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0장] 기체495

표준상태에서 280 mL의 질량이 0.80 g인 기체의 분자량 표준상태에서 280 mL의 질량이 0.80 g인 기체의 분자량 --------------------------------------------------- 0.280 L × (1 mol / 22.4 L) = 0.0125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M = W / n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 0.80 g / 0.0125 mol = 64 g/mol 또는 기체의 밀도 = 0.80 g / 0.280 L = 2.857 g/L M = dRT / P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3 ) = (2.857) (0.08206) (273.15) / (1) = 64.04 g/mol 답: 64 g/mol 2021. 7. 15.
트리에틸알루미늄 228 g이 물과 반응시 발생하는 가연성가스의 부피 트리에틸알루미늄 228 g이 물과 반응시 발생하는 가연성가스의 부피     트리에틸알루미늄 228 g이 물과 반응시 발생하는 가연성가스의 부피는몇 L인가? (단, 표준상태이다.)       (C2H5)3Al의 몰질량 = 114.16 g/mol 이므로,228 g / (114.16 g/mol) = 1.9972 mol (C2H5)3A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균형 맞춘 반응식(C2H5)3Al + 3H2O → Al(OH)3 + 3C2H6   (C2H5)3Al : C2H6 = 1 : 3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1.9972 mol (C2H5)3Al 반응시 생성되는 C2H6의 몰수를 계산하면,(C2H5)3Al : C2H6 = 1 : 3 = 1.9972 m.. 2021. 7. 5.
과산화나트륨 1 kg 완전분해시 발생하는 산소의 부피 과산화나트륨 1 kg 완전분해시 발생하는 산소의 부피     과산화나트륨 1 kg 완전분해시 발생하는 산소의 부피는표준상태에서 몇 L인가?     과산화나트륨의 완전분해반응식과 과산화나트륨 1 kg이 표준상태에서 분해될 때 생성되는 산소의 부피(L)를 구하시오.       Na2O2의 몰질량 = 77.98 g/mol 이므로,1000 g / (77.98 g/mol) = 12.82 mol Na2O2(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균형 맞춘 반응식2Na2O2 → 2N2O + O2   Na2O2 : O2 = 2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12.82 mol Na2O2 분해시 생성되는 O2의 몰수를 계산하면,Na2O2 : O2 = 2 : 1 = 12.82.. 2021. 7. 5.
300 K 40 mL O3(g) 100 g water 1.0 atm 400 g 4.0 atm 300 K 40 mL O3(g) 100 g water 1.0 atm 400 g 4.0 atm At 300 K, 40 mL of O3(g) dissolves in 100 g of water at 1.0 atm. What mass of ozone dissolved in 400 g of water at a pressure of 4.0 atm at 300 K? --------------------------------------------------- 헨리의 법칙 S_g = kP_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11 ) S1 / P1 = S2 / P2 (40 mL / 100 g) / (1.0 atm) = (? mL / 400 g) / (4.0 atm) (40 / 100) = (? .. 2021. 6. 28.
27℃ 5 atm gas 40 mL water 200 g 1 atm 400 g 27℃ 5 atm gas 40 mL water 200 g 1 atm 400 g 27℃, 5기압에서 어떤 기체 40 mL가 물 200 g에 녹았다. 같은 온도에서 압력을 1기압으로 하면 물 400 g에는 몇 mL가 녹는가? --------------------------------------------------- 헨리의 법칙 S_g = kP_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11 ) S1 / P1 = S2 / P2 (40 mL / 200 g) / (5 atm) = (? mL / 400 g) / (1 atm) (40 / 200) / (5) = ? / 400 ? = (40 / 200) / (5) × 400 = 16 mL 답: 16 mL 2021. 6. 28.
25℃, 0.855 atm에서 21.8 L를 차지하는 Ne의 질량 25℃, 0.855 atm에서 21.8 L를 차지하는 Ne의 질량 ---------------------------------------------------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Ne의 몰수를 계산하면, n = PV / RT = [(0.855) (21.8)] / [(0.08206) (273.15+25)] = 0.7618 mol Ne의 몰질량 = 20.18 g/mol 이므로, 0.7618 mol × (20.18 g/mol) = 15.37 g Ne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답: 15.4 g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5360 ] 25℃, 1.255 atm에서 .. 2021. 6. 25.
25℃, 가로, 세로, 높이 2 m 용기 6 bar 146.0554 g/mol 25℃, 가로, 세로, 높이 2 m 용기 6 bar 146.0554 g/mol 25℃, 가로, 세로, 높이 2 m인 용기에 6 bar의 압력으로 1 mol이 146.0554 g인 기체를 채웠다. 이때 용기의 뚜껑을 살짝 열었더니 압력이 5 bar가 되었다면 빠져나간 기체의 질량은? --------------------------------------------------- 1 atm = 1.01325 bar 이므로, > 6 bar × (1 atm / 1.01325 bar) = 5.92154 atm > 5 bar × (1 atm / 1.01325 bar) = 4.93462 atm (2 m)^3 = 8 m3 = 8000 L ( 1 m3 = 1000 L ) PV = nRT ( 참고 https://ywpop.t.. 2021. 6. 21.
42 L methane 35℃ 360 psig methane kg ideal gas 42 L methane 35℃ 360 psig methane kg ideal gas --------------------------------------------------- psia = psig + 14.696 psia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669 ) = 360 + 14.696 = 374.696 psia 374.696 psia × (1 atm / 14.696 psia) = 25.496 atm PV = 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n = PV / RT = [(25.496) (42)] / [(0.08206) (273.15+35)] = 42.347 mol 42.347 mol × (16 g/mol) = 678 g = 0.678.. 2021. 6. 19.
표준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수소 분자의 rms 속력 표준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수소 분자의 rms 속력 --------------------------------------------------- ▶ STP 조건: 0℃, 1 atm u_rms = sqrt[3RT /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5 ) = [3 × 8.314 × (273.15+0) / 0.002]^(1/2) = 1846 m/s [키워드] rms 기준문서, rms 속도 기준문서 2021. 6. 16.
2.0 L CH4와 3.0 L O2로부터 만들어지는 CO2의 부피 2.0 L CH4와 3.0 L O2로부터 만들어지는 CO2의 부피 기체들의 온도와 압력이 같을 경우, 2.0 L CH4와 3.0 L O2로부터 만들어지는 CO2의 부피는? --------------------------------------------------- CH4(g) + 2O2(g) → CO2(g) + 2H2O(g) CH4 : O2 = 1 : 2 계수비(= 부피비) 이므로, 2.0 L CH4와 반응하는 O2의 부피를 계산하면, CH4 : O2 = 1 : 2 = 2.0 L : ? L ? = 2 × 2.0 = 4.0 L O2 ---> O2는 이만큼 없다, 부족하다? ---> O2가 한계 반응물. ( 참고: 한계 반응물 https://ywpop.tistory.com/3318 ) O2 : CO2 = 2.. 2021.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