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5장] 화학 평형194

르 샤틀리에. F2 + Cl2 ⇌ 2ClF + 열 반응에서 Cl2 양 르 샤틀리에. F2 + Cl2 ⇌ 2ClF + 열 반응에서 Cl2 양 반응 F2 + Cl2 ⇌ 2ClF + 열 에서 Cl2의 양은 다음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을까? a) F2 첨가 b) ClF 첨가 c) 부피 감소 d) 온도 증가 e) 촉매 첨가 --------------------------------------------------- ▶ 참고: 르 샤틀리에 원리 [ https://ywpop.tistory.com/2685 ] --------------------------------------------------- a) F2 첨가 > 반응물 첨가. ---> 정반응 진행. ---> Cl2의 양은 감소. b) ClF 첨가 > 생성물 첨가. ---> 역반응 진행. ---> Cl2의 양은 증가. c) 부피.. 2022. 11. 2.
2NOBr(g) ⇌ 2NO(g) + Br2(g) density 4.495 g/L 4.086 g/L 2NOBr(g) ⇌ 2NO(g) + Br2(g) density 4.495 g/L 4.086 g/L A sample of gaseous nitrosyl bromide, NOBr, was placed in a container fitted with a frictionless, massless piston, where it decomposed to form nitrogen monoxide and bromine. 2NOBr(g) ⇌ 2NO(g) + Br2(g) The initial density of the system was recorded to be 4.495 g/L. After equilibrium was reached, the density was noted to be 4.086 g/L. Determin.. 2022. 10. 22.
르 샤틀리에 원리. CO(g) + 2H2(g) ⇌ CH3OH(g) 르 샤틀리에 원리. CO(g) + 2H2(g) ⇌ CH3OH(g) 메탄올은 Cu/ZnO/Al2O3 촉매 조건하에서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제조된다. CO(g) + 2H2(g) ⇌ CH3OH(g) ... ΔH° = –91 kJ 메탄올의 양이 증가되는 조건은? a) 온도 감소 b) 압력 증가 c) 헬륨 첨가 d) CO 첨가 e) 촉매 제거 --------------------------------------------------- ▶ 참고: 르 샤틀리에의 원리 [ https://ywpop.tistory.com/2685 ] --------------------------------------------------- CO(g) + 2H2(g) ⇌ CH3OH(g) ... ΔH° = –91 kJ CO(g) +.. 2022. 10. 22.
800. K 50. L 3.00 mol CO 2.00 mol Cl2 9.00 mol COCl2 Kc 800. K 50. L 3.00 mol CO 2.00 mol Cl2 9.00 mol COCl2 Kc An equilibrium mixture contains 3.00 mol CO, 2.00 mol Cl2, and 9.00 mol COCl2 in a 50. L reaction flask at 800. K. Calculate the value of the equilibrium constant, Kc, for the reaction CO(g) + Cl2(g) ⇌ COCl2(g) at this temperature. --------------------------------------------------- ▶ 참고: 평형상수 식 [ https://ywpop.tistory.com/7136 ] ----------.. 2022. 10. 14.
295 K 0.265 atm Kc NH4HS(s) ⇌ NH3(g) + H2S(g) 295 K 0.265 atm Kc NH4HS(s) ⇌ NH3(g) + H2S(g) 295 K에서 다음 평형을 생각해 보자. NH4HS(s) ⇌ NH3(g) + H2S(g) 각 기체들의 부분 압력은 모두 0.265 atm이다. 이 반응의 Kp와 Kc를 계산하시오. Consider the following equilibrium at 295 K: NH4HS(s) ⇌ NH3(g) + H2S(g) The partial pressure of each gas is 0.265 atm. Calculate Kp and Kc for the reaction. --------------------------------------------------- ICE 도표를 작성하면, Kp = P_NH3 × P_H2S = (0.265 .. 2022. 10. 11.
