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4장] 수용액 반응652

산화제와 환원제. redox CH4 + H2O → CO + 3H2 산화제와 환원제. redox CH4 + H2O → CO + 3H2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CH4 에서,H의 산화수 = +1 (넘버 2) 이므로,(C) + 4(H) = 0(C) + 4(+1) = 0---> C의 산화수 = –4.       [참고] 전기음성도 차이로 계산   > C의 전기음성도 = 2.55> H의 전기음성도 = 2.20   전기음성도가 더 큰 C가 공유전자쌍을 독차지하므로,> C의 산화수 = –4> H의 산화수 = +1( .. 2018. 4. 3.
물 1 L에 NaOH를 0.4 g 녹인 용액의 pH ★ 물 1 L에 NaOH를 0.4 g 녹인 용액의 pH     물 1 L에 NaOH 0.4 g을 용해시킨용액의 pH는 얼마인가?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므로,NaOH 0.4 g의 몰수를 계산하면,0.4 g / (40 g/mol) = 0.01 mol NaOH(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01 mol / 1 L= 0.01 mol/L= 0.01 M       NaOH(aq) → Na^+(aq) + OH^-(aq)   NaOH : OH^-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NaOH] = [OH^-] = 0.0.. 2018. 3. 31.
IO3^-의 산화수. I3^-의 산화수 IO3^-의 산화수. I3^-의 산화수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IO3^- 에서,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I) + 3(O) = –1(I) + 3(–2) = –1     따라서I의 산화수 = +5.         [참고] I3^-의 산화수3(I) = –1---> I의 (평균)산화수 = –1/3       [참고] I3^- ⇌ I2 + I^-(–1) = (0) + (–1)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3755 ]IO3^- 루이스 구조 그리기. Lewis structure of IO3^- ion   [ 관련 글 https://ywpo.. 2018. 3. 14.
S4O6^2-의 산화수. tetrathionate anion의 산화수 S4O6^2-의 산화수. tetrathionate anion의 산화수 What is the oxidation number of sulfur in S4O6^2-?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 https://ywpop.tistory.com/2719 ] --------------------------------------------------- S4O6^2- 에서, 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 4(S) + 6(O) = –2 4(S) + 6(–2) = –2 4(S) = +10 S = +(10/4) = +(5/2) = +2.5 따라서 S의 산화수 = +2.5 이나, 이것은 4개 S의 산화수의 평균값. .. 2018. 2. 19.
PbSO4의 산화수 PbSO4의 산화수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 https://ywpop.tistory.com/2719 ] PbSO4 에서, 원자단 SO4의 이온 전하 = –2 이므로, ( 참고: 원자단 https://ywpop.tistory.com/2968 ) (Pb) + (SO4) = 0 (Pb) + (–2) = 0 따라서 Pb의 산화수 = +2. [참고] PbSO4의 이온화 반응식 PbSO4(aq) → Pb^2+(aq) + SO4^2-(aq) ---> Pb의 산화수 = +2.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587 ] SO4^2-의 산화수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 2018. 2. 18.
SO4^2-의 산화수. 황산이온의 산화수. 황의 산화수 SO4^2-의 산화수. 황산이온의 산화수. 황의 산화수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5. 다원자 이온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의 합 = 이온 전하[ https://ywpop.tistory.com/2719 ]---------------------------------------------------   SO4^2- 에서,( 다원자 이온 SO4의 이온 전하 = –2 = 산화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68 )   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S) + 4(O) = –2(S) + 4(–2) = –2     따라서S의 산화수 = +6.           .. 2018. 2. 18.
H2O2의 산화수 H2O2의 산화수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H2O2 에서,H의 산화수 = +1 (넘버 2) 이므로,2(H) + 2(O) = 02(+1) + 2(O) = 0     따라서O의 산화수 = –1.     [참고] H2O2에서 O의 산화수 = –1 이므로,H2O2는 과산화물.( 참고: 과산화물과 초과산화물 https://ywpop.tistory.com/6233 )         [참고] H2O의 산화수H2O 에서,H의 산화수 = +1 (넘버.. 2018. 1. 24.
redox. 2HI + H2O2 → I2 + 2H2O redox. 2HI + H2O2 → I2 + 2H2Oredox. H2O2 + 2HI → I2 + 2H2O   ------------------------   ▶ 산화: HI → I2> I의 산화수는 –1에서 0으로 증가, HI는 산화됨.> HI는 환원제.( 참고: HI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9662 )       ▶ 환원: H2O2 → H2O> O의 산화수는 –1에서 –2로 감소, H2O2는 환원됨.> H2O2는 산화제.( 참고: H2O2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8482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1243 ]redox balance. HI + H2O2 → I2 + H2O   [.. 2018. 1. 24.
Na2SO4의 산화수, K2SO4의 산화수 Na2SO4의 산화수, K2SO4의 산화수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 https://ywpop.tistory.com/2719 ] --------------------------------------------------- [참고] 금속이 알칼리 금속(또는 토금속)이면, 즉 1족 또는 2족 금속을 포함하는 이온결합 화합물의 경우, 이온결합 화합물의 이온화 반응식 대신, 그냥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하면 된다. Na2SO4 에서, Na의 산화수 = +1 (넘버 1) 이고, 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 2(Na) + (S) + 4(O) = 0 2(+1) + (S) + 4(–2) = 0 따라서 S의 산.. 2018. 1. 12.
CuCl2의 산화수. CuCl의 산화수 CuCl2의 산화수. CuCl의 산화수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CuCl2 에서,Cl의 산화수 = –1 (넘버 1인 F의 사촌) 이므로,(Cu) + 2(Cl) = 0(Cu) + 2(–1) = 0     따라서Cu의 산화수 = +2.       ▶ CuCl2의 이온화 반응식CuCl2(aq) → Cu^2+(aq) + 2Cl^-(aq)---> Cu의 산화수 = +2.     -------------------------------------.. 2018.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