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272

150 mM NaCl 용액 1 L 만들기 150 mM NaCl 용액 1 L 만들기 --------------------------------------------------- ▶ 참고: 2 M NaCl 용액 1 L 만들기 [ https://ywpop.tistory.com/17508 ] --------------------------------------------------- 150 mM = 0.150 M (0.150 mol/L) (1 L) = 0.150 mol NaCl 0.150 mol × (58.44 g/mol) = 8.766 g NaCl [ 용액 제조 방법 ] 1) 제조하려는 용액의 부피에 해당하는 부피 플라스크에다가 위에서 계산한 질량만큼의 NaCl을 넣는다. 2) 제조하려는 용액의 부피의 대략 1/2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해 NaCl을.. 2021. 10. 28.
X의 세포내 포도당의 농도는 1.0 mM X의 세포내 포도당의 농도는 1.0 mM X는 구형의 세균으로, 그 직경(지름)이 1.0 mm이다. X의 세포내 포도당의 농도는 1.0 mM이다. X 내부의 포도당 mole수는? --------------------------------------------------- X의 부피 = 5.0×10^(-4) m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56 ) 1.0 mM = 0.0010 M (0.0010 mol/L) [(5.0×10^(-4))/1000 L] = 5.0×10^(-10)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답: 5.0×10^(-10) mol 2021. 10. 27.
5.5 M 에탄올 용액(d 0.932)의 몰랄농도 5.5 M 에탄올 용액(d 0.932)의 몰랄농도 밀도가 0.932 g/mL인 5.5 M 에탄올(C2H5OH) 수용액의 몰랄농도 단, 에탄올의 몰질량은 46.0 g/mol --------------------------------------------------- ▶ 참고: 몰농도 몰랄농도 환산 [ https://ywpop.tistory.com/1914 ] --------------------------------------------------- 5.5 M 에탄올 용액 = 5.5 mol 에탄올 / 1 L 용액 5.5 mol × (46.0 g/mol) = 253 g 에탄올(용질) 1000 mL × (0.932 g/mL) = 932 g 용액 932 g – 253 g = 679 g 용매(물) 몰랄농도 = 5.. 2021. 10. 26.
0.5 M 아세트산 용액 250 mL 만들기 0.5 M 아세트산 용액 250 mL 만들기 단, 시약의 순도는 98% --------------------------------------------------- [참고] 아세트산, CH3CO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아세트산 용액의 몰농도 = 아세트산 용액의 노르말농도 0.5 M 아세트산 용액 = 0.5 N 아세트산 용액 0.5 M 아세트산 용액 250 mL에 들어있는 순수한 아세트산의 몰수를 계산하면, (0.5 mol/L) × (250/1000 L) = 0.125 mol CH3COOH ( 참고: M = mol/L https://ywpop.tistory.com/7787 ) CH3COOH의 몰질량 = 60.05.. 2021. 10. 26.
0.1 M H2SO4 용액 1 L 중화에 필요한 0.4 M NaOH 용액의 부피 0.1 M H2SO4 용액 1 L 중화에 필요한 0.4 M NaOH 용액의 부피 --------------------------------------------------- > H2SO4는 2가산이므로, a = 2 > NaOH는 1가염기이므로, b = 1 aMV = b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2) (0.1 M) (1 L) = (1) (0.4 M) (? L) ? = [(2) (0.1) (1)] / [(1) (0.4)] = 0.5 L 답: 0.5 L 2021. 10. 24.
용해된 입자의 몰랄농도. 0.45 mol EG + 0.15 mol KBr + 150 g 물 용해된 입자의 몰랄농도. 0.45 mol EG + 0.15 mol KBr + 150 g 물 --------------------------------------------------- EG는 비전해질이므로, 용해전 EG의 몰수 = 용해된 EG의 몰수 = 0.45 mol KBr은 전해질이고, KBr(aq) → K^+(aq) + Br^-(aq) 와 같이 이온화되므로, 용해되어 이온화된 이온의 몰수 = 2 × KBr의 몰수 = 2 × 0.15 mol = 0.30 mol 용해된 전체 입자의 몰수 = 0.45 mol + 0.30 mol = 0.75 mol 용해된 입자의 몰랄농도를 계산하면,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 0.75 .. 2021. 10. 24.
이온의 몰랄농도. 3.50 g NaOH + 175 g 물 이온의 몰랄농도. 3.50 g NaOH + 175 g 물 --------------------------------------------------- NaOH의 몰질량 = 40.00 g/mol 이므로, 3.50 g / (40.00 g/mol) = 0.0875 mol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 NaOH의 몰랄농도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 0.0875 mol / (175/1000 kg) = 0.500 mol/kg = 0.500 m [2] 이온의 몰랄농도 NaOH(aq) → Na^+(aq) + OH^-(aq) 1개 NaOH가 용해되면, 2개 이온이 생성된다. = 1.. 2021. 10. 24.
2.14 g NaCl을 포함하는 0.270 M NaCl 용액의 부피(mL) 2.14 g NaCl을 포함하는 0.270 M NaCl 용액의 부피(mL) 0.270 M 용액으로부터 염화소듐 2.14 g을 얻을 수 있는 용액의 부피(mL) --------------------------------------------------- NaCl의 몰질량 = 58.44 g/mol 이므로, 2.14 g / (58.44 g/mol) = 0.0366 mol Na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0.0366 mol / (0.270 mol/L) = 0.136 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답: 136 mL 2021. 10. 22.
메탄올 25 mL를 클로로포름에 녹여 만든 500 mL 용액 메탄올 25 mL를 클로로포름에 녹여 만든 500 mL 용액 A solution with a final volume of 500.0 mL was prepared by dissolving 25.00 mL of methanol (CH3OH, density = 0.7914 g/mL) in chloroform. a) Calculate the molarity of methanol in the solution. b) The solution has a density of 1.454 g/mL. Find the molality of methanol. --------------------------------------------------- ▶ 참고: 몰농도와 몰랄농도 [ https://ywpop.tistory.com/.. 2021. 10. 22.
0.100 M MgCl2 용액 60.0 mL에 포함된 MgCl2의 몰수 0.100 M MgCl2 용액 60.0 mL에 포함된 MgCl2의 몰수 MgCl2 0.100 M 용액 60.0 mL에 포함된 MgCl2의 몰수 --------------------------------------------------- (0.100 mol/L) (60.0/1000 L) = 0.00600 mol MgCl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답: 0.00600 mol 2021.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