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12780 10% 소금물 100 g 소금물 퍼내고 같은 양 물 넣은 4.9% 소금물 10% 소금물 100 g 소금물 퍼내고 같은 양 물 넣은 4.9% 소금물 농도 10%의 소금물 100 g에서 일정량의 소금물을 퍼내고같은 양의 물을 넣은 다음, 다시 동일한 양의 소금물을 퍼내고같은 양의 물을 넣었더니 농도 4.9%의 소금물이 되었다.처음에 퍼낸 소금물의 양은 얼마인가? ------------------------ [참고] 12%의 소금물 250 g이 들어있는 용기에서x g의 소금물을 퍼내고 같은 양의 물을 넣었더니농도가 6%가 되었다. 이때 x의 값은?[ https://ywpop.tistory.com/8405 ] 10% 소금물 100 g에 들어있는 소금의 질량= 100 g × (10 / 100) = 10 g( 참고 https://ywpop.tistory.c.. 2025. 2. 26. 등온 가역 팽창 일. 3.50 mol ideal gas 450 K 5.00 bar 1.00 bar 등온 가역 팽창 일. 3.50 mol ideal gas 450 K 5.00 bar 1.00 bar 3.50 mol of an ideal gas is expanded from 450 Kand an initial pressure of 5.00 barto a final pressure of 1.00 bar, and Cp = 5/2R.Calculate w for the following two cases.a) The expansion is isothermal and reversible.b) The expansion is adiabatic and reversible. 3.50 mol 이상기체가 450 K 및초기 압력 5.00 bar에서 최종 압력 1.00 bar로 팽창하고,Cp = 5/2R 이다.. 2025. 2. 16. 1000 ppm 용액 100 mL를 희석하여 2 μg/mL 용액으로 만들기 1000 ppm 용액 100 mL를 희석하여 2 μg/mL 용액으로 만들기 ------------------------ (2 μg/mL) (1 mg / 1000 μg) (1000 mL / 1 L)= 2 mg/L---> 2 μg/mL = 2 mg/L 1 ppm = 1 mg/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2 mg/L = 2 ppm 묽힘법칙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V2 = M1V1 / M2= (1000 ppm) (100 mL) / (2 ppm)= 50000 mL= 50 L 1000 ppm 용액 100 mL에다가최종 용액의 부피가 50 L 되도록.. 2025. 2. 10. 이상기체 19.0 J 열 1.00 atm 50.0 cm3에서 100 cm3로 내부에너지 변화 이상기체 19.0 J 열 1.00 atm 50.0 cm3에서 100 cm3로 내부에너지 변화 이상기체에 19.0 J의 열이 가해졌을 때 압력은 1.00 atm으로 유지되면서 기체의 부피가 50.0 cm3에서 100 cm3로 변하였다. (a) 기체의 내부에너지 변화는 얼마인가? 기체의 양은 2.00×10^(-3) mol이다. (b) Cp와 (c) Cv를 각각 구하여라. ------------------------ V1 = (50.0 cm3) (1 mL / 1 cm3) (1 L / 1000 mL)= (50.0) (1 / 1000)= 0.0500 L V2 = (100) (1 / 1000)= 0.100 L 일정 압력 조건이므로,w = –PΔV( 참고 https://ywpop.t.. 2025. 2. 2. 20.9 J heat ideal gas 50.0 cm3 to 100.0 cm3 at 1.00 atm 20.9 J heat ideal gas 50.0 cm3 to 100.0 cm3 at 1.00 atm When 20.9 J was added as heat to a particular ideal gas, the volume of the gas changed from 50.0 cm3 to 100.0 cm3 while the pressure remained at 1.00 atm.(a) By how much did the internal energy of the gas change? If the quantity of gas present was 2.00×10^(-3) mol, find (b) Cp and (c) Cv. ------------------------ V1 = (50.0 cm3) (1.. 2025. 2. 2. 