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68 15% 식염수 300 g 15% 식염수 300 g 15% 식염수 300 g이 있다. 이 용액 100 g을 버리고, 대신 물 100 g을 첨가했다면, 식염수의 농도는? --------------------------------------------------- 처음 15% 식염수 300 g에 들어있는 식염의 질량 = 300 g × (15/100) = 45 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버린 15% 식염수 100 g에 들어있는 식염의 질량 = 100 g × (15/100) = 15 g 남아있는 15% 식염수 200 g에 들어있는 식염의 질량 = 45 – 15 = 30 g 물 100 g을 첨가한 식염수의 농도 = [30 / (200 + 100)] × 100 = 10% 2021. 6. 29. 몰랄농도. 1 M 포도당 수용액 20 mL + 포도당 5.4 g 몰랄농도. 1 M 포도당 수용액 20 mL + 포도당 5.4 g 1 M 포도당 수용액 20 mL에 포도당 5.4 g을 넣었다. 이때 몰랄농도는? 단, 모든 수용액의 밀도 1 g/mL, 포도당 분자량 180 --------------------------------------------------- (1 mol/L) (20/1000 L) = 0.02 mol 포도당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0.02 mol × (180 g/mol) = 3.6 g 포도당(용질) ---> 1 M 포도당 수용액 20 mL에 들어있는 포도당의 질량 수용액의 밀도 = 1 g/mL 이므로, 포도당 수용액 20 mL의 질량 = 20 g 20 – 3.6 = 16.4 g 물(용매) 5.4 g / (.. 2021. 6. 28. 비중 1.18인 37% (w/w%) 염산(36.5 g/mol)의 몰농도 비중 1.18인 37% (w/w%) 염산(36.5 g/mol)의 몰농도 --------------------------------------------------- ▶ 참고: 35% 염산의 몰농도 [ https://ywpop.tistory.com/8915 ] --------------------------------------------------- (37/100) (1 mol / 36.5 g) (1.18 g/mL) (1000 mL / 1 L) = (37/100) (1 / 36.5) (1.18) (1000) = 11.96 mol/L = 11.96 M 위 계산을 공식으로 만들면, 몰농도 = (wt%/100) × (1 / 몰질량) × 밀도 × 1000 = (37/100) × (1 / 36.5) × 1.18 .. 2021. 6. 27. 28.0 wt% NH4OH 용액 (d 0.899) 으로 0.50 M NH3 용액 500 mL 만들기 28.0 wt% NH4OH 용액 (d 0.899) 으로 0.50 M NH3 용액 500 mL 만들기 0.50 M NH3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28.0 wt% NH3 시약의 부피는? --------------------------------------------------- [필요한 시약의 부피 계산 공식]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50) × (0.500) × (17.03) / (28.0/100) / (0.899) = 16.91 mL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202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28% NH3 몰농도 기준문서, 28% 암모니아 몰농도 기준문서 2021. 6. 26. 0.1 M NaOH 20 mL + 0.1 M HCl 25 mL 용액의 pH 0.1 M NaOH 20 mL + 0.1 M HCl 25 mL 용액의 pH 0.1 M NaOH 20 mL를 0.1 M HCl 25 mL에 가한 용액의 pH는 얼마인가? --------------------------------------------------- (0.1 mol/L) (20/1000 L) = 0.002 mol NaOH (0.1 mol/L) (25/1000 L) = 0.0025 mol HCl “HCl의 몰수 > NaOH의 몰수” 이므로, 중화 반응 후 남아있는 HCl의 몰수를 계산하면, 0.0025 – 0.002 = 0.0005 mol HCl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0.0005 mol / [(20+25)/1000 L] = 0.011 mol/L = 0.011 M = [HCl.. 2021. 6. 25. 0.5 M KOH 용액 25.0 mL를 0.35 M로 0.5 M KOH 용액 25.0 mL를 0.35 M로 0.5 M의 KOH 용액 25.0 mL를 0.35 M로 만들려면 물을 얼마를 가해야 하는가? --------------------------------------------------- MV = M’V’ = mol 진한 용액 속 용질의 몰수 = 묽은 용액 속 용질의 몰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0.5 M) (25.0 mL) = (0.35 M) (? mL) ? = (0.5) (25.0) / (0.35) = 35.7 mL 0.5 M KOH 용액 25.0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35.7 mL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면, 0.35 M KOH 용액 35.7 mL가 됩니다. 답: 10.7 mL 2021. 6. 25. 37% 염산 8 mL (FW=36.5, d=1.18) 포함한 용액 1 L의 몰농도 37% 염산 8 mL (FW=36.5, d=1.18) 포함한 용액 1 L의 몰농도 37% 진한 염산 8 mL (FW=36.5, d=1.18)를 증류수로 묽혀 1 L로 만든 용액의 몰농도 --------------------------------------------------- 37% 진한 염산 8 mL에 들어있는 순수한 HCl의 몰수를 계산하면, 8 mL × (37/100) × (1.18 g/mL) × (1 mol / 36.5 g) = 8 × (37/100) × (1.18) × (1 / 36.5) = 0.09569 mol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0.09569 mol / 1 L = 0.09569 M ≒ 0.10 M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0585 .. 2021. 6. 24. 37% 염산 시약으로 0.02 N HCl 용액 1 L 만들기 37% 염산 시약으로 0.02 N HCl 용액 1 L 만들기 단, 시약의 밀도 = 1.2 g/mL --------------------------------------------------- [참고] HCl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HCl 용액의 몰농도 = HCl 용액의 노르말농도” ---> 37% 염산 시약으로 0.02 M HCl 용액 1 L 만들기 [필요한 시약의 부피 계산 공식]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5626 ) = 0.02 × 1 × 36.46 / (37/100) / 1.2 = 1.64 m.. 2021. 6. 24. 1몰의 Ca(OH)2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HCl과 H2SO4의 몰수 1몰의 Ca(OH)2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HCl과 H2SO4의 몰수 --------------------------------------------------- Ca(OH)2(aq) → Ca^2+(aq) + 2OH^-(aq) HCl(aq) → H^+(aq) + Cl^-(aq) H2SO4(aq) → 2H^+(aq) + SO4^2-(aq) 중화 반응의 알짜 반응 H^+(aq) + OH^-(aq) → H2O(l) 답: HCl은 2몰, H2SO4는 1몰 [참고] 2HCl + Ca(OH)2 → CaCl2 + 2H2O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86 ) [참고] H2SO4 + Ca(OH)2 → CaSO4 + 2H2O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646 ) 2021. 6. 24. 3.5 M H2SO4 100 mL 2.0 M H2SO4 3.5 M H2SO4 100 mL 2.0 M H2SO4 3.5 M H2SO4 100 mL를 2.0 M H2SO4로 희석하면, 2.0 M H2SO4의 부피는 얼마가 되겠는가? ---------------------------------------------------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3.5 M) (100 mL) = (2.0 M) (? mL) ? = 3.5 × 100 / 2.0 = 175 mL 2021. 6. 24.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 1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