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12775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8.53×10^5 - 7.5×10^5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8.53×10^5 - 7.5×10^5sig fig. 8.53*10^5 - 7.5*10^5 ------------------------ [참고] 지수가 포함된 유효숫자 계산[ https://ywpop.tistory.com/4935 ] 8.53×10^5 – 7.5×10^5= (8.53 – 7.5)×10^5 = 1.03×10^5---> 0.1의 자릿수에 맞추면,= 1.0×10^5 답: 1.0×10^5 [키워드]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기준 2025. 3. 19. 유효숫자 혼합 계산. (7.8 - 0.34) / (1.15 + 0.82) 유효숫자 혼합 계산. (7.8 - 0.34) / (1.15 + 0.82)유효숫자 혼합 계산. (7.8 m - 0.34 m) / (1.15 s + 0.82 s)sig fig. (7.8 m - 0.34 m) / (1.15 s + 0.82 s) ------------------------ [참고] 과학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https://ywpop.tistory.com/3211 ] (7.8 – 0.34) = 7.46---> 이 계산 결과는 0.1의 자릿수이므로,다음 계산에서 유효숫자 2개임을 기억한다. (1.15 + 0.82) = 1.97---> 이 계산 결과는 0.01의 자릿수이므로,다음 계산에서 유효숫자 3개임을 기억한다. (7.8 – 0.34) / (1.. 2025. 3. 18.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3.6×10^(-4))×(3.6×10^6)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3.6×10^(-4))×(3.6×10^6)sig fig. (3.6*10^(-4))*(3.6*10^6) ------------------------ [참고] 지수가 포함된 유효숫자 계산[ https://ywpop.tistory.com/4935 ] (3.6×10^(-4))×(3.6×10^6) = 1296---> 유효숫자 2개에 맞추면,= 1300= 1.3×10^3 답: 1.3×10^3 [키워드] 지수형 유효숫자 곱셈 기준, 지수형 유효숫자 기준 2025. 3. 17. 유효숫자 혼합 계산. 2.32×(184.21+210.1)-1.2812×32+0.802 유효숫자 혼합 계산. 2.32×(184.21+210.1)-1.2812×32+0.802sig fig. 2.32×(184.21+210.1)-1.2812×32+0.802 ------------------------ [참고] 과학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https://ywpop.tistory.com/3211 ] [계산1] (184.21+210.1) = 394.31---> 이 계산 결과는 0.1의 자릿수이므로,다음 계산에서 유효숫자 4개임을 기억한다. 2.32×(184.21+210.1) = 914.7992---> 이 계산 결과는 유효숫자 3개이므로,다음 계산에서 1의 자릿수임을 기억한다. [계산2] 1.2812×32 = 40.9984---> 이 계산 결과는.. 2025. 3. 16. 지수형 유효숫자 덧셈 계산. (2.01×10^2) + (3.014×10^3) 지수형 유효숫자 덧셈 계산. (2.01×10^2) + (3.014×10^3)sig fig. (2.01×10^2) + (3.014×10^3) ------------------------ [참고] 지수가 포함된 유효숫자 계산[ https://ywpop.tistory.com/4935 ] (2.01×10^2) + (3.014×10^3)= (0.201×10^3) + (3.014×10^3)= (0.201 + 3.014)×10^3---> 0.201, 3.014, 둘 다 0.001의 자릿수이므로,= 3.215×10^3= 3215 답: 3.215×10^3 [키워드] 지수형 유효숫자 계산 기준 2025. 3. 12. 희석배율. 52 mg/L 용액을 45 mg/L로 희석 희석배율. 52 mg/L 용액을 45 mg/L로 희석 농도가 52 mg/L인 용액을45 mg/L로 만들려고 하면희석배율은? ------------------------ 희석 전,52 mg/L 용액의 부피를 1 L라 가정하자. 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V2 = M1V1 / M2= (52 mg/L) (1 L) / (45 mg/L)= 1.156 L---> 희석 후, 45 mg/L 용액의 부피 희석배수 = 희석후 양 / 희석전 양= 희석후 부피 / 희석전 부피(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73 ) = 1.156 / 1= 1.156 답: 1.156배 .. 2025. 3. 11. 유효숫자 혼합 계산. 723.5 - (743.5 / 8.1) 유효숫자 혼합 계산. 723.5 - (743.5 / 8.1)sig fig. 723.5 - (743.5 / 8.1) ------------------------ [참고] 과학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https://ywpop.tistory.com/3211 ] 743.5 / 8.1 = 91.79012345679...---> 이 계산 결과는 유효숫자 2개이므로,다음 계산에서 1의 자릿수임을 기억한다. 723.5 – (743.5 / 8.1) = 631.7098765432...---> 1의 자릿수에 맞추면,= 632 답: 632 [키워드] 유효숫자 혼합 계산 기준 2025. 3. 11. 지수형 숫자의 유효숫자 개수. 5.4×10^3 지수형 숫자의 유효숫자 개수. 5.4×10^3 ------------------------ [참고] 유효 숫자 (significant figure)[ https://ywpop.tistory.com/3212 ] (1) 0이 아닌 모든 숫자는 유효숫자이다.단, 유효숫자와 유효숫자 사이에 있는 0은 유효숫자이다. (2) 소수점을 가진 수에서,유효숫자 뒤에(다음에) 나오는 0은 유효숫자이다. ▶ 지수형 숫자의 유효숫자 개수는×10^n 앞에 있는 숫자의 유효숫자 개수와 같다. 예1) 5.4×10^35.4 의 유효숫자 개수 = 2개 이므로,5.4×10^3 의 유효숫자 개수 = 2개. 예2) 5.40×10^35.40 의 유효숫자 개수 = 3개 이므로,5... 2025. 3. 11. 0.5 g FeCl3를 포함하는 1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0.5 g FeCl3를 포함하는 1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 FeCl3 → Fe^3+ + 3Cl^----> Fe의 이온전하 = +3 이므로,FeCl3의 당량수 = 3 eq/mol.(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또는FeCl3 에서, Fe의 산화수 = +3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9845 ) FeCl3의 당량수 = 3 eq/mol. FeCl3의 몰질량 = 162.20 g/mol 이고,FeCl3의 당량수 = 3 eq/mol 이므로,0.5 g FeCl3의 eq수를 계산하면,0.5 g × (1 mol / 162.20 g) × (3 eq/mol)= 0.5 .. 2025. 3. 11. 유효숫자 덧셈 계산. 43.029 + 0.02348 유효숫자 덧셈 계산. 43.029 + 0.02348sig. fig. 43.029 + 0.02348 ------------------------ [참고] 유효숫자 계산[ https://ywpop.tistory.com/3211 ] 43.029 + 0.02348 = 43.05248---> 0.001의 자릿수에 맞추면,= 43.052 답: 43.052 [키워드] 유효숫자 덧셈 기준 2025. 3. 8. 이전 1 2 3 4 ··· 127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