys= (30700 J/mol) - (273+90 K) (87.0 J/K•mol)= -881 J/mol= -0.9 kJ/mol ΔG 벤젠은 끓는다.. 2020. 12. 7.
80℃에서 벤젠의 증발에 대한 ΔG 계산 80℃에서 벤젠의 증발에 대한 ΔG 계산 ---------------------------------------------------▶ 연결 예제 [ https://ywpop.tistory.com/16508 ]--------------------------------------------------- ΔG_sys = -TΔS_univ(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38 ) = -(273+80 K) (0 J/K•mol)= 0 J/mol 또는ΔG_sys = ΔH_sys -TΔS_sys= (30700 J/mol) - (273+80 K) (87.0 J/K•mol)= -11 J/mol= -0.01 kJ/mol ΔG = 0 또는ΔG < 0 이므로,자발적 반응(변화) 일어날 수도 있음.--.. 2020. 12. 7.
70℃에서 벤젠의 증발에 대한 ΔG 계산 70℃에서 벤젠의 증발에 대한 ΔG 계산 ---------------------------------------------------▶ 연결 예제 [ https://ywpop.tistory.com/16507 ]--------------------------------------------------- ΔG_sys = -TΔS_univ(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38 ) = -(273+70 K) (-2.5 J/K•mol)= +858 J/mol 또는ΔG_sys = ΔH_sys -TΔS_sys= (30700 J/mol) - (273+70 K) (87.0 J/K•mol)= +859 J/mol= +0.9 kJ/mol ΔG > 0 이므로,자발적 반응(변화) 일어나지 않음.---> 벤젠.. 2020. 12. 7.
benzene ΔH_vap 30.7 ΔS_vap 87.0 ΔS_surr 90℃ benzene ΔH_vap 30.7 ΔS_vap 87.0 ΔS_surr 90℃ 벤젠이 증발할 때 ΔH_증발 = 30.7 kJ/mol이고,ΔS_증발 = 87.0 J/K•mol이다.다음 온도에서 ΔS_주위, ΔS_전체를 계산하시오.c) 90℃ ---------------------------------------------------▶ 참고: 벤젠의 정상 끓는점 [ https://ywpop.tistory.com/16507 ]--------------------------------------------------- 90℃ = 90 + 273 = 363 K ΔS_surr = -ΔH / T(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04 ) = -(30700 J/mol) / 363 K= -84.5.. 2020.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