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1 m 포도당 수용액 1000 g에 녹아있는 포도당의 질량 1 m 포도당 수용액 1000 g에 녹아있는 포도당의 질량 1 m 포도당 용액 1000 g에 용해되어있는 포도당의 질량 --------------------------------------------------- 1 m 포도당 수용액 = 1 mol 포도당(용질) / 1 kg 물(용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14 ) 포도당 몰질량 = 180 g/mol 이므로, 1 mol 포도당의 질량 = 180 g 1 m 포도당 수용액의 질량을 계산하면, 180 g(용질) + 1000 g(용매) = 1180 g 용액 용질 : 용액 = 180 g : 1180 g = ? g : 1000 g ? = 180 × 1000 / 1180 = 152.5 g 용질 답: 153 g 2022. 4. 24. NaCl 147.6 mg Hg(NO3)2 28.06 mL 2.000 mL 22.83 mL Cl^- mg/mL NaCl 147.6 mg Hg(NO3)2 28.06 mL 2.000 mL 22.83 mL Cl^- mg/mL The chloride content of blood serum, cerebrospinal fluid or urine can be measured by titration of the chloride with mercuric ion: Hg^2+ + 2Cl^- → HgCl2(aq). When the reaction is complete, excess Hg^2+ reacts with the indicator, diphenylcarbazone, which forms a violet-blue color. a) Mercuric nitrate was standardized by titrating a solut.. 2022. 4. 23. OBr^- 1.00 mL NH3 1.69 mg OBr^- 1.00 mL NH3 1.69 mg 암모니아는 OBr^-와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2NH3 + 3OBr^- → N2 + 3Br^- + 3H2O OBr^- 용액 1.00 mL가 NH3 1.69 mg과 반응하면 OBr^- 용액의 몰농도는 얼마인가? Ammonia reacts with hypobromite, OBr^- as follows: 2NH3 + 3OBr^- → N2 + 3Br^- + 3H2O. What is the molarity of a hