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0장] 기체495

200℃ 1.2 atm에서 560 ppm SO2의 mg/m3 농도 200℃ 1.2 atm에서 560 ppm SO2의 mg/m3 농도 --------------------------------------------------- 560 ppm = (560 mol SO2 / 10^6 mol 공기) × 10^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494 ) SO2의 몰질량 = 64.06 g/mol 이므로, 560 mol SO2의 질량을 계산하면, 560 mol × (64.06 g/mol) × (1000 mg / 1 g) = 560 × 64.06 × 1000 = 35873600 mg SO2 이상기체방정식,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200℃ 1.2 atm에서 10^6 mol 공기의 부피를 계.. 2021. 9. 15.
0.05 g sample dry ice 4.6 L vessel 30℃ pressure CO2 gas 0.05 g sample dry ice 4.6 L vessel 30℃ pressure CO2 gas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이산화탄소이다. 0.05 g의 드라이아이스 시료를 30℃에서 진공인 4.6 L 용기에 두었다. 모든 드라이아이스가 CO2 기체로 전환된 후 용기 내부의 압력을 계산해라. Dry ice is solid carbon dioxide. A 0.05 g sample of dry ice is placed in an evacuated 4.6 L vessel at 30℃. Calculate the pressure inside the vessel after all the dry ice has been converted to CO2 gas. -----------------------------------.. 2021. 9. 10.
PT는 일정. 25℃ 0.80 atm 2.0 atm T2 계산 PT는 일정. 25℃ 0.80 atm 2.0 atm T2 계산 25℃ 및 0.80 atm 압력에서 특정 양의 기체가 용기에 담겨 있다. 용기가 2.0 atm 이하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고 가정해라. 용기를 파열시키지 않으면서 기체의 온도를 얼마나 높이 올릴 수 있는가? A certain amount of gas at 25℃ and at a pressure of 0.80 atm is kept in a glass vessel. Suppose that the vessel can withstand a pressure of 2.0 atm. How high can you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gas without bursting the vessel? -------------------.. 2021. 9. 10.
PT는 일정. 25℃ 0.800 atm 5.00 atm T2 계산 PT는 일정. 25℃ 0.800 atm 5.00 atm T2 계산 25℃ 및 0.800 atm 압력에서 특정 양의 기체가 용기에 담겨 있다. 용기가 5.00 atm 이하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고 가정해라. 용기를 파열시키지 않으면서 기체의 온도를 얼마나 높이 올릴 수 있는가? --------------------------------------------------- P1 / T1 = P2 / T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91 ) 0.800 / (273+25) = 5.00 / T2 T2 = 5.00 / [0.800 / (273+25)] = 1862.5 K 1862.5 – 273 = 1589.5℃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9309 ].. 2021. 9. 10.
물 36 g을 모두 증발시키면 수증기가 차지하는 부피 물 36 g을 모두 증발시키면 수증기가 차지하는 부피 물 36 g을 모두 증발시키면 수증기가 차지하는 부피는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몇 L인가? --------------------------------------------------- 물, H2O의 몰질량 = 2(1) + (16) = 18 g/mol 이므로, 36 g / (18 g/mol) = 2 mol H2O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표준상태 기준, 기체 1 mol = 22.4 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2 mol × (22.4 L / 1 mol) = 44.8 L H2O 답: 44.8 L 2021. 8. 24.
0℃, 1기압 메테인(CH4) 8.0 g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부피 0℃, 1기압 메테인(CH4) 8.0 g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부피     0℃, 1기압에서 메테인(CH4) 8.0 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필요한 공기의 부피는?단, 메테인의 분자량은 16, 공기 중 산소의 부피비는 20%     메테인(CH4) 8.0 g의 몰수= 8.0 g / (16 g/mol) = 0.50 mol       메테인의 완전 연소 반응식CH4(g) + 2O2(g) → CO2(g) + 2H2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41 )   CH4 : O2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0.50 mol CH4 연소에 필요한 O2의 몰수= 2 × 0.50 = 1.0 mol O2       0℃, 1기압에서 기체 1 mol = 22.4 .. 2021. 8. 8.
온도 압력 같은 상태 CH4 기체 2.24 L, CO2 기체 2.24 L 온도 압력 같은 상태 CH4 기체 2.24 L, CO2 기체 2.24 L 온도와 압력이 모두 같은 상태에서 CH4 기체가 2.24 L, CO2 기체가 2.24 L 있다면, 각 기체의 밀도는? ---------------------------------------------------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n = PV / RT 이므로, 온도, 압력, 부피가 모두 같으면, 각 기체의 몰수도 같다. 각 기체의 몰수 = 1 mol 이라 가정하면, CH4의 몰질량 = 16 g/mol 이므로, CH4의 밀도 = 16 g / 2.24 L = 7.14 g/L 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 CO2의 밀도 = 44 g / 2.24 L =.. 2021. 8. 7.
27℃, 760 mmHg에서 공기의 밀도 27℃, 760 mmHg에서 공기의 밀도 조성이 N2 80% 및 O2 20%인 공기가 있다. 27℃, 760 mmHg에서 이 공기의 밀도는? 단, 기체상수 R = 0.1 atm×L / mol×K 이다. --------------------------------------------------- 공기의 평균 분자량 = (28×0.8) + (32×0.2) = 28.8 g/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07 ) 기체의 밀도, d = PM / 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3 ) = [(1) (28.8)] / [(0.1) (273+27)] = 0.96 g/L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5910 ] 공기는 .. 2021. 8. 6.
질소와 어떤 기체의 같은 온도, 같은 압력, 같은 부피의 질량 질소와 어떤 기체의 같은 온도, 같은 압력, 같은 부피의 질량 질소와 어떤 기체의 같은 온도, 같은 압력, 같은 부피의 질량은 질소가 4.0 g, 그 어떤 기체가 6.0 g이었다. 그 어떤 기체의 분자량은? 단, 질소의 원자량은 14. ---------------------------------------------------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P, V, T 가 같기 때문에, 질소(N2)와 어떤 기체의 몰수(n)는 같으므로, N2의 몰수 = 4.0 g / (28 g/mol) = 0.142857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그 어떤 기체의 분자량 = 6.0 g / 0.142857 mol.. 2021. 7. 17.
표준상태에서 밀도가 1.25 g/L인 기체 표준상태에서 밀도가 1.25 g/L인 기체 --------------------------------------------------- M = dRT / P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3 ) = (1.25) (0.08206) (273.15+0) / (1) = 28.02 g/mol 답: 28.02 g/mol ---> 질소, N2 2021. 7.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