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61.5% H2SO4 용액으로 20% H2SO4 용액 1 L 만들기 61.5% H2SO4 용액으로 20% H2SO4 용액 1 L 만들기 --------------------------------------------------- > 61.5% H2SO4 용액의 밀도 = 1.5145 g/mL > 20% H2SO4 용액의 밀도 = 1.1397 g/mL CVD = cvd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711 ) (61.5%) (? mL) (1.5145 g/mL) = (20%) (1000 mL) (1.1397 g/mL) ? = [(20) (1000) (1.1397)] / [(61.5) (1.5145)] = 244.72 mL 1 L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 대략 400~500 mL쯤 넣고, 61.5% H2SO4 용액 244.72 mL를 조금씩 천천히 전부.. 2022. 6. 27.
0.1 M AgNO3 용액 100 mL 환원에 필요한 Cu의 몰수 0.1 M AgNO3 용액 100 mL 환원에 필요한 Cu의 몰수 --------------------------------------------------- (0.1 mol/L) (100/1000 L) = 0.01 mol AgNO3 = 0.01 mol Ag^+ Cu(s) + 2Ag^+(aq) → Cu^2+(aq) + 2Ag(s) Cu : Ag^+ = 1 : 2 = ? mol : 0.01 mol ? = 0.01 mol / 2 = 0.005 mol Cu 2022. 6. 26.
0.1 N HCl 용액 25.0 mL에 0.1 N KOH 용액을 적정 0.1 N HCl 용액 25.0 mL에 0.1 N KOH 용액을 적정 0.1 N HCl 용액 25.0 mL + 0.1 N KOH 용액 0.1 M HCl 용액 25.0 mL + 0.1 M KOH 용액 --------------------------------------------------- ▶ 참고: 강산-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2 ] ---> 0.1 M HCl 용액 25.0 mL에 0.1 M NaOH 용액을 적정 --------------------------------------------------- > 0.1 N HCl 용액 = 0.1 M HCl 용액 > 0.1 N KOH 용액 = 0.1 M KOH 용액 = 0.1 M NaOH 용액 ---> 0.1 M .. 2022. 6. 24.
5 g KIO3를 포함하는 0.05 M KIO3 용액의 부피 (mL) 5 g KIO3를 포함하는 0.05 M KIO3 용액의 부피 (mL) --------------------------------------------------- KIO3의 몰질량 = 214.00 g/mol 이므로, 5 g / (214.00 g/mol) = 0.0233645 mol KI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0.0233645 mol KIO3를 포함하는 0.05 M KIO3 용액의 부피 = 0.0233645 mol / (0.05 mol/L) = 0.46729 L = 467.29 m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답: 467.29 mL 2022. 6. 24.
75 wt% 에탄올 250 mL 제조에 필요한 95 wt% 에탄올의 부피 ★ 75 wt% 에탄올 250 mL 제조에 필요한 95 wt% 에탄올의 부피75 wt% 에탄올 250 cc 제조에 필요한 95 wt% 에탄올의 부피     75 wt% 에탄올 용액 250 cc 제조에 필요한95 wt% 에탄올 및 증류수의 부피(cc)를 계산하시오.> ρ_water = 0.99823 g/cm3> ρ_95 wt% 에탄올 = 0.80424 g/cm3> ρ_75 wt% 에탄올 = 0.85564 g/cm3       > 1 cm3 = 1 cc = 1 m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866 )       ※ 일반적으로,고체의 부피는 cm3로,액체의 부피는 mL로 나타낸다.       CVD = cvd희석전 용질의 질량 = 희석후 용질의 질량( 참고 https://y.. 2022. 6. 23.
20 ppm 용액으로 10 ppm 용액 20 mL 만들기 20 ppm 용액으로 10 ppm 용액 20 mL 만들기 --------------------------------------------------- 1 ppm = 1 mg/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20 ppm) (? mL) = (10 ppm) (20 mL) ? = (10) (20) / (20) = 10 mL 20 ppm 용액 10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20 mL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면, 10 ppm 용액 20 mL가 됩니다. 2022. 6. 22.
적정 실험에서 시료 용액의 부피와 농도 적정 실험에서 시료 용액의 부피와 농도 --------------------------------------------------- 용액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적정에 사용하는 시료 용액의 부피가 달라도 시료 용액의 농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868 ) 예를 들어, 시료 용액의 농도가 0.2 M 이라면, 시료 용액 25 mL의 농도도 0.2 M 이고, 시료 용액 50 mL의 농도도 0.2 M 입니다. 만약 시료 용액의 부피를 더 많이 사용한다면, 표준 용액의 부피도 그만큼 더 소비될뿐입니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689 ] M1V1 = M2V2 [키워드] 용액은 균일 혼합물 기준문서 2022. 6. 22.
70% HClO4 시약(d 1.664)으로 0.1 M HClO4 용액 500 mL 만들기 70% HClO4 시약(d 1.664)으로 0.1 M HClO4 용액 500 mL 만들기 70% HClO4 시약(d 1.664)으로 0.1 N HClO4 용액 500 mL 만들기 0.1 M HCl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70% HClO4 시약(d 1.664)의 부피는 몇 mL인가? --------------------------------------------------- ▶ 계산(설명)이 바로 이해되면, 참고는 pass하세요. ( 참고는 이해를 돕기 위한 보충 설명입니다. ) ▶ HClO4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또는 HClO4는 1가산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3 .. 2022. 6. 22.
35% 염산 시약(d 1.18)으로 0.1 N 염산 용액 200 mL 만들기 35% 염산 시약(d 1.18)으로 0.1 N 염산 용액 200 mL 만들기 --------------------------------------------------- 35% 염산 시약(d 1.18)의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35 / 36.46) × 1.18 × 10 = 11.3275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915 ) HCl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11.3275 M HCl 용액 = 11.3275 N HCl 용액 N1V1 = N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1.3275 N) (? mL) = (0.1 N) (.. 2022. 6. 21.
60% 알코올 0.5 L 제조에 필요한 95% 알코올의 양 60% 알코올 0.5 L 제조에 필요한 95% 알코올의 양 --------------------------------------------------- 알코올 용액은 별도 설명이 없으면, 부피 백분율 (v/v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34 )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95%) (? L) = (60%) (0.5 L) ? = (60) (0.5) / (95) = 0.316 L 2022.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