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6339 벤조산 0.1584 g 열용량과 바닐린 0.2130 g 연소열 벤조산 0.1584 g 열용량과 바닐린 0.2130 g 연소열 벤조산 0.1584 g이 연소하여 열량계의 온도가 2.54℃ 증가하였다. 벤조산 (benzoic acid) 0.1584 g이 연소하여 열량계의 온도가 2.54℃ 증가하였다. 이 열량계의 열용량을 계산하라. (벤조산의 연소로 방출된 에너지는 26.42 kJ/g이다.) The combustion of 0.1584 g benzoic acid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a bomb calorimeter by 2.54℃. Calculate the heat capacity of this calorimeter. (The energy released by combustion of benzoic acid is 26.42 kJ/g.) .. 2016. 4. 6. 0.06666 M HClO4 25.00 mL + 0.08742 M NaOH 20.00 mL pH 0.06666 M HClO4 25.00 mL + 0.08742 M NaOH 20.00 mL pH산-염기 중화반응. HClO4 + NaOH 0.066 66 M HClO4 용액 25.00 mL에0.087 42 M NaOH 용액 20.00 mL를 가했을 때, pH? ---------------------------------------------------▶ 참고: 강산-강염기 적정[ https://ywpop.tistory.com/2732 ]--------------------------------------------------- HClO4의 몰수= (0.06666 mol/L) (25.00/1000 L) = 0.0016665 mol HClO4( 참고 https://ywpop.tistory.c.. 2016. 4. 5. N2와 N2+의 질소-질소 결합길이 N2와 N2^+의 질소-질소 결합길이 N2와 N2^+ 중 질소-질소 결합길이가 더 짧은 것은? MOT에서 공유 결합의 안정도는 결합 차수로 나타낼 수 있다.공유 결합의 안정도 ∝ 결합 차수( 참고: 결합차수 https://ywpop.tistory.com/6879 ) [그림] MO Diagrams for N2 and N2^+.결합차수 =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 2 s 오비탈 전자는 서로 상쇄되므로, p 오비탈 전자만 계산하면,> N2의 결합차수 = (6 – 0) / 2 = 3> N2^+의 결합차수 = (5 – 0) / 2 = 5/2 결합차수와 결합길이는 반비례하므로,( 참고 https://ywpop.tist.. 2016. 4. 5. 한계반응물. 80.0 kg H2O 65 kg Li2O LiOH 한계반응물. 80.0 kg H2O 65 kg Li2O LiOH 산화리튬은 우주왕복선에서 공기통의 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Li2O(s) + H2O(g) → 2LiOH(s) a) 물 80.0 kg을 제거하는데 Li2O 65.0 kg을 사용한다면, 어느 것이 한계 반응물인가? b) 초과 반응물은 몇 kg 남는가? c) 생성물(LiOH)은 몇 kg 만들어지는가? Lithium oxide is used aboard the space shuttle to remove water from the air supply. a) If 80.0 kg of water is to be removed and 65 kg of Li2O is available, which reactant is limiting? b) How many .. 2016. 4. 2. 빛의 에너지와 파장, 진동수 관계 ★ 빛의 에너지와 파장, 진동수 관계 ---------------------------------------------------▶ 참고: 제6장 원자의 전자 구조.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22 ]--------------------------------------------------- E = hν = h(c / λ) = hc / λ > h = 플랑크 상수, Planck constant = 6.626 070 040×10^(-34) J•s> h = 6.626×10^(-34) J•s( h = 6.626×10^(-27) erg•s )( h = 6.626×10^(-34) kg•m^2/s )> ν = 빛의 진동수 ( 단위: Hz 또는 /s )> c = 빛의 속도 .. 2016. 3. 28. 물의 비열 (Specific Heat, C) ★ 물의 비열 (Specific Heat, C) ▶ 참고: 열용량과 비열 [ https://ywpop.tistory.com/2897 ] ※ 물질과 물질의 상태에 따른 비열(현열), 잠열 값은교재, 문헌, 저자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아래와 나오는 값들은 구글링해서 찾은 값들 중에서가장 많이 중복되는 값으로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1] 비열의 정의▶ 물질 1 g의 온도를 1 K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단위: J/g•K)▶ 물질 1 g의 온도를 1 ℃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단위: J/g•℃) [참고] 어떤 물질의 온도를 1 ℃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용량= 어떤 물질의 온도를 1 K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용량( 참고: 1℃와 1 K의 간격은 같다 htt.. 2016. 3. 25. 배수 비례의 법칙 ★ 배수 비례의 법칙 화합물 A와 B는 황과 산소가 결합된 무색의 기체이다. 화합물 A는 황 6.00 g과 산소 5.99 g이 결합된 화합물이고 화합물 B는 황 8.60 g과 산소 12.88 g이 결합된 화합물이다. 이 자료로부터 배수 비례의 법칙을 설명하시오. --------------------------------------------------- ▶ 참고: 돌턴의 원자설 [ https://ywpop.tistory.com/20743 ] --------------------------------------------------- > 돌턴이 만든 법칙. ▶ 배수 비례의 법칙. Law of multiple proportions > 다른 두 원소 A, B가 결합하여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만들 때, A의 일정.. 2016. 3. 25. 크기성질 vs. 세기성질. 밀도는 세기성질 크기성질 vs. 세기성질. 밀도는 세기성질 밀도가 왜 세기성질인가요? d = m/v 로 밀도도 질량에 비례하지 않습니까? [참고] 물질의 성질. 세기성질과 크기성질 [ https://ywpop.tistory.com/10935 ] 물질량의 의존성 여부에 따라... ▶ 크기 성질 (extensive property) > 질량, 부피 등 ... 물질의 양과 상관있는 성질 ▶ 세기 성질 (intensive property) > 온도, 밀도 등 ... 물질의 양과 상관없는 성질 질량, 부피, 각각은 비록 크기성질이지만, 질량 대 부피 비인 밀도는 세기성질입니다. 동일한 장소에 있는 물 1 L의 온도와 물 500 mL의 온도는 같습니다. 따라서 온도는 세기성질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장소에 있는 물 1 L.. 2016. 3. 22. 탄화수소 화합물은 모두다 무극성인가? 탄화수소 화합물은 모두다 무극성인가?is 1-butene polar or nonpolar? ------------------------ ▶ 탄화수소 화합물> 오로지 탄소(C)와 수소(H)만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50 ) 탄소-탄소 단일결합만 존재하는알케인(alkane, 알칸)은 모두다 ‘무극성’입니다.---> 모든 포화 탄화수소는 무극성 그러나 탄소-탄소 다중결합이 존재하는 탄화수소는다중결합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구조이면,약간의 극성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trans-2-butene은 대칭 구조라서, 무극성 (dipole moment = 0 D),cis-2-butene은 비대칭 구조라서, 극성 (di.. 2016. 3. 20. 철(Fe)이 가장 안정한 이유 철(Fe)이 가장 안정한 이유 철은 자연계에서 안정한 원소라고 배웠습니다.왜 안정한가요? 알아보니 18족 원소도 아니던데... ---------------------------------------------------▶ 참고: 제21장 핵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6810 ]--------------------------------------------------- 비활성기체(18족)를 제외한 모든 원소가 그렇듯이,철 원소 자체는 자연계에서 불안정합니다. 이 때문에 철 역시 원소 자체로 존재하지 않고,주로 2가 또는 3가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합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6 ) 안정하다는 것은 철.. 2016. 3. 19. 이전 1 ··· 588 589 590 591 592 593 594 ··· 6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