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열역학140

w = -PΔV. 350 cm2 piston 59 cm 1.3 atm w = -PΔV. 350 cm2 piston 59 cm 1.3 atm A chemical reaction takes place in a container of cross-sectional area 350 cm2. As a result of the reaction, a piston is pushed out through 59 cm against an external pressure of 1.3 atm. Calculate the work done by the system. --------------------------------------------------- w = -PΔV ΔV = 350 cm2 × 59 cm = 20650 cm3 = 20650 mL = 20.650 L w = -PΔV = -(1.3 .. 2019. 5. 16.
상변화 시 엔트로피 변화. CCl4 증발열 42 kJ/mol 상변화 시 엔트로피 변화. CCl4 증발열 42 kJ/mol 사염화탄소(CCl4)의 증발열(ΔH_vap)은 300 K에서 42 kJ/mol이다. 같은 조건에서 액체 사염화탄소 1 mol의 엔트로피가 214 J/K라면, 이 온도에서 액체와 평형 상태에 있는 증기 1 mol의 엔트로피(J/K)는? The heat of vaporization, ΔH_vap of carbon tetrachloride, CCl4, at 300 K is 42.0 kJ/mol. CCl4(l) → CCl4(g) ... ΔH_vap = 42.0 kJ/mol If 1 mol of liquid carbon tetrachloride at 300 K has an entropy of 214 J/K, what is the entropy of 1 .. 2018. 12. 29.
상변화 시 엔트로피 변화. CCl4 ΔH_vap 39.4 kJ/mol 상변화 시 엔트로피 변화. CCl4 ΔH_vap 39.4 kJ/mol 사염화탄소(CCl4)의 증발열(ΔH_vap)은 25°C에서 39.4 kJ/mol이다. 같은 조건에서 액체 사염화탄소 1 mol의 엔트로피가 216 J/K라면, 이 온도에서 액체와 평형 상태에 있는 증기 1 mol의 엔트로피(J/K)는? The heat of vaporization, ΔH_vap of carbon tetrachloride, CCl4, at 25°C is 39.4 kJ/mol. CCl4(l) → CCl4(g) ... ΔH_vap = 39.4 kJ/mol If 1 mol of liquid carbon tetrachloride at 25°C has an entropy of 216 J/K, what is the entropy o.. 2018. 12. 29.
주위의 엔트로피 변화. -10℃에서 물 10.00 g이 어는 과정 주위의 엔트로피 변화. -10℃에서 물 10.00 g이 어는 과정 -10℃에서 물 10.00 g이 어는 과정에서 주위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라. 단. 얼음의 녹음열(용융엔탈피)은 6.02 kJ/mol이다. --------------------------------------------------- 물 10.00 g의 몰수를 계산하면, 10.00 g / (18 g/mol) = 0.5556 mol H2O ( 계산 설명 http://ywpop.tistory.com/7738 ) 얼음의 녹음열 = +6.02 kJ/mol 이므로, 물의 얼음열 = -6.02 kJ/mol. 0.5556 mol H2O가 얼 때 방출열을 계산하면, (-6020 J/mol) * 0.5556 mol = -3345 J 주위의 엔트로피 변화, .. 2018. 12. 14.
상변화 시 엔트로피 변화(ΔS). 벤젠의 끓는점 상변화 시 엔트로피 변화(ΔS). 벤젠의 끓는점 벤젠의 몰 증발열은 31.0 kJ/mol이고, 끓는점은 80°C이다. 벤젠의 끓는점에서의 몰 증발엔트로피를 계산하시오. --------------------------------------------------- ΔS = q_rev / T = ΔH / T ΔS_vap = (31000 J/mol) / (80+273.15 K) = +87.8 J/K•mol 액체에서 기체가 되면, 물질의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답: +87.8 J/K•mol [ 관련 예제 http://ywpop.tistory.com/8260 ] 2018. 12. 11.
