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12772

53.4 wt% NaOH 16.7 mL diluted to 2.00 L gives 0.169 M NaOH 53.4 wt% NaOH 16.7 mL diluted to 2.00 L gives 0.169 M NaOH     0.169 M NaOH 16.7 mL를 2.00 L로 묽혔다면,53.4 wt% NaOH (FM 40.00) 수용액의 밀도는 얼마인가?---> 당췌 뭔 소리인가 했더니...     What is the density of 53.4 wt% aqueous NaOH (FM 40.00)if 16.7 mL of the solution diluted to 2.00 L gives 0.169 M NaOH?     53.4 wt% NaOH 수용액 16.7 mL를 2.00 L로 묽히면0.169 M NaOH가 된다고 하면,53.4 wt% NaOH 수용액의 밀도는 얼마인가?       0.169 M NaOH 용.. 2024. 11. 14.
묽은 염산의 농도. 진한 염산과 묽은 염산 묽은 염산의 농도. 진한 염산과 묽은 염산       [참고] 용액의 농도 표시법[ https://ywpop.tistory.com/2655 ]       질량 백분율(% wt) 농도로는10% 이하이면,묽은 염산이라 간주한다.   30% 이상이면,진한 염산으로 간주.       몰농도(M)로는2 M 이하이면,묽은 염산이라 간주한다.   10 M 이상이면,진한 염산으로 간주.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4007 ]35% 염산의 몰농도는 12 M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829 ]35% 염산 시약으로 1 M 염산 용액 1 L 만들기       [키워드] 묽은 염산의 농도 기준, 묽은 염산 기준 2024. 11. 14.
과탄산소다. 과탄산 소듐. sodium percarbonate 과탄산소다. 과탄산 소듐. sodium percarbonate       ▶ 과탄산 소듐의 화학식> 2Na2CO3•3H2O2 또는 Na2CO3•1.5H2O2(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Sodium_percarbonate )       과탄산 소듐을 물에 가하면,탄산 소듐(Na2CO3)과 과산화수소(H2O2)가 생성된다.   과탄산 소듐의 용해(분해) 반응식2Na2CO3•3H2O2(s) + H2O(l) → 2Na2CO3(aq) + 3H2O2(aq)       만약 용액의 온도가 높으면,가령, 끓는 물에 과탄산 소듐을 가하면,H2O2에서 분해된 O2 기체가 발생한다.   H2O2의 분해 반응식2H2O2(aq) → 2H2O(l) + O2(g)↑         [키.. 2024. 11. 13.
화학식 읽기. 화학식 발음 화학식 읽기. 화학식 발음       [참고] k[A]^m [B]^n 읽기를 포함해서 수식 또는 화학식 읽기[ https://ywpop.blogspot.com/2023/10/kam-bn.html ]---> 이 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화학식을 특별히 어떻게 읽어야 한다는법칙(기준)이 따로 없습니다.그냥 일반적인 문자(글자)를 읽듯이 읽으면 됩니다.       > 철-56: 철 오십육> Fe-56: 에프이 오십육     > 탄소-13: 탄소 십삼> C-13: 씨 십삼, 카본 십삼     > 산소-16: 산소 십육> O-18: 오 십팔       > SO4^2-와 같은 다원자이온인 경우,필자는 화학식과 이온전하를 구분하기 위해,화학식은 영어로, 이온전하의 숫자는 한글로 읽는다.즉, 에.. 2024. 11. 9.
0.20 mol/L Ba(OH)2 용액 20 mL 속 OH^-의 몰수 0.20 mol/L Ba(OH)2 용액 20 mL 속 OH^-의 몰수       0.20 mol/L Ba(OH)2 용액 20 mL 속Ba(OH)2의 몰수= (0.20 mol/L) (20/1000 L) = 0.004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Ba(OH)2(aq) → Ba^2+(aq) + 2OH^-(aq)   Ba(OH)2 : OH^-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OH^-의 몰수= 2 × 0.004 = 0.008 mol       답: 8.0×10^(-3) mol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0837 ]다가 염기. 1가 염기 2가 염기       [키워드] 다가 염기 기준,.. 2024. 11. 7.
