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9장] 분자의 기하구조와 결합 이론212

N2F2 분자는 극성인가 무극성인가 ★ N2F2 분자는 극성인가 무극성인가Is N2F2 polar or nonpolar?         [그림] N2F2의 기하 이성질체. cis-N2F2 and trans-N2F2.       ▶ N2F2 bond anglesThe electron arrangement in N2F2 is trigonal planar, as the central Nitrogen atom is forming bonds with two other atoms. Generally, the bond angles for the molecules having such an arrangement is 120°, but as there are two lone pairs, it will try and repel each other, com.. 2018. 10. 10.
CS2는 극성 분자? 무극성 분자? CS2는 극성 분자? 무극성 분자?CS2 polar or nonpolar       ▶ 극성 결합 or 무극성 결합> 극성 “분자”, 무극성 “분자”가 아닌,오로지 “결합” 자체만 보면,같은 원소끼리 결합이면, 무조건, 100% 무극성,다른 원소끼리 결합이면, 무조건, 100% 극성.       두 원자의 종류가 다르면,두 원자 사이의 결합은 100% 극성 결합입니다.     왜냐하면,두 원자의 종류가 다르면,두 원자의 전기음성도가( 참고: 전기음성도 https://ywpop.tistory.com/2567 )   0.00000000001 이라도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C=S 결합 자체만 보면,이 결합은 극성 결합입니다.( C=S 결합은 극성 공유결합 )       그러나“분.. 2018. 10. 8.
N2H2 Lewis structure. N2H2 루이스 구조 N2H2 Lewis structure. N2H2 루이스 구조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2541 ]---------------------------------------------------     > IUPAC name: Diazene> Other names: Diimide, Diimine> N2H2의 몰질량 = 30.03 g/mol       3D structure of N2H2         ▶ Molecular geometry of N2H2> 각 질소(N)의 전자 영역 = 3 이므로,( 참고: 전자 영역 https://ywpop.tistory.. 2018. 10. 2.
NCS^- 루이스 구조 그리기 NCS^- 루이스 구조 그리기. 티오시아네이트 Lewis structure of thiocyanate (SCN^-)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 (N) + (C) + (S) + 1 = (5) + (4) + (6) + 1 = 16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N–C–S 16 – 2(2) = 12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칙에 맞도록 전자를 한 쌍씩 그린다. ( 무조건, 그냥 주위 원.. 2018. 8. 18.
FNO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FNO ★ FNO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FNOLewis structure of nitrosyl fluoride           ▶ 중심원자 N의 전자영역 = 3개 이므로,( 참고: 전자영역 https://ywpop.tistory.com/2569 )   > N의 기본 결합각 = ~120도> 기본 기하구조 = 삼각평면, Trigonal Planar( 전자영역의 기하구조 = 삼각평면, Trigonal Planar )( 참고: 전자영역별 기하구조 https://ywpop.tistory.com/2571 )                   ▶ 1개의 전자영역을, 원자가 아닌, 비공유전자쌍이 차지하고 있으므로,> FNO의 기하구조는 굽은형.( 분자의 기하구조는 굽은형. )   .. 2018. 7. 12.
삼염화질소의 루이스 구조. nitrogen trichloride. NCl3 삼염화질소의 루이스 구조. nitrogen trichloride. NCl3염화질소의 루이스 구조. nitrogen chloride       [참고] NCl3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23741 ]         ▶ Additional Names: chlorine nitride, trichlorine nitride       ▶ NH3의 쌍극자 모멘트, μ = 1.42 D---> NH3는 극성(polar) 분자( N ← H 극성 결합 )       ▶ NCl3의 쌍극자 모멘트, μ = 0.60 D---> NCl3는 극성(polar) 분자( N → Cl 극성 결합 )       N의 전기음성도 = 3.04 이고,Cl의 전기음성도 = 3.16 이므로.. 2018. 7. 10.
BeH2의 혼성 오비탈. 베릴륨의 혼성화. Be의 sp 혼성 오비탈 BeH2의 혼성 오비탈. 베릴륨의 혼성화. Be의 sp 혼성 오비탈       [참고] 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 https://ywpop.tistory.com/2639 ]       ▶ 베릴륨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배치: 1s^2 2s^2       ▶ 바닥상태의 원자 오비탈 그대로는홀전자가 없기 때문에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원자 오비탈의 혼성화(hybridization)가 일어난다.         2s^2에 있는 전자 1개가2p 오비탈로 들뜬 후,sp 혼성 오비탈을 만든다.> sp 혼성 오비탈의 개수는 2개.---> 2개의 전자 영역인 셈이다.---> 홀전자이므로, 2개의 공유 결합 가능.         [그림] two lobes of the be.. 2018. 7. 6.
원자 오비탈(AO)의 혼성화 이론 정리 원자 오비탈(AO)의 혼성화 이론 정리> 다원자 화합물의 VBT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57 ]---------------------------------------------------   ① 혼성은 s와 p 오비탈과 같이,2개 이상의 다른 AO의 혼합이다.       ② 혼성 오비탈 ≠ 원자 오비탈---> 모양/에너지가 다르다.       ③ 생성된 혼성 오비탈의 수 = 혼성에 참여한 AO의 수       ④ 다원자 화합물(분자)의 공유 결합은 혼성 오비탈끼리또는 혼성 오비탈과 비혼성 오.. 2018. 6. 8.
OF2의 루이스 구조식 OF2의 루이스 구조식Lewis structure of OF2, oxygen difluoride         [그림] OF2의 루이스 구조식.( 참고: 옥텟 규칙 https://ywpop.tistory.com/2634 )       [참고] 루이스 전자 점 기호로 나타낸 주기율표[ https://ywpop.tistory.com/2872 ]     ---------------------------------------------------       [그림] H2O의 기하구조.   OF2의 루이스 구조와H2O의 루이스 구조는( 그림 https://ywpop.tistory.com/2569 )   100% 같으므로,두 분자의 기하구조도 같다.       ▶ 분자의 기하구조는 둘 다 ‘굽은형’이.. 2018. 3. 26.
Lewis structure of HClO4, HClO3, HClO2, and HClO Lewis structure of HClO4, HClO3, HClO2, and HClO         [그림] HClO4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HClO4.( 참고: ClO4^- 루이스 https://ywpop.tistory.com/21523 )           [그림] HClO3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HClO3.( 참고: ClO3^- 루이스 https://ywpop.blogspot.com/2024/04/clo3.html )( 참고: 불안정한 HClO3 루이스 구조 https://ywpop.blogspot.com/2024/06/drawing-lewis-structure-of-hclo3.html )           [그림] HClO.. 2018.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