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67

0.568 M Ca(NO3)2 46.2 mL + 1.396 M Ca(NO3)2 80.5 mL 0.568 M Ca(NO3)2 46.2 mL + 1.396 M Ca(NO3)2 80.5 mL 0.568 M 질산칼슘, Ca(NO3)2 용액 46.2 mL를 1.396 M 질산칼슘 용액 80.5 mL와 섞었다. 이 최종 혼합용액의 농도는? A 46.2 mL, 0.568 M calcium nitrate [Ca(NO3)2] solution is mixed with 80.5 mL of 1.396 M calcium nitrate solution. Calculate the concentration of the final solution. --------------------------------------------------- 혼합 용액의 몰농도 = 각 용액 속 용질의 몰수의 합 / 각 용액의 부피(L)의 합 0.. 2021. 7. 14.
0.312 M HCl 용액 17.4 mL + NaOH 용액 25.0 mL 0.312 M HCl 용액 17.4 mL + NaOH 용액 25.0 mL 0.312 M HCl 용액 17.4 mL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NaOH의 부피가 25.0 mL라면 NaOH의 몰농도를 계산하시오. --------------------------------------------------- MV = M’V’ = mol 산의 몰수 = 염기의 몰수 H^+의 몰수 = OH^-의 몰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312 M) (17.4 mL) = (? M) (25.0 mL) ? = (0.312) (17.4) / (25.0) = 0.217 M 답: 0.217 M 2021. 7. 14.
0.10 M 황산 용액 1.5 L 제조에 필요한 16 M 황산의 부피 0.10 M 황산 용액 1.5 L 제조에 필요한 16 M 황산의 부피 0.10 M 황산 용액 1.5 L를 만드는데 필요한 16 M 황산의 부피는 얼마인가? --------------------------------------------------- 묽힘법칙 MV = M’V’ = mol 진한 용액의 mol수 = 묽은 용액의 mo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6 M) (? L) = (0.10 M) (1.5 L) ? = (0.10) (1.5) / (16) = 0.009375 L 답: 9.4 mL [키워드] 묽힘 기준문서, 희석 기준문서 2021. 7. 14.
NaCl(MW 58.5) 87 g/L 용액의 몰농도 NaCl(MW 58.5) 87 g/L 용액의 몰농도 농도 환산. 87 g/L NaCl 용액의 몰농도 --------------------------------------------------- 87 g/L NaCl 용액 ---> 1 L 용액 속에 87 g NaCl(용질)이 용해되어있다. NaCl의 몰질량 = 58.5 g/mol 이므로, 87 g NaCl의 몰수를 계산하면, 87 g / (58.5 g/mol) = 1.4872 mol Na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1.4872 mol / 1 L = 1.4872 M 답: 1.49 M 2021. 7. 14.
1.37 M 시트르산(H3C6H5O7) 수용액의 밀도는 1.10 g/cm3 1.37 M 시트르산(H3C6H5O7) 수용액의 밀도는 1.10 g/cm3 1.37 M 시트르산(H3C6H5O7) 수용액의 밀도는 1.10 g/cm^3이다. 시트르산의 질량 백분율, 몰랄농도, 몰분율, 당량을 계산하라. 시트르산은 세 개의 산성 양성자를 가지고 있다. A 1.37 M solution of citric acid (H3C6H5O7) in water has a density of 1.10 g/cm3. Calculate the mass percent, molality, mole fraction, and normality of the citric acid. Citric acid has three acidic protons. -----------------------------------------.. 2021. 7. 11.
95% 황산으로 10% 황산 15 L 만들기 95% 황산으로 10% 황산 15 L 만들기 --------------------------------------------------- ▶ 케미컬 핸드북 또는 구글링해서 각 용액의 밀도를 찾는다. > 95% 황산의 밀도 = 1.8357 g/mL > 10% 황산의 밀도 = 1.0658 g/mL C × V × D = c × v × d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711 ) V = (c × v × d) / (C × D) = (10 × 15 × 1.0658) / (95 × 1.8357) = 0.91673 L = 916.73 mL 95% 황산 916.73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15 L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면 10% 황산 15 L가 됩니다. [키워드] 황산 퍼센트농도를 부피로.. 2021. 7. 7.
36 wt% HCl을 사용해 10 wt% 염산 100 mL 만들기 36 wt% HCl을 사용해 10 wt% 염산 100 mL 만들기 --------------------------------------------------- 단순히 36 wt% HCl 10 g + 증류수 90 g 섞으면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36 wt%) (10 g) = (? wt%) (100 g) ? = (36) (10) / (100) = 3.6 wt% ---> 3.6 wt% HCl 100 g ▶ 케미컬 핸드북 또는 구글링해서 각 용액의 밀도를 찾는다. > 36 wt% HCl의 밀도 = 1.1789 g/mL > 10 wt% HCl의 밀도 = 1.0475 g/mL C × V × D = c × v × d ( 참고 https://ywpop... 2021. 7. 7.
100000 μg/mL 용액 1 μL + 증류수 999 μL 100000 μg/mL 용액 1 μL + 증류수 999 μL 100000 μg/mL 용액 1 μL + 증류수 999 μL 이렇게 묽힌 용액의 농도는? --------------------------------------------------- 1 μL × (1 mL / 1000 μL) = 0.001 mL (100000 μg/mL) × 0.001 mL = 100 μg ---> 100000 μg/mL 용액 1 μL에 들어있는 용질의 질량 “용액의 밀도 = 증류수의 밀도” 라 가정하면, 1 μL + 999 μL = 1000 μL = 1 mL ---> 혼합 용액의 부피 혼합 용액의 농도를 계산하면, 100 μg / 1 mL = 100 μg/mL 2021. 7. 6.
0.25 M H2S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6.0 M H2SO4의 부피 0.25 M H2S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6.0 M H2SO4의 부피 --------------------------------------------------- MV = M’V’ = mol 진한 용액속 용질의 몰수 = 묽은 용액속 용질의 몰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6.0 M) (? mL) = (0.25 M) (500 mL) ? = (0.25) (500) / (6.0) = 20.83 mL 답: 20.83 mL 2021. 6. 29.
15% 식염수 300 g 15% 식염수 300 g 15% 식염수 300 g이 있다. 이 용액 100 g을 버리고, 대신 물 100 g을 첨가했다면, 식염수의 농도는? --------------------------------------------------- 처음 15% 식염수 300 g에 들어있는 식염의 질량 = 300 g × (15/100) = 45 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버린 15% 식염수 100 g에 들어있는 식염의 질량 = 100 g × (15/100) = 15 g 남아있는 15% 식염수 200 g에 들어있는 식염의 질량 = 45 – 15 = 30 g 물 100 g을 첨가한 식염수의 농도 = [30 / (200 + 100)] × 100 = 10% 2021.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