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09장] 분자의 기하구조와 결합 이론212 분자 오비탈 (MO) 이론. MOT ★ 분자 오비탈 (Molecular Orbital, MO) 이론 ---------------------------------------------------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57 ] --------------------------------------------------- ▶ 원자 내 전자의 위치를 확률적으로 나타낸 파동 함수 ⇨ 원자 오비탈 (AO, Atomic Orbital), 이듯이... ( 참고: 원자 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7108 ) ▶ 분자 내 전자의 위치를 확률적으로 나타낸 파동 함수 ⇨ 분자 오비탈 (MO) -------------------------------.. 2016. 10. 19. H2O는 평면 구조인가 입체 구조인가 ★ H2O는 평면 구조인가 입체 구조인가 H2O는 굽은형(bent shape)인데,평면형(평면 구조)인가? 입체형(입체 구조)인가?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57 ] 다음과 같은 분자 구조 모형 조립 세트가 있다. 구슬 3개, 연결 막대 2개로 물 분자 모형을 만든 다음, 이 물 분자 모형을 바닥에 던졌을 때,구슬이 완벽한 구라고 가정하면,물 분자 모형은 어떻게 될까?① 3개 구슬은 모두 바닥에 닿아있다.② 2개 구슬은 바닥에 닿아있고, 1개 구슬은 공중에 떠있다.③ 1개 구슬은 바닥에 닿아있고, 2개 구슬은 공중에 떠있다. 위 질문의 .. 2016. 10. 9. 헬륨의 분자오비탈(궤도함수)과 결합차수 헬륨의 분자오비탈(궤도함수)과 결합차수 MO Diagrams of He2, He2^+ He2^+가 만들어질 수 있음을 분자 오비탈 에너지 도표로 설명하시오. ---------------------------------------------------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57 ] --------------------------------------------------- [그림] MO Diagrams of He2, He2^+.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879 ) He2^+의 결합 차수 = 1/2 이므로, 만들.. 2016. 6. 6. 분자 오비탈 전자 배치, 산소 분자(O2), 이온 ★ 분자 오비탈 전자 배치, 산소 분자(O2), 이온 Molecular orbital(MO) diagram of dioxygen ion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879 ) > O2^+의 결합 차수 = (6 – 1) / 2 = 5/2 = 2.5 > O2의 결합 차수 = (6 – 2) / 2 = 4/2 = 2 > O2^-의 결합 차수 = (6 – 3) / 2 = 3/2 = 1.5 ( σ_2s 오비탈과 σ*_2s 오비탈에 채워진 전자의 수는 서로 같으므로, 2s 오비탈에 존재하는 전자들은 생략하고 계산해도 된다. ) ※ O2^2-의 MO > O2^-의 π*_2p 오비탈에 전자 1개를 추가하면, ---> O2^.. 2016. 5. 30. H2^+의 분자 오비탈(MO)과 결합 차수 H2^+의 분자 오비탈(MO)과 결합 차수MO diagram of H2^+ ---------------------------------------------------▶ 참고: 분자 오비탈 이론[ https://ywpop.tistory.com/6048 ]--------------------------------------------------- [그림] Molecular orbital diagram of H2.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6879 ) ▶ 바닥상태 H2^+의 결합차수 = 1/2 (e) 빛에 의해낮은 에너지의 분자 오비탈로.. 2016. 5. 27. MO Diagrams of B2, C2, N2 MO Diagrams of B2, C2, N2MO diagrams for diatomic molecules [참고] 분자 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6048 ]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6879 ) > B2의 결합 차수 = (2 – 0) / 2 = 1> C2의 결합 차수 = (4 – 0) / 2 = 2> N2의 결합 차수 = (6 – 0) / 2 = 3 [팁] σ_1s 오비탈과 σ*_1s 오비탈에 채워진 전자의 수와σ_2s 오비탈과 σ*_2s 오비탈에 채워진 전자의 수는 서로 같으므로,1s 오비탈과 2s 오비탈에 존재하는 전자들.. 2016. 5. 25. 오존(Ozone, O3)의 루이스 구조 ★ 오존(Ozone, O3)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O3 (Ozone)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는 방법 [ https://ywpop.tistory.com/6302 ] ▶ 참고: PCl3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2541 ] --------------------------------------------------- 1.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를 더한다. O3 = 3(6) = 18 2. 원자들을 배치시키고, 단일결합으로 연결하고, (첫 번째 그림)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18 – 2(2) = 14 3. 주위원자부터 옥텟규칙에 맞도록 .. 2016. 5. 22. 아질산, HNO2의 루이스 구조 그리기 아질산, HNO2의 루이스 구조 그리기 Lewis Structure of HNO2 (Nitrous acid)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 H + N + 2(O) = 1 + 5 + 2(6) = 18 [2단계] 분자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① 중심 원자와 주위 원자 결정. 원자가전자 수가 4에 가까운 원자 = 중심 원자 = 질소(N) ② 중심 원자의 상/하/좌/우(또는 일직선) 자리에 주위 원자들을 배치한.. 2016. 5. 16. N2와 N2+의 질소-질소 결합길이 N2와 N2^+의 질소-질소 결합길이 N2와 N2^+ 중 질소-질소 결합길이가 더 짧은 것은? MOT에서 공유 결합의 안정도는 결합 차수로 나타낼 수 있다.공유 결합의 안정도 ∝ 결합 차수( 참고: 결합차수 https://ywpop.tistory.com/6879 ) [그림] MO Diagrams for N2 and N2^+.결합차수 =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 2 s 오비탈 전자는 서로 상쇄되므로, p 오비탈 전자만 계산하면,> N2의 결합차수 = (6 – 0) / 2 = 3> N2^+의 결합차수 = (5 – 0) / 2 = 5/2 결합차수와 결합길이는 반비례하므로,( 참고 https://ywpop.tist.. 2016. 4. 5. 왜 정사면체는 쌍극자모멘트가 0인가요? 왜 정사면체는 쌍극자모멘트가 0인가요? 예를 들어 CH4 같은 경우는 탄소쪽으로 전자쌍이 몰려있는데도 왜 쌍극자모멘트가 0인가요? --------------------------------------------------- ▶ 참고: 쌍극자 모멘트 [ https://ywpop.tistory.com/2581 ] --------------------------------------------------- 왜냐하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는 크기와 방향, 둘 다 가진 벡터량이고, 한 물질의 쌍극자 모멘트는 각 결합의 벡터량을 모두 합한 벡터합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똑같은 힘을 가진 4사람이 동서남북으로 줄다리기 시합을 하면 어느 쪽으로도 움직이지 않고, 똑같은 힘을 가진 4사람이 가운데에 공을 놓고 동서남.. 2015. 9. 2.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