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92 미지 HCl 용액 10.00 mL 적정에 0.5 M NaOH 용액 18.00 mL 소비 미지 HCl 용액 10.00 mL 적정에 0.5 M NaOH 용액 18.00 mL 소비 ---------------------------------------------------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 M) (10.00 mL) = (0.5 M) (18.00 mL) ? = (0.5 M) (18.00 mL) / (10.00 mL) = 0.9 M 답: 0.9 M 2021. 10. 13. NaOH 수용액의 몰농도, a = (w/40) / (V/1000) NaOH 수용액의 몰농도, a = (w/40) / (V/1000) (가) NaOH(s) w g을 물 100 mL에 모두 녹인다. (나) (가)의 수용액을 모두 V m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표시선까지 물을 넣는다. (나)에서 만든 NaOH(aq)의 몰농도는? 단, NaOH의 화학식량은 40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용질 mol수 = 용질 질량 / 용질 화학식량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문제에서 주어진 자료 > 용질 질량 = w > 용질 화학식량 = 40 > 부피 플라크스 부피(= 용액 부피.. 2021. 10. 13. 0.1 N KMn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KMnO4의 질량 (산성용액) 0.1 N KMn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KMnO4의 질량 (산성용액) 황산제1철을 산성용액 중에서 KMnO4 표준용액으로 적정할 때 0.1 N KMnO4 500 mL를 조제하는데 필요한 순수한 KMnO4의 양은? 단, KMnO4의 몰질량 = 158.03 g/mol --------------------------------------------------- 0.1 N KMnO4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KMnO4의 eq수를 계산하면, (0.1 eq/L) × 0.500 L = 0.05 eq KMn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산성 용액에서, KMnO4의 당량수 = 5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 2021. 10. 13. NaOH 4 g 중화에 0.1 N H2SO4 20 mL 소비 NaOH 4 g 중화에 0.1 N H2SO4 20 mL 소비 공업용 NaOH의 순도를 알고자 4 g을 물에 용해시켜 1 L로 하고 그중 25 mL를 취하여 0.1 N H2SO4로 중화시키는데 20 mL가 소요되었다. NaOH의 순도는? --------------------------------------------------- (0.1 eq/L) × (20/1000 L) = 0.002 eq H2SO4 1당량 대 1당량 반응하므로, 25 mL에 들어있는 NaOH의 eq수 = 0.002 eq 25 mL : 0.002 eq = 1000 mL : ? eq ? = 0.002 × 1000 / 25 = 0.08 eq ---> 1 L에 들어있는 NaOH의 eq수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고, ( 참고 h.. 2021. 10. 13. 25℃, 1 atm에서 100 ppm CO2의 mg/m3 농도 25℃, 1 atm에서 100 ppm CO2의 mg/m3 농도 25℃, 1 atm인 공기 중에 존재하는 CO2의 농도가 100 ppm일 때,1 m3인 공기에 존재하는 CO2의 질량 100 ppm CO2= (100 mol CO2 / 10^6 mol 공기) × 10^6( 참고 https://ywpop.tistory.com/5494 ) 이므로,① 100 mol CO2의 질량(단위: mg)을 구하고,② 10^6 mol 공기의 부피(단위: m3)를 구해서,③ ①값 나누기 ②값 하면 된다. (mg / m3) 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100 mol CO2의 질량을 계산하면,100 mol × (44 g/mol) × (10^3 mg / 1 g)= 100 × (44).. 2021. 10. 11. 0.1 M NaOH 100 mL를 중화에 필요한 0.1 N H2SO4의 부피(mL) 0.1 M NaOH 100 mL를 중화에 필요한 0.1 N H2SO4의 부피(mL) NaOH 0.1 M 100 mL를 중화하는데0.1 N H2SO4 몇 mL가 소비되는가?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1 M NaOH = 0.1 N NaOH NV = N’V’ = eq(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1 N) (? mL) = (0.1 N) (100 mL) ? = (0.1) (100) / (0.1) = 100 mL 답: 100 mL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 2021. 10. 11. 11.3 M HCl 용액으로 1 M HCl 용액 1000 mL 만들기 11.3 M HCl 용액으로 1 M HCl 용액 1000 mL 만들기 11.3 M 용액으로 1 M 용액 1000 mL 만들기 --------------------------------------------------- ▶ 참고: 35% 염산(d 1.18, FW 36.46) 시약으로 1 M HCl 용액 1 L 만들기 [ https://ywpop.tistory.com/8829 ] --------------------------------------------------- 묽힘법칙 MV = M’V’ = mol (진한 용액의 농도) (진한 용액의 양) = (묽은 용액의 농도) (묽은 용액의 양)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1.3 M) (? mL) = (1 M) (10.. 2021. 10. 9. 37% HCl 시약(d 1.19, FW 36.46)으로 5 N HCl 용액 100 mL 만들기 37% HCl 시약(d 1.19, FW 36.46)으로 5 N HCl 용액 100 mL 만들기 5 N HCl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37% HCl 시약의 부피 --------------------------------------------------- [필요한 시약의 부피 계산 공식] 시약의 부피(mL) = 노르말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5 × 0.100 × 36.46 / (37/100) / 1.19 = 41.4 m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91 ) [용액 제조 방법] 1) 제조하려는 용액의 부피에 해당하는 부피 플라스크에다가 제조하려는 용액의 부피의 대략 1/2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한다. 2) 위에서 계산한 시약의 부.. 2021. 10. 7. A물질을 DMSO에 녹여 1 mM stock solution 5 mL 만들기 A물질을 DMSO에 녹여 1 mM stock solution 5 mL 만들기 A물질을 DMSO에 녹여 1 mM의 stock solution 5 mL 만들 때, A물질 몇 mg을 5 mL의 DMSO에 녹이면 되는지 풀이과정을 포함하여 답하시오. (A의 MW = 426) --------------------------------------------------- 1 mM = 0.001 M (0.001 mol/L) (5/1000 L) = 5×10^(-6) mol A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5×10^(-6) mol) (426 g/mol) = 0.00213 g = 2.13 mg A 2.13 mg A물질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5 mL 되도록 DMSO를 가한다. 끝. 2021. 10. 7. 20 g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1 L 용액의 몰농도와 몰분율 20 g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1 L 용액의 몰농도와 몰분율 CaCO3 용액의 밀도는 1.12 g/mL라고 가정한다. --------------------------------------------------- CaCO3의 몰질량 = 100.09 g/mol ≒ 100 g/mol 이므로, 20 g / (100 g/mol) = 0.2 mol CaC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0.2 mol / 1 L = 0.2 M 1000 mL × (1.12 g/mL) = 1120 g 용액 1120 – 20 = 1100 g 용매(H2O) H2O의 몰질량 = 18 g/mol 이므로, 1100 / 18 = 61.1 mol H2O 몰분율 = 0... 2021. 10. 7.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 1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