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시약의 순도와 용액의 %농도 시약의 순도와 용액의 %농도 > 둘 다 단위가 ‘%’라서 이 둘을 혼동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 > 시약은 (순물질 + 불순물)의 혼합물이다. > 시약의 순도(%)는 순물질 / (순물질 + 불순물) × 100. > 시약은 순도는, 일반적으로, 50% 보다 훨씬 큰 값을 갖는다. ( 대부분 95% 이상 ) > 용액은 (용질 + 용매)의 혼합물이다. > 용액의 %농도는 용질 / (용질 + 용매)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64 ) > 용액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50% 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갖는다. [키워드] 시약의 순도 기준문서, 시약의 순도 사전 2022. 8. 12. 0.5 M Na2CO3 용액 500 mL 만들기 ★ 0.5 M Na2CO3 용액 500 mL 만들기 단, 준비된 Na2CO3 시약의 순도는 98%. --------------------------------------------------- [1] 0.5 M Na2CO3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순수한 Na2CO3의 몰수를 계산하면, (0.5 mol/L) × 0.500 L = 0.25 mol Na2CO3 (순물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2] Na2CO3의 몰질량 = 105.99 g/mol 이므로, 0.25 mol Na2CO3의 질량을 계산하면, 0.25 mol × (105.99 g/mol) = 26.4975 g Na2CO3 (순물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 2022. 8. 12. 0.1 M HCl 용액의 %농도 0.1 M HCl 용액의 %농도 ---------------------------------------------------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41 ) 용액의 밀도가 주어지지 않았기에, 정확한 농도 계산은 불가능하다. 용액의 밀도를 모르지만, 0.1 M 정도면 묽은 용액이므로, 용액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고, 대략적인 농도를 계산하면, wt% = 몰농도 × 몰질량 / (밀도 × 10) = 0.1 × 36.46 / (1 × 10) = 0.3646%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8915 ] 35% 염산 시약(d 1.174, FW 36.46)의 몰농도 [키워드] 염산 몰농도 기.. 2022. 8. 11. pH 6 용액 10 mL + 물 90 mL 혼합 용액의 pH pH 6 용액 10 mL + 물 90 mL 혼합 용액의 pH pH 6인 용액 10 mL에 물 90 mL를 첨가했을 때 용액의 pH --------------------------------------------------- [참고] 매우 묽은 산 수용액 또는 매우 묽은 염기 수용액의 pH를 계산할 때는 물에서 자동이온화된 H^+ 이온의 양을 고려해야 한다. ( 참고: 물의 자동이온화 https://ywpop.tistory.com/2704 ) pH = –log[H^+] = 6 [H^+] = 10^(-6) M (10^(-6) mol/L) (10/1000 L) = 10^(-8) mol H^+ ---> pH 6인 용액 10 mL 속 H^+ 이온의 몰수 물의 자동이온화 결과 생성된 H^+ 이온의 몰수를 계산하면,.. 2022. 8. 10. 80℃ 질산칼륨 포화용액 270 g을 30℃로 냉각시켰을 때 석출량 ★ 80℃ 질산칼륨 포화용액 270 g을 30℃로 냉각시켰을 때 석출량 [용해도 곡선 자료]> 30℃ 용해도 = 50> 80℃ 용해도 = 170 [포화용액의 질량이 주어진 상황]단, 용해도로 계산한 질량과 같은 경우. ▶ 고체의 용해도의 정의> 포화 용액에서, 용매 100 g당 용질의 g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7320 ) 80℃에서, 용매 100 g + 용질 170 g = 포화용액 270 g---> 문제에서 80℃ 포화용액의 질량이 주어졌다.---> 고체의 용해도 문제 중에서 난이도 최하인 문제. 용해도 차이만큼 용질이 석출되므로,170 – 50 = 120 g 답: 120 g [.. 2022. 8. 10. Cu^2+의 ppm 농도. 1.23 mg CuSO4*5H2O + 75.0 g 물 Cu^2+의 ppm 농도. 1.23 mg CuSO4*5H2O + 75.0 g 물 --------------------------------------------------- CuSO4*5H2O의 몰질량 = 249.685 g/mol 이고, Cu의 몰질량 = 63.546 g/mol 이므로, Cu의 질량 분율을 계산하면, Cu / CuSO4*5H2O = 63.546 / 249.685 = 0.2545047 1.23 mg × 0.2545047 = 0.3130408 mg Cu ---> 1.23 mg CuSO4*5H2O 속 Cu의 질량 Cu^2+의 ppm 농도를 계산하면, [0.3130408 / (1.23 + 75000)] × 10^6 = 4.1738 pp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 2022. 8. 4. 32.18 g K2Cr2O7 1.000 L 19.93 mL Cu^+ 250.0 mL 32.18 g K2Cr2O7 1.000 L 19.93 mL Cu^+ 250.0 mL Potassium dichromate in acidic solution is used to titrate a solution of copper(I) ions, with which it reacts according to Cr2O7^2-(aq) + Cu^+(aq) → Cr^3+(aq) + Cu^2+(aq) A potassium dichromate solu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32.18 g of K2Cr2O7 in water and diluting to a total volume of 1.000 L. A total of 19.93 mL of this solution is required to.. 2022. 8. 2. 5.134 g K2Cr2O7 1.000 L Fe^2+ 500.0 mL 34.26 mL 5.134 g K2Cr2O7 1.000 L Fe^2+ 500.0 mL 34.26 mL K2Cr2O7 5.134 g을 물에 녹여서 용액 1.000 L를 만든 후, 철(II) 이온을 함유한 용액 500.0 mL를 적정하는데 중크롬산 포타슘 용액 34.26 mL가 필요하다. 초기 용액에서 Fe^2+(aq) 이온의 농도를 계산하시오. Potassium dichromate in acidic solution is used to titrate a solution of iron(II) ions, with which it reacts according to Cr2O7^2-(aq) + Fe^2+(aq) → Cr^3+(aq) + Fe^3+(aq) A potassium dichromate solution is prepared.. 2022. 8. 2. 2 M NaNO3 용액 100 mL 만들기 ★ 2 M NaNO3 용액 100 mL 만들기 2 M NaNO3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NaNO3의 질량은 몇 g인가? --------------------------------------------------- 2 M NaNO3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NaNO3의 몰수를 계산하면, (2 mol/L) (0.100 L) = 0.2 mol NaN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NaNO3의 몰질량 = 84.99 g/mol 이므로, ( 참고: 몰질량 계산기 https://ywpop.tistory.com/18326 ) 0.2 mol NaNO3의 질량을 계산하면, 0.2 mol × (84.99 g/mol) = 16.998 g NaNO3 ( 참고 https://yw.. 2022. 8. 1. 물 500 mL에 NaCl 3 g 녹아있는 용액의 ppm 농도 물 500 mL에 NaCl 3 g 녹아있는 용액의 ppm 농도 물 500 mL에 NaCl이 3 g 녹아 있다. 이 용액의 ppm 농도를 구하라. --------------------------------------------------- ▶ 참고: 환산 인자 [ https://ywpop.tistory.com/3121 ] --------------------------------------------------- 물 500 mL에 NaCl 3 g을 가해도 물의 부피는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용매의 부피 ≒ 용액의 부피 = 500 mL (3 g / 500 mL) (1000 mg / 1 g) (1000 mL / 1 L) = (3 / 500) (1000) (1000) = 6000 mg/L = 6000 ppm (.. 2022. 8. 1.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1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