르 샤틀리에 2CO(g) + O2(g) ⇌ 2CO2(g) 르 샤틀리에 2CO(g) + O2(g) ⇌ 2CO2(g) 흡열 반응인 평형에서 2CO(g) + O2(g) ⇌ 2CO2(g) 생성물 쪽으로 이동시키는 변화는? a) CO(g) 제거 b) 온도 증가 c) 촉매 첨가 d) 용기 부피 증가 --------------------------------------------------- ▶ 참고: 르 샤틀리에의 원리 [ https://ywpop.tistory.com/2685 ] --------------------------------------------------- a) CO(g) 제거 > CO(g) 제거 = 반응물 감소 > 반응물이 증가하려면, ---> 역반응 진행 b) 온도 증가 흡열 반응이므로, Q = 반응물. 2CO(g) + O2(g) + Q ⇌ 2CO2(.. 2022. 9. 30.
균일 평형. H2O(l) ⇌ H^+(aq) + OH^-(aq) 균일 평형. H2O(l) ⇌ H^+(aq) + OH^-(aq) --------------------------------------------------- ▶ 참고: 물질의 물리적 상태 표시 [ https://ywpop.tistory.com/8165 ] --------------------------------------------------- 고체상 – 액체상 – 기체상, 중 다른 것이 섞여 있으면, 불균일 평형입니다. H2O(l), 액체상이고, H^+(aq), OH^-(aq), 액체상이므로, H2O(l) ⇌ H^+(aq) + OH^-(aq) 평형은 균일 평형입니다. 위 평형 반응은 순수한 물 속에서 일어나는 반응임에 주목하세요. [그림] Auto-ionization of water. H2O(l) + .. 2022. 9. 27.
반응 속도식에서 탄생한 평형상수 반응 속도식에서 탄생한 평형상수 --------------------------------------------------- ▶ 참고: 제15장 화학 평형.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313 ] --------------------------------------------------- ▶ N2O4의 분해 반응 [ 그림 출처 Wikimedia ] An overlay of the same 99.9% pure NO2/N2O4 sealed in an ampoule. From left to right –196℃, 0℃, 23℃, 35℃, 50℃. Q. 평형에 도달했음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A. 반응 용기 속 기체의 색깔이 더 이상 변하지 않는다. 평형에서, 정반응 속도(rat.. 2022. 9. 19.
이론적 평형상수. CO2(g) + 3H2(g) ⇌ CH3OH(g) + H2O(g) 이론적 평형상수. CO2(g) + 3H2(g) ⇌ CH3OH(g) + H2O(g) 1) CO(g) + H2O(g) ⇌ CO2(g) + H2(g) ... K2 2) CO(g) + 2H2(g) ⇌ CH3OH(g) ... K3 --------------------------------------------------- ▶ 참고: 이론적 평형상수 [ https://ywpop.tistory.com/4154 ] --------------------------------------------------- ▶ 참고: 헤스의 법칙 [ https://ywpop.tistory.com/3376 ] ※ 헤스의 법칙을 이용한 이런 유형의 문제는 간단한 원리만 이해하면, 끼워 맞추기 ‘놀이’에 불과하다. CO2(g) + 3H2(g.. 2022. 9. 17.
피스톤이 달린 실린더. 일정한 외부압력 비활성기체 주입 피스톤이 달린 실린더. 일정한 외부압력 비활성기체 주입 피스톤이 달린 실린더에서 N2(g) + 3H2(g) ⇌ 2NH3(g) 반응이 평형에 도달한 후 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Ar을 주입했을 때, 평형의 이동 방향은? 단, 온도는 일정하다. --------------------------------------------------- ▶ 참고: 르 샤틀리에(Le Chatelier)의 원리. 부피/압력 변화 [ https://ywpop.tistory.com/2690 ] --------------------------------------------------- 일단 반응 용기는 ‘강철 용기’가 아니다. 따라서 조건에 따라 실린더의 부피는 변할 수 있다. Ar 주입 전, 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했다... 2022.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