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6장] 산-염기 평형514

약산-약염기의 염 용액의 pH. 0.250 M NH4F 용액의 pH ★ 약산-약염기의 염 용액의 pH. 0.250 M NH4F 용액의 pH       [참고] 약산-약염기의 염 용액의 pH[ https://ywpop.tistory.com/4233 ]       NH4F는 가용성 염이기 때문에,물에서 거의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한다).NH4F(s) + H2O(l) → NH4^+(aq) + F^-(aq)       따라서[NH4F] = [NH4^+] = [F^-] = 0.250 M       NH4^+는 약염기(NH3)의 짝산(비교적 강한 산)이므로,물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난다.NH4^+(aq) + H2O(l) ⇌ NH3(aq) + H3O^+(aq) ... ①( 참고: 가수분해 https://ywpop.tistory.com/5502 )   Kh = Ka = K.. 2015. 11. 11.
약산-약염기 염 용액의 pH. 0.250 M NH4F 용액의 pH ★ 약산-약염기 염 용액의 pH. 0.250 M NH4F 용액의 pHacidic, basic, or neutral salt?     Predict the pH of 0.250 M NH4F solution.> Ka for HF = 7.1×10^(-4)> Kb for NH3 = 1.8×10^(-5)   ---------------------------------------------------▶ 참고: 약산-약염기 염 용액의 pH[ https://ywpop.tistory.com/4233 ]---------------------------------------------------   [참고] 용액의 pH를 계산하기 전에...Ka > Kb 이므로,NH4F 용액은 산성임을 알 수 있다.( NH4F는 산성염. ) .. 2015. 11. 11.
10^–7 M HCl, 10^–8 M HCl과 같은 묽은 염산의 pH ★ 10^–7 M HCl, 10^–8 M HCl과 같은 묽은 염산의 pH 0.1 M HCl부터 10의 –8승 M HCl까지 10배씩 농도를 낮춰가면서 총 8가지 염산의 pH를 구하시오. --------------------------------------------------- ▶ 참고: 제16장 산-염기 평형.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336 ] --------------------------------------------------- ▶ HCl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HCl 용액의 노르말농도(N) = HCl 용액의 몰농도(M) ▶ HCl 수용액 안에 존재하는 2가지 종류의 수소 .. 2015. 11. 9.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Na2CO3)의 노르말농도(normality)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Na2CO3)의 노르말농도(normality) To standardize a solution of HCl, 0.1423 g of Na2CO3 was dissolved in 50 mL of water and titrated with 27.82 mL of HCl. What is the normality of the HCl(aq)? --------------------------------------------------- Na2CO3의 몰질량 = 105.99 g/mol 이므로, 0.1423 g Na2CO3의 몰수 = 0.1423 g / (105.99 g/mol) = 0.001343 mol Na2CO3 Na2CO3의 몰농도 = 0.001343 mol / 0.050 L.. 2015. 10. 22.
약산의 산 이온화상수(산 해리상수), Ka와 pKa 약산의 산 이온화상수(산 해리상수), Ka와 pKa 화학에서 나오는 Ka와 pKa는 무엇이 다른가요? 의미도 설명해주세요. --------------------------------------------------- ▶ 참고: 제16장 산-염기 평형.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336 ] --------------------------------------------------- 둘 다 약산의 이온화(해리)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약산의 이온화 정도가 매우 낮아서 보통 Ka 값은 매우 작습니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의 Ka 값은 0.000018 정도 되는데, 작은 숫자이다 보니 사용하기 불편합니다. 그래서 이 값에다 수학적으로 –log를 곱하면, –log(0.00001.. 2015. 10. 21.
탄산칼슘은 염기성 염. CaCO3 basic salt ★ 탄산칼슘은 염기성 염. CaCO3 basic salt     조개껍데기의 주성분은 탄산칼슘(CaCO3)입니다.탄산칼슘이 왜 염기성인지 설명하시오.       [참고] 산성염, 염기성염, 중성염[ https://ywpop.tistory.com/4300 ]       CaCO3의 이온화 (용해)CaCO3(s) + H2O(l) ⇌ Ca^2+(aq) + CO3^2-(aq)       탄산칼슘(CaCO3)의 음이온인 탄산 이온(CO3^2-)은약산인 탄산(H2CO3)의 짝염기입니다.       약산의 짝염기는 비교적 강한 염기이기 때문에,물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납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6264 )   CO3^2-(aq) + H2O(l) ⇌ HCO3^-(aq) + .. 2015. 10. 19.
약산 0.060 M 용액의 pH가 3.44일 때, Ka 계산 약산 0.060 M 용액의 pH가 3.44일 때, Ka 계산 어떤 약산인 일양성자산 0.060 M의 pH가 3.44이다. 이 산의 Ka를 계산하시오. 어떤 약산인 일양성자산 0.060 M 용액의 pH가 3.44이다. 이 산의 Ka를 구하시오. --------------------------------------------------- pH = –log[H^+] = 3.44 [H^+] = 10^(-3.44) = 0.000363 M ---> 평형에서의 [H^+] ............. HA(aq) ⇌ H^+(aq) + A^-(aq) 평형(M) . C–x ......... x ............. x 산 이온화상수 식, Ka = (x) (x) / (C–x) 에서, C = 0.060 M, x = 0.000.. 2015. 10. 18.
약산(CH3COOH) <- 강염기(NaOH) 중화 적정. 적정 중 용액의 pH 약산(CH3COOH) 2015. 10. 17.
0.01 M HCl 용액과 0.10 M KOH 용액의 pH 0.01 M HCl 용액과 0.10 M KOH 용액의 pH --------------------------------------------------- ▶ 참고: pH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706 ] HCl은 강산이므로, 물에서 거의 100% 이온화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75 ) HCl(aq) → H^+(aq) + Cl^-(aq) [HCl] = [H^+] = 0.01 M pH = –log[H^+] = –log(0.01) = 2.00 KOH는 강염기이므로, 물에서 거의 100% 이온화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74 ) KOH(aq) → K^+(aq) + OH^-(aq) [KOH] = .. 2015. 10. 14.
0.01 M 암모니아 수용액의 이온화도는 4.3% 0.01 M 암모니아 수용액의 이온화도는 4.3% 25℃에서 0.01 M 암모니아 수용액의 이온화도는 4.3%이다. 다음을 구하시오. a. 평형에서 OH^-와 NH4^+의 농도? b. 평형에서 분자상태로 남아있는 암모니아의 농도? c. 암모니아의 이온화상수? --------------------------------------------------- ▶ 참고: 숫자에 %가 붙은 것은 이온화도가 아니라 이온화 백분율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46 ) 암모니아의 이온화 반응식 NH3(aq) + H2O(l) ⇌ NH4^+(aq) + OH^-(aq) 이온화 백분율 = ([OH^-]_평형 / [염기]_초기) × 100 4.3% = (? / 0.01) × 100 ? = 4.3.. 2015.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