함량이 10%인 두 용액을 같은 비율로 섞으면 몇 퍼센트인가? 함량이 10%인 두 용액을 같은 비율로 섞으면 몇 퍼센트인가?       답: 10%       [1] 상자 A에 들어있는 공의 종류와 개수[빨간 공 10개 + 파란 공 40개 + 검은 공 50개]---> 상자 A 속 빨간 공의 개분율(%)= (10개 / 100개) × 100 = 10%   단, 각각의 공은 모든 것이 동일하다, 오로지 색깔만 다르다.       [2] 상자 B에 들어있는 공의 종류와 개수[빨간 공 10개 + 파란 공 50개 + 검은 공 40개]---> 상자 B 속 빨간 공의 개분율(%)= (10개 / 100개) × 100 = 10%       각 상자에서 같은 비율로,예를 들어, 50% 비율로 공을 꺼내서상자 C에 넣었다.   상자 A에서 꺼낸 공= 빨간 공 5개 + 파란 공.. 2024. 11. 6.
HCl 용액 30 mL 적정에 0.1 M NaOH 용액 30.3 mL 소비 HCl 용액 30 mL 적정에 0.1 M NaOH 용액 30.3 mL 소비     농도를 모르는 HCl 용액 30 mL 적정에0.1 M NaOH 용액 30.3 mL 소비되었다.HCl 용액의 몰농도(M)와 질량 백분율(%)을 구하시오.       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M1 = M2V2 / V1= 0.1 × 30.3 / 30= 0.101 M---> HCl 용액의 몰농도       MV =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0.101 mol/L) (30/1000 L)= 0.00303 mol---> HCl의 몰수       HC의 몰질량 = 36.46 g/mol 이므로,(0.00303 mo.. 2024. 11. 6.
0.054 M MgCl2의 용액의 노르말농도 0.054 M MgCl2의 용액의 노르말농도       [참고] 당량수. 몰농도와 노르말농도의 관계식[ https://ywpop.tistory.com/4105 ]       MgCl2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93 )   (0.054 mol/L) × (2 eq/mol)= 0.108 eq/mol       답: 0.108 N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0049 ]오스몰농도(osmolarity)와 오스몰랄농도(osmolality)       [키워드] MgCl2의 당량수 기준 2024. 11. 2.
황화나트륨(NaS*9H2O) 0.375 g을 포함하는 1000 mL 용액 황화나트륨(NaS*9H2O) 0.375 g을 포함하는 1000 mL 용액     황화수소 표준원액: 황화나트륨(NaS*9H2O) 0.375 g을 정확히 취하여무산소 증류수에 녹여 정확히 1,000 mL로 한다.이때, 황화수소 표준원액의 농도는 50 mg S/L가 된다.       NaS*9H2O의 몰질량 = 217.1923 g/mol 이고,S의 몰질량 = 32.0650 g/mol 이므로,   NaS*9H2O 0.375 g 속에 들어있는S(황)의 질량을 계산하면,   (0.375 g NaS*9H2O) (32.0650 g S / 217.1923 g NaS*9H2O)= (0.375) (32.0650 / 217.1923)= 0.0553628 g= 55.3628 mg S       또는S 원자의 조성 백분율.. 2024. 11. 1.
식초 정량분석. 0.2 M NaOH 16.8 mL 식초 정량분석. 0.2 M NaOH 16.8 mL빙초산의 순도 계산       [참고] 식초 정량분석[ https://ywpop.tistory.com/7176 ]       [실험]① 빙초산 1 mL를 100 mL로 희석.---> 식초 용액② 식초 용액 20 mL 적정에0.2 M NaOH 용액 16.8 mL 소비.       [결과처리]적정에 소비된 NaOH의 몰수= (0.2 mol/L) (16.8/1000 L) = 0.00336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 아세트산의 몰수       아세트산, CH3COOH의 몰질량 = 60.05 g/mol 이므로,0.00336 mol 아세트산의 질량= 0.00336 mol × (60.05 g/mol) = .. 2024.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