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2

0.4 M HCl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36.5% HCl 시약(d 1.25)의 부피 0.4 M HCl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36.5% HCl 시약(d 1.25)의 부피 단, HCl의 분자량 = 36.5 --------------------------------------------------- 0.4 M HCl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순수한 HCl의 질량을 계산하면, (0.4 mol/L) (0.500 L) (36.5 g/mol) = 7.3 g HCl 7.3 g HCl을 포함하는 36.5% HCl 시약의 질량을 계산하면, 7.3 g / (36.5/100) = 20 g 시약 질량을 부피로 환산하면, 20 g / (1.25 g/mL) = 16 mL 시약 공식으로 검산하면,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4 × 0.5.. 2022. 3. 8.
NaCl (분자량=58.5) 87 g/L는 몇 몰인가 NaCl (분자량=58.5) 87 g/L는 몇 몰인가? --------------------------------------------------- ▶ 87 g/L 농도 설명 > 87 g/L = 87 g NaCl / 1 L 용액 ---> 용액 1 L에 포함된 NaCl의 질량 = 87 g ---> 87 g NaCl의 몰수를 계산하라는 문제. NaCl의 몰질량 = 58.5 g/mol 이므로, 87 g NaCl의 몰수를 계산하면, 87 g / (58.5 g/mol) = 1.487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답: 1.5 mol 2022. 3. 8.
질량백분율과 몰분율. 용질의 몰질량이 같은 두 수용액 질량백분율과 몰분율. 용질의 몰질량이 같은 두 수용액 [용액 1] 아세트산 5 g + 물 50 g [용액 2] 요소 10 g + 물 100 g 단, 아세트산과 요소의 분자량은 같다. --------------------------------------------------- > 아세트산과 요소의 몰질량 = 60 g/mol > 물의 몰질량 = 18 g/mol n = W /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분율 = 용질 몰수 / (용질 몰수 + 용매 몰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9 ) [용액 1] 질량백분율 = [5 / (5 + 50)] × 100 = 9.091% > 아세트산의 몰수 = 5 / 60 = 0.083 > 물의 몰수 .. 2022. 3. 3.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3.5 g을 포함한 1 L 용액의 몰농도와 노르말농도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3.5 g을 포함한 1 L 용액의 몰농도와 노르말농도 ---------------------------------------------------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Na2S2O3*5H2O의 몰질량 = 248.18 g/mol 이므로, 3.5 g / (248.18 g/mol) = 0.0141 mol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0.0141 mol / 1 L = 0.0141 M Na2S2O3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30 ) 몰농도 = 노르말농도 = 0.0141 N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7987 ] 티오황산나트륨과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의 차이 [ 관련 글.. 2022. 2. 21.
95.5% H2SO4 용액(d 1.84, FW 98)의 노르말농도 95.5% H2SO4 용액(d 1.84, FW 98)의 노르말농도 --------------------------------------------------- ▶ 참고: 95% 황산(d 1.84, FW 98) 용액의 몰농도, 노르말농도 [ https://ywpop.tistory.com/9197 ] --------------------------------------------------- [% → M] 변환공식으로 몰농도를 계산하면,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95.5 / 98) × 1.84 × 10 = 17.9306 M H2S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몰농도 × 2 = 노르말농도 17.9306 M × 2 = 35.8612 N 답: 35.86 N [키워드] 9.. 2022. 2. 20.
NaOH의 노르말농도. 120 g NaOH가 들어있는 2 L 용액 NaOH의 노르말농도. 120 g NaOH가 들어있는 2 L 용액 --------------------------------------------------- ▶ 참고: 10 g NaOH를 물에 용해시켜 만든 2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 https://ywpop.tistory.com/20331 ] ---------------------------------------------------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고,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120 g / (40 g/mol) × (1 eq/mol) = 3 eq NaOH 노르말농도 = 용질 eq수 / 용액 L수 = 3 eq / 2 L = 1.5 eq/L 답: 1.5 N 2022. 2. 20.
20 wt% 소금 용액(d 1.10)의 몰농도 20 wt% 소금 용액(d 1.10)의 몰농도 --------------------------------------------------- 소금, NaCl의 몰질량 = 23 + 35.5 = 58.5 g/mol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41 ) = (20 / 58.5) × 1.10 × 10 = 3.76 M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0526 ] 37.2 wt% 염산 용액의 밀도 1.19일 때 몰농도 2022. 2. 18.
37.2 wt% 염산 용액의 밀도 1.19일 때 몰농도 37.2 wt% 염산 용액의 밀도 1.19일 때 몰농도 어떤 염산 용액의 밀도가 1.19 g/cm3이고 농도는 37.2 wt%일 때, 이 용액의 몰농도를 구하는 식은? 단, HCl의 몰질량은 36.5 g/mol이다. ---------------------------------------------------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41 ) = (37.2 / 36.5) × 1.19 × 10 = 12.13 M [참고] 37.2 wt% 용액이란? (37.2 g 용질 / 100 g 용액) 인 용액 또는 (0.372 g 용질 / 1 g 용액) 인 용액 ---> 0.372 g HCl/g (0.372 g HCl / 1 g 용액) (.. 2022. 2. 18.
20 mM Ca^2+를 밀리그램당량과 ppm으로 환산 20 mM Ca^2+를 밀리그램당량과 ppm으로 환산 칼슘(Ca^2+, 원자량 40.1) 농도 20 mM일 경우 밀리그램당량과 ppm으로 환산하시오. --------------------------------------------------- > 20 mM = 0.020 M = 0.020 mol/L 1) 밀리그램당량 (meq/L) Ca^2+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20 mol/L) (2 eq/mol) = 0.040 eq/L = 40 meq/L 2) ppm (mg/L) Ca^2+의 몰질량 = 40.1 g/mol 이므로, (0.020 mol/L) (40.1 g/mol) = 0.802 g/L = 802 mg/L .. 2022. 2. 11.
1 M 아세트산 용액의 함량(질량%) 1 M 아세트산 용액의 함량(질량%) 단, 용액의 밀도는 1 g/mL, CH3COOH의 몰질량은 60 g/mol. --------------------------------------------------- wt% = (몰농도 × 몰질량) / (밀도 × 1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03 ) = (1 × 60) / (1 × 10) = 6% 또는 1 M 아세트산 용액 20 mL에 포함된 아세트산의 몰수를 계산하면, 1 M 용액 = ? mol 용질 / (20/1000 L 용액) ? = 0.02 mol CH3COOH(용질) 용액의 밀도 = 1 g/mL 이므로, 용액 20 mL = 20 g. 질량 %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0 = [(0.02 mol × (6.. 2022.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