ΔE = q + w. 1 mol 물을 1기압에서 25℃에서 100℃로 가열 ΔE = q + w. 1 mol 물을 1기압에서 25℃에서 100℃로 가열 1 mol의 물을 일정한 압력 1기압에서 25℃에서 100℃로 가열하였을 때 ΔH값과 내부에너지 변화 ΔU를 각각 계산하여라. (단, 물의 몰질량은 18.015 g/mol이며, 물의 밀도는 25℃에서 0.9971, 100℃에서 0.9594이며, 물의 비열은 1이다.) --------------------------------------------------- ▶ 계산이 바로 이해되면, 설명은 pass하세요. 물 1 mol = 18.015 g 내부 에너지, ΔU 또는 ΔE ΔE = q + w ( 설명 https://ywpop.tistory.com/7219 ) 일정 압력 조건이므로, q_P = ΔH = C m Δt = (1) (18... 2018. 12. 6.
ΔG = ΔH – TΔS. 2SO2 + O2 → 2SO3 ΔG = ΔH – TΔS. 2SO2 + O2 → 2SO3 (a) 표준 생성 엔탈피와 표준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다음 반응에 대한 298 K에서의 ΔH°와 ΔS°를 계산하시오. 2SO2(g) + O2(g) → 2SO3(g) (b) (a)에서 얻은 값들을 이용하여 400 K에서의 ΔG 값을 예측하시오. --------------------------------------------------- ▶ 표준 생성 엔탈피와 표준 엔트로피 값은 줌달 일반화학(8판) 부록 자료임. ΔH° = [생성물들의 ΔHf° 합] – [반응물들의 ΔHf° 합] = [2(-396)] - [2(-297) + (0)] = –198 kJ ( 관련 예제 http://ywpop.tistory.com/3431 ) ΔS° = [생성물들의 S° 합.. 2018. 11. 22.
14 atm, 25℃의 암모니아 1몰이 피스톤이 달린 실린더 14 atm, 25℃의 암모니아 1몰이 피스톤이 달린 실린더 14 atm, 25℃의 암모니아 1몰이 피스톤이 달린 실린더에 들어있다. 외부 압력이 1 atm으로 일정할 때, 기체가 팽창하여 압력과 부피가 각각 1 atm 및 23.5 L가 되었다. (a) 시료의 최종 온도를 구하시오. (b) 이 과정에서의 q, w, ΔU를 구하시오. A 1.00-mole sample of ammonia at 14.0 atm and 25℃ in a cylinder fitted with a movable piston expands against a constant external pressure of 1.00 atm. At equilibrium, the pressure and volume of the gas are 1.00 .. 2018. 11. 20.
373.15 K, 1 atm에서 물 1 mol이 기화될 때의 ΔH와 ΔU 373.15 K, 1 atm에서 물 1 mol이 기화될 때의 ΔH와 ΔU 373.15 K, 1 atm에서 물과 수증기의 몰부피는 각각 1.88*10^-5 m3과 3.06*10^-2 m3이다. 물의 기화열이 40.79 kJ/mol일 때, 물 1몰이 기화될 때의 ΔH와 ΔU를 구하시오. H2O (l, 373.15 K, 1 atm) → H2O(g, 373.15 K, 1 atm) At 373.15 K and 1 atm, the molar volume of liquid water and steam are 1.88*10^-5 m3 and 3.06*10^-2 m3, respectively. Given that the heat of vaporization of water is 40.79 kJ/mol, calculate.. 2018. 11. 20.
열역학과 열화학의 차이 열역학과 열화학의 차이 thermodynamics and thermochemistry --------------------------------------------------- ‘열역학 = 열화학’ 또는 ‘열역학 속에 열화학이 포함된다.’고 생각하면, 간단합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일반화학 교재에서는 4개 열역학 함수, 즉 내부에너지(E or U), 엔탈피(H), 엔트로피(S), 자유에너지(G) 중에서, 내부에너지(E or U)와 엔탈피(H)를 따로 분리하여, ( ‘열화학’이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 주로 엔탈피(= 반응열)를 중심으로 하여, ‘열화학’이란 독립된 하나의 장(chapter)으로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 참고: 줌달의 일반화학(9판) 목차(6장) http://ywpop... 2018.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