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액체 450 g에 에틸렌 글라이콜 120 g이 들어있다 액체 450 g에 에틸렌 글라이콜 120 g이 들어있다 120 g ethylene glycol in 450 g liquid 액체 450 g에 에틸렌 글라이콜 120 g이 들어있다면, 에틸렌 글라이콜은 몇 %인가? A container was found in the home of the victim that contained 120 g of ethylene glycol in 450 g of liquid. What was the percentage of ethylene glycol? --------------------------------------------------- ▶ 참고: 질량 백분율 (퍼센트 농도) [ https://ywpop.tistory.com/2656 ] ------------------.. 2022. 9. 11. 0.002 N NaOH 용액 속 [OH^-] 0.002 N NaOH 용액 속 [OH^-] ---------------------------------------------------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NaOH의 노르말농도 = 몰농도 0.002 N NaOH = 0.002 M NaOH NaOH(aq) → Na^+(aq) + OH^-(aq) NaOH : Na^+ : OH^- = 1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NaOH] = [Na^+] = [OH^-] = 0.002 M [키워드] NaOH 용액 속 [Na^+] 기준문서, NaOH 용액 속 [OH^-] 기준문서 2022. 9. 8. Ca(OH)2 100 mL 중화에 0.1 N HCl 10 mL. 용액의 경도 Ca(OH)2 100 mL 중화에 0.1 N HCl 10 mL. 용액의 경도 Ca(OH)2 용액 100 mL를 중화하는데 0.1 N HCl 용액이 10 mL 소요되었다. 이 용액의 경도는? --------------------------------------------------- Ca(OH)2 용액의 노르말농도를 계산하면, N1V1 = N2V2 산의 eq수 = 염기의 eq 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1 N) (10 mL) = (? N) (100 mL) ? = (0.1) (10) / (100) = 0.01 N 0.01 N = 0.01 eq/L (as Ca(OH)2) CaCO3의 g당량수 = 50000 mg/eq 이므로, (0.01 eq/L) (50000 .. 2022. 9. 7. 2 mM PO4^3- 용액의 이론적인 알칼리도(mg/L as CaCO3) 2 mM PO4^3- 용액의 이론적인 알칼리도(mg/L as CaCO3) 2 mM PO4^3- 용액의 mg/L as CaCO3 --------------------------------------------------- 2 mM = 0.002 M = 0.002 mol/L (as PO4^3-) PO4^3-의 당량수 = 3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02 mol/L) (3 eq/mol) = 0.006 eq/L (as PO4^3-) ---> 몰농도를 노르말농도로 환산한 것 CaCO3의 g당량수 = 50000 mg/eq 이므로, (0.006 eq/L) (50000 mg/eq) = 300 mg/L (as CaCO3) ---> PO4^3.. 2022. 9. 7. 5% HCl 용액으로 0.1 M HCl 용액 100 mL 만들기 5% HCl 용액으로 0.1 M HCl 용액 100 mL 만들기 --------------------------------------------------- > 5% HCl 용액(d 1.0230)의 몰농도 = 1.4029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312 ) 0.1 M HCl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5% HCl 용액의 부피를 묽힘법칙으로 계산하면,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4029 M) (? mL) = (0.1 M) (100 mL) ? = (0.1) (100) / (1.4029) = 7.1281 mL 100 mL 부피 플라스크에 (1) 대략 ~50 mL 정도의 증류수를 가하고, (2) 5% .. 2022. 9. 7. 20% NaOH 용액 500 mL를 몰농도(M)로 환산 20% NaOH 용액 500 mL를 몰농도(M)로 환산 --------------------------------------------------- ▶ 참고: %농도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656 ] ▶ 참고: %농도의 종류 [ https://ywpop.tistory.com/3164 ] --------------------------------------------------- > 용액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농도 환산할 때, 용액의 부피 값은 없어도 된다. > 그러나, 몰농도 ↔ %농도 환산 시, 용액의 밀도 값은 필수, 즉 없어서는 안된다. ( 없으면, 정확한 농도 환산 불가능. ) > 문제에서 용액의 밀도 값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 ① 용액의 밀도 = 물의 밀도 ≒.. 2022. 9. 6. 0.1 M NaOH 용액 500 mL를 %농도로 환산 0.1 M NaOH 용액 500 mL를 %농도로 환산 --------------------------------------------------- ▶ 참고: %농도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656 ] ▶ 참고: %농도의 종류 [ https://ywpop.tistory.com/3164 ] --------------------------------------------------- > 용액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농도 환산할 때, 용액의 부피 값은 없어도 된다. > 그러나, 몰농도 ↔ %농도 환산 시, 용액의 밀도 값은 필수, 즉 없어서는 안된다. ( 없으면, 정확한 농도 환산 불가능. ) > 문제에서 용액의 밀도 값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 ① 용액의 밀도 = 물의 밀도 ≒ .. 2022. 9. 6. 25% HCl 용액(d 1.13, FW 36.5)의 몰농도(M) 25% HCl 용액(d 1.13, FW 36.5)의 몰농도(M) ---------------------------------------------------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25 / 36.5) × 1.13 × 10 = 7.74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915 ) [키워드] 25% 염산 몰농도 환산 기준문서 2022. 9. 6. 2 M NaOH 용액 100 mL 속 순수한 NaOH의 질량(g) 2 M NaOH 용액 100 mL 속 순수한 NaOH의 질량(g) --------------------------------------------------- (2 mol/L) (100/1000 L) = 0.2 mol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므로, 0.2 mol × (40 g/mol) = 8 g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022. 9. 6. 37% 염산 시약(d 1.19, FW 36.5)으로 0.5 M HCl 용액 500 mL 만들기 37% 염산 시약(d 1.19, FW 36.5)으로 0.5 M HCl 용액 500 mL 만들기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5 × 0.5 × 36.5 / (37/100) / 1.19 = 20.7 mL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5626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37% 염산 몰농도 기준문서 2022. 9. 6.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