1.0 mol oxygen O2 gas is heated at constant pressure at 0℃ 1.0 mol oxygen O2 gas is heated at constant pressure at 0℃ When 1.0 mol of oxygen (O2) gas is heated at constant pressure starting at 0℃, how much energy must be added to the gas as heat to double its volume? (The molecules rotate but do not oscillate.) 일정한 압력에서 산소(O2) 기체 1.00 mol이 0℃부터 가열될 때 부피가 두 배가 되려면 기체에 열로 가해지는 에너지는 얼마여야 하는가? (분자는 회전하지만 진동은 하지 않는다.) ------------------------ 일.. 2025. 2. 2. 150℃, 0.8 atm에서 0.5 g/m3 NO2의 표준상태에서 ppm 농도 150℃, 0.8 atm에서 0.5 g/m3 NO2의 표준상태에서 ppm 농도 150℃, 0.8 atm에서 NO2 농도가 0.5 g/m3이다.표준상태에서 NO2 농도(ppm)는? ------------------------ [참고] 온도와 압력이 변하는 농도 환산이므로,ppmv로 계산.ppmv = (오염물질의 부피 / 공기의 부피) × 10^6[ https://ywpop.tistory.com/470883 ] 기사문제에선, 표준상태 = 0℃, 1 atm 조건(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41 ) 150℃, 0.8 atm에서,0.5 g/m3 NO2= 0.5 g NO2 / 1 m3 공기 0℃, 1 atm에서,① 0.5 g .. 2025. 1. 23. 20℃, 750 mmHg에서 0.5 ppm NO의 μg/m3 농도 20℃, 750 mmHg에서 0.5 ppm NO의 μg/m3 농도 20℃, 750 mmHg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 ppm이다.이때 NO의 농도(μg/m3)는? 17. 20℃, 750mmHg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ppm이다. 이 때 NO의 농도(μg/m3)는?① 약 463② 약 524③ 약 553④ 약 616 ------------------------ [참고] 기체 ppm[ https://ywpop.tistory.com/5494 ] 0.5 ppm NO= (0.5 mol NO / 10^6 mol 공기) × 10^6 ① 0.5 mol NO의 질량(μg)을 구한다.② 10^6 mol 공기의 부피(m3)를 구한다.③ μg/m3 = ① / ②.. 2025. 1. 23. 20℃, 750 mmHg에서 0.5 ppm NO의 μg/Sm3 농도(273.15로 계산) ★ 20℃, 750 mmHg에서 0.5 ppm NO의 μg/Sm3 농도(273.15로 계산) 20℃, 750 mmHg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 ppm이다.이때 NO의 농도(μg/Sm3)는? 17. 20℃, 750mmHg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ppm이다. 이 때 NO의 농도(μg/Sm3)는?① 약 463② 약 524③ 약 553④ 약 616 [참고] 온도와 압력이 변하는 농도 환산이므로,ppmv로 계산.---> (오염물질의 부피 / 공기의 부피) × 10^6[ https://ywpop.tistory.com/470883 ] 0.5 ppm NO= (0.5 L NO / 10^6 L 공기) × 10^6 Sm3 이므로,( 참고: Sm3 https.. 2025. 1. 22. 20℃, 750 mmHg에서 0.5 ppm NO의 μg/Sm3 농도(273으로 계산) 20℃, 750 mmHg에서 0.5 ppm NO의 μg/Sm3 농도(273으로 계산) 20℃, 750 mmHg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 ppm이다.이때 NO의 농도(μg/Sm3)는? 17. 20℃, 750mmHg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ppm이다. 이 때 NO의 농도(μg/Sm3)는?① 약 463② 약 524③ 약 553④ 약 616 ------------------------ [참고] 온도와 압력이 변하는 농도 환산이므로,ppmv로 계산.---> (오염물질의 부피 / 공기의 부피) × 10^6[ https://ywpop.tistory.com/470883 ] 0.5 ppm NO= (0.5 L NO / 10^6 L 공기) × 10^6 Sm.. 2025. 1. 22. 이전 1 2 3 4 5 6 ··· 127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