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69

Ca(OH)2 포화용액 100 mL 0.4 M HCl 10 mL 소모 Ca(OH)2 포화용액 100 mL 0.4 M HCl 10 mL 소모 Ca(OH)2 포화용액 100 mL를 취해 0.4 M HCl로 적정하였더니 10 mL 소모. Ca(OH)2의 용해도(g/100 mL)를 구하시오. --------------------------------------------------- (0.4 mol/L) (10/1000 L) = 0.004 mol HCl ---> 적정에 소모된 HCl의 몰수 2HCl + Ca(OH)2 → CaCl2 + 2H2O HCl : Ca(OH)2 = 2 : 1 = 0.004 mol : ? mol ? = 0.004 / 2 = 0.002 mol Ca(OH)2 ---> 0.004 mol HCl과 반응한 Ca(OH)2의 몰수 = 포화용액 100 mL에 존재하는 Ca.. 2021. 10. 1.
0.05 M CaCl2 용액의 퍼센트농도 0.05 M CaCl2 용액의 퍼센트농도 단, 용액의 밀도 = 1.1 g/mL CaCl2의 몰질량 = 110.98 g/mol --------------------------------------------------- ※ 용액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용액의 농도는 용액의 양(부피)에 상관없다, 같다. 0.05 M CaCl2 용액 = 0.05 mol CaCl2 / 1 L 용액 0.05 mol CaCl2의 질량을 계산하면, 0.05 mol × (110.98 g/mol) = 5.549 g CaCl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 L 용액의 질량을 계산하면, 1000 mL × (1.1 g/mL) = 1100 g 용액 %농도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0 = (.. 2021. 9. 30.
0.1 N K2Cr2O7 용액 1 L 만들기 (당량수 6) 0.1 N K2Cr2O7 용액 1 L 만들기 (당량수 6) 아래 반응식을 보고 0.1 N K2Cr2O7 용액 1 L를 제조하시오. K2Cr2O7 + 6KI + 14HCl → 2CrCl3 + 8KCl + 7H2O + 3I2 --------------------------------------------------- K2Cr2O7 → 2CrCl3 > K2Cr2O7에서 Cr의 산화수 = +6 > CrCl3에서 Cr의 산화수 = +3 > Cr의 산화수는 +6에서 +3으로, 3만큼 감소. > Cr의 개수가 2개이므로, 이동한(얻은) 전자의 개수(몰수)는 6. > 2Cr^6+ + 6e^- → 2Cr^3+ ---> K2Cr2O7의 당량수 = 6 eq/mol 또는 용매(H2O), 촉매(HCl), 구경꾼 이온(K^+, .. 2021. 9. 30.
12.00 M 염산 35.7 mL를 250 mL로 묽혔다면 12.00 M 염산 35.7 mL를 250 mL로 묽혔다면 12.00 M 염산 35.7 mL를 250 mL로 묽혔다면 이 용액의 농도는 얼마인가? --------------------------------------------------- 묽힘법칙,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2.00 M) (35.7 mL) = (? M) (250 mL) ? = (12.00) (35.7) / (250) = 1.7136 M 답: 1.71 M 2021. 9. 30.
95% H2SO4를 50% H2SO4 용액으로 희석 95% H2SO4를 50% H2SO4 용액으로 희석 95% H2SO4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50% H2SO4 용액을 만들려고 한다. 이때 H2SO4와 증류수는 각각 얼마나 필요한가? --------------------------------------------------- 가령, 50% H2SO4 용액 100 g을 만든다면,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95%) (? g) = (50%) (100 g) ? = (50) (100) / (95) = 52.6 g 답: 95% H2SO4 52.6 g, 증류수 47.4 g 즉, 95% H2SO4 : 증류수 = 52.6 : 47.4 질량비로 혼합하면, 50% H2SO4 용액이 된다. 2021. 9. 29.
8.61 M H2SO4 용액으로 1.75 M H2SO4 용액 500 mL 만들기 8.61 M H2SO4 용액으로 1.75 M H2SO4 용액 500 mL 만들기 --------------------------------------------------- MV = M’V’ (진한 용액의 농도) (진한 용액의 양) = (묽은 용액의 농도) (묽은 용액의 양)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8.61 M) (? mL) = (1.75 M) (500 mL) ? = (1.75) (500) / (8.61) = 101.63 mL ≒ 102 mL 8.61 M H2SO4 용액 102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500 mL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다. 또는 500 mL 부피 플라스크에다가 8.61 M H2SO4 용액 102 mL를 옮기고 플라스크 표선까지 증류수를 .. 2021. 9. 28.
200 mL 물에 NaCl CaCO3 각각 20 ppm 50 ppm 제조 200 mL 물에 NaCl CaCO3 각각 20 ppm 50 ppm 제조 200 mL의 물에 염화나트륨(NaCl)과 탄산칼슘(CaCO3)의 농도를 각각 20 ppm과 50 ppm으로 제조하고자 한다. 이때 주입해야 하는 염화나트륨과 탄산칼슘의 양(mg 또는 g)은 얼마인가? --------------------------------------------------- 1 ppm = 1 mg/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20 ppm, 50 ppm 정도면, 매우 묽은 용액이므로, “용매의 부피 ≒ 용액의 부피” 라고 근사처리한다. 20 ppm = 20 mg NaCl / 1 L 용액 20 ppm = ? mg NaCl / 0.200 L 용액 ? = 20 × 0.200 =.. 2021. 9. 27.
100 ppm Br^-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NaBr의 질량 100 ppm Br^-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NaBr의 질량 1 L의 부피 플라스크에 100 ppm 농도의 브롬이온(Br^-)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브롬화나트륨(NaBr)의 양(mg 혹은 g) --------------------------------------------------- 1 ppm = 1 mg/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100 ppm = 100 mg/L = 100 mg Br^- / 1 L 용액 > NaBr의 몰질량 = 102.89 g/mol > Br의 몰질량 = 79.90 g/mol 100 mg = 0.1 g Br을 포함하는 NaBr의 질량을 계산하면, 0.1 g Br × (102.89 g NaBr / 79.90 g Br) = 0.1.. 2021. 9. 27.
1.5 mg/L를 ppm 및 ppb 농도로 1.5 mg/L를 ppm 및 ppb 농도로 하천시료 내 BOD 농도가 1.5 mg/L였다면 ppm 및 ppb 농도는 얼마인가? --------------------------------------------------- 1 ppm = 1 mg/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1.5 mg/L = 1.5 ppm 1 ppm = 1000 ppb 이므로, 1.5 ppm × (1000 ppb / 1 ppm) = 1500 ppb 2021. 9. 27.
NaOH 0.4 g을 물에 녹여 500 mL 용액을 제조 NaOH 0.4 g을 물에 녹여 500 mL 용액을 제조 NaOH 0.4 g을 물에 녹여 500 mL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의 ppm, M(몰농도), N(노르말농도)는 얼마인가? --------------------------------------------------- NaOH의 몰질량 = 40.00 g/mol 이므로, 0.4 g / (40.00 g/mol) = 0.01 mol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0.01 mol / 0.500 L = 0.02 M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몰농도 = 노르말농도 = 0.02 N 1 ppm = 1 mg/L 이므로.. 2021.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