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9장] 분자의 기하구조와 결합 이론212

SOCl2 루이스 구조 그리기 SOCl2 루이스 구조 그리기 Lewis structure of SOCl2 염화티오닐(thionyl chloride)의 루이스 구조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 (S) + (O) + 2(Cl) = (6) + (6) + 2(7) = 26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 26 – 3(2) = 20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칙에 맞도록 전자를 한 쌍.. 2015. 7. 13.
CS2 루이스 구조 그리기 CS2 루이스 구조 그리기 Lewis structure of CS2 이황화탄소(carbon disulfide)의 루이스 구조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 (C) + 2(S) = (4) + 2(6) = 16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 16 – 2(2) = 12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칙에 맞도록 전자를 한 쌍씩 그린다. ( 무조건, 그냥 .. 2015. 7. 11.
클로로포름(Chloroform, CHCl3)의 루이스 구조 클로로포름(Chloroform, CHCl3)의 루이스 구조 --------------------------------------------------- ▶ 참고: 루이스 구조 [ https://ywpop.tistory.com/2541 ] --------------------------------------------------- [그림] Lewis structure of chloroform, CHCl3. 중심원자 C의 전자 영역 = 4개 이므로, > C의 혼성 오비탈 = sp^3 > 분자의 기하 구조 = 사면체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542 ) [그림] Dipole moment of CHCl3. [키워드] 클로로포름 루이스 기준문서, CHCl3 루이스 기준문서 2015. 7. 11.
SO3^2- 이온의 루이스 구조 그리기 SO3^2- 이온의 루이스 구조 그리기 아황산 이온(sulfite ion)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SO3^2- ion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 1.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와 이온의 전자 수)를 더한다. SO3^2- = 4(6) + 2 = 26 2. 원자들을 배치시키고, 단일결합으로 연결하고,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26 – 3(2) = 20 3. 주위원자부터 옥텟규칙에 맞도록 한 쌍씩 전자를 그린 다음, 그린 전자 .. 2015. 7. 8.
황산 이온(sulfate ion)의 루이스 구조 그리기 ★ 황산 이온(sulfate ion)의 루이스 구조 그리기Lewis structure of SO4^2- ion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6302 ]---------------------------------------------------   1.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와 이온의 전자 수)를 더한다.SO4^2- = (S) + 4(O) + 2e^-= (6) + 4(6) + 2 = 32       2. 원자들을 배치시키고, 단일결합으로 연결하고,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32 – 4(2) = 24       3. 주위원자부터 옥텟규칙에 맞.. 2015. 7. 8.
루이스 구조(Lewis structure) 그리기. SO2 ★ 루이스 구조(Lewis structure) 그리기. SO2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그림] Sulfur dioxide, SO2, has two resonance structures.SO2 분자의 공명 구조는 2개이다.           ---> 이렇게 3개라고 생각하는 사람은공명 구조라는 개념이 탄생한 이유, 즉공명 구조의 정의부터 다시 공부해 보길 바란다.( 참고: 공명 구조 https://ywpop.tist.. 2015. 6. 15.
분자의 자기적 성질. magnetic properties of molecules ★ 분자의 자기적 성질. magnetic properties of molecules ---------------------------------------------------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57 ] --------------------------------------------------- 물질을 자기장(magnetic field)에 가까이 두었을 때, A. 어떤 물질들은 자기장에 반발하더라. B. 어떤 물질들은 자기장에 이끌리더라. A. 자기장에 반발하는 물질들을 반자기성(diamagnetic) 물질이라고 하며, 이들 물질의 분자 오비탈에는 홀전자가 없고, 쌍전자(paired electron)만 존재한다... 2015. 3. 13.
MO Diagrams of O2, F2, Ne2 MO Diagrams of O2, F2, Ne2MO diagrams for diatomic molecules       [참고] 분자 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6048 ]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6879 )   > O2의 결합 차수 = (6 – 2) / 2 = 2> F2의 결합 차수 = (6 – 4) / 2 = 1> Ne2의 결합 차수 = (6 – 6) / 2 = 0   [팁] σ_1s 오비탈과 σ*_1s 오비탈에 채워진 전자의 수와σ_2s 오비탈과 σ*_2s 오비탈에 채워진 전자의 수는 서로 같으므로,1s 오비탈과 2s 오비탈에 존재하는 전.. 2014. 12. 6.
Lewis dot structure of H3PO4 (phosphoric acid) Lewis dot structure of H3PO4 (phosphoric acid)인산의 루이스 구조식         ▶ 인산의 중심 원자인 인(P)의 원자가 전자 수는(8개가 아닌) 10개.> P는 3주기 원소이기 때문에,비어있는 d 오비탈을 갖고 있다.---> 화합물이 될 때 d 오비탈을 결합에 사용할 수 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 )( 참고: 옥텟 규칙의 예외 https://ywpop.tistory.com/8577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52 ] PF5의 루이스 구조         [참고] 인산염. phosphate> 인산의 수소 이온이금속 이온 또는 NH4^+ 이온으로 치환된 물질.   예)NaH2.. 2014. 11. 20.
탄소(carbon), 산소(oxygen)의 혼성 오비탈(hybrid orbital) 탄소(carbon), 산소(oxygen)의 혼성 오비탈(hybrid orbital)   ---------------------------------------------------▶ 참고: 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 https://ywpop.tistory.com/2639 ]---------------------------------------------------   [1] 탄소(carbon)의 sp3 혼성 오비탈( 예: Methane, CH4 분자에서 C의 혼성 오비탈 )     > s 오비탈 1개와 p 오비탈 3개를 혼합해서 만들었다고, sp3 혼성 오비탈이라 명명.> 홀전자를 가진 4개의 sp3 혼성 오비탈 → 4개의 시그마 결합(σ-bond) 형성.           [ .. 2014.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