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설탕 2.00 mol을 녹여서 만든 10.0 M 설탕 용액의 부피 설탕 2.00 mol을 녹여서 만든 10.0 M 설탕 용액의 부피 10.0 M 설탕 용액이 있다. 설탕 2.00 mol을 녹여서 만들었다면 이 용액의 부피는 얼마인가?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용액 L수 = 용질 mol수 / 몰농도 = 2.00 mol / (10.0 mol/L) = 0.200 L 답: 0.200 L 또는 200. mL 2022. 3. 18.
0.250 N KMnO4 용액 0.5 L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질량(g) 0.250 N KMnO4 용액 0.5 L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질량(g) potassium permanganate 0.250 N 용액 0.5 L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용질은 몇 g인가? --------------------------------------------------- 0.250 N KMnO4 용액 0.5 L에 들어있는 KMnO4의 eq수를 계산하면, (0.250 eq/L) × 0.5 L = 0.125 eq KMn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KMnO4의 당량수 = 5 eq/mol 이고,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95 ) KMnO4의 몰질량 = 158.03 g/mol 이므로, 0.125 eq KMnO4의 질량을 계산하.. 2022. 3. 18.
500.0 g K3PO4를 포함하는 용액 1.50 L의 몰농도 500.0 g K3PO4를 포함하는 용액 1.50 L의 몰농도 인산 칼륨, K3PO4, 500.0 g을 물에 녹여서 1.50 L의 용액을 만들었다. 몰농도를 계산하여라. 단, K3PO4의 몰질량 = 212.27 g/mol --------------------------------------------------- 500.0 g / (212.27 g/mol) = 2.35549 mol K3P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2.35549 mol / 1.50 L = 1.57 mol/L 답: 1.57 M 2022. 3. 18.
5.85 g의 NaCl (MW 58.0)을 증류수에 녹여서 1.000 L의 소금물 5.85 g의 NaCl (MW 58.0)을 증류수에 녹여서 1.000 L의 소금물 5.85 g의 NaCl (MW 58.0)을 증류수에 녹여서 1.000 L의 소금물을 만들 경우 %, ppm, M, N농도는 각각 얼마인가? --------------------------------------------------- ▶ 참고: 용액의 농도 표시법 [ https://ywpop.tistory.com/2655 ] --------------------------------------------------- 소금물의 밀도 ≒ 물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소금물의 질량 = 1.000 kg % = (5.85 g / 1000. g) × 100 = 0.585% ppm = (5.85 g / 1000. g) × 1.. 2022. 3. 17.
2 M NaOH 용액의 % w/v 농도 2 M NaOH 용액의 % w/v 농도 2 M NaOH 용액은 몇 % (w/v) 용액인가? --------------------------------------------------- 2 M NaOH 용액 = 2 mol NaOH / 1 L 용액 ( 2 M = 2 mol/L ) NaOH의 몰질량 = 23 + 16 + 1 = 40 g/mol 이므로, 2 mol × (40 g/mol) = 80 g NaOH % w/v = (80 g / 1000 mL) × 100 = 8% w/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64 ) 답: 8% (w/v) 2022. 3. 17.
마그네슘(원자량 24) 2.4 mg/dL를 mEq/L로 환산 마그네슘(원자량 24) 2.4 mg/dL를 mEq/L로 환산 --------------------------------------------------- ▶ 참고: 환산인자 [ https://ywpop.tistory.com/3121 ] --------------------------------------------------- > Mg의 몰질량 = 24.31 g/mol ≒ 24 g/mol = 24 mg/mmol > Mg의 당량수 = 2 eq/mol = 2 meq/mmol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 1 L = 10 dL (2.4 mg/dL) (1 mmol / 24 mg) (2 meq / 1 mmol) (10 dL / 1 L) = (2.4) (1 / 24.. 2022. 3. 17.
NaCl의 몰농도. 바닷물 100 mL 당 2.7 g의 NaCl NaCl의 몰농도. 바닷물 100 mL 당 2.7 g의 NaCl 일반적으로 바닷물 100 mL 당 2.7 g의 NaCl이 들어있다. 바닷물에 포함된 NaCl의 몰농도는 얼마인가? --------------------------------------------------- NaCl의 몰질량 = 58.44 g/mol 이므로, 2.7 g NaCl의 몰수를 계산하면, 2.7 g / (58.44 g/mol) = 0.046 mol Na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바닷물 100 mL = 바닷물 0.100 L ---> 0.100 L 용액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046 mol / 0.1.. 2022. 3. 15.
98% H2SO4 시약 5 mL를 희석하여 만든 용액 1 L의 몰농도 98% H2SO4 시약 5 mL를 희석하여 만든 용액 1 L의 몰농도 단, FW 98, d 1.8 --------------------------------------------------- 시약 5 mL에 들어있는 순수한 H2SO4의 몰수를 계산하면, 5 mL × (98/100) × (1.8 g/mL) × (1 mol / 98 g) = 5 × (98/100) × (1.8) × (1 / 98) = 0.09 mol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0.09 mol / 1 L = 0.09 M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7615 ] 98% 황산 시약(d 1.84, FW 98.08)으로 0.05 M H2SO4 용액 250 mL 만들기 2022. 3. 15.
20.0 mM EDTA 용액 0.500 L 만들기 20.0 mM EDTA 용액 0.500 L 만들기 20.0 mM EDTA 용액 0.500 L 제조에 필요한 Na2H2(EDTA)*2H2O (FM 372.24 g/mol)의 질량(g) 이 용액에서 Na^+의 몰농도 --------------------------------------------------- 20.0 mM = 0.0200 M 0.0200 M EDTA 용액 0.500 L에 들어있는 EDTA의 몰수를 계산하면, (0.0200 mol/L) × 0.500 L = 0.01 mol EDTA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준비된 EDTA 시약의 몰질량 = 372.24 g/mol 이므로, 0.01 mol EDTA의 질량을 계산하면, 0.01 mol × (372.24 g.. 2022. 3. 14.
2 M HNO3 용액 250 mL 제조에 필요한 70% HNO3 시약의 질량 2 M HNO3 용액 250 mL 제조에 필요한 70% HNO3 시약의 질량 HNO3의 MW = 63 --------------------------------------------------- 2 M HNO3 용액 250 mL에 들어있는 순수한 HNO3의 몰수를 계산하면, (2 mol/L) (250/1000 L) = 0.5 mol HN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HNO3의 몰질량 = 63 g/mol 이므로, 0.5 mol HNO3의 질량을 계산하면, 0.5 mol × (63 g/mol) = 31.5 g HN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31.5 g HNO3를 포함하는 70% HNO3 시약의 질량을 계산하면, 31.5.. 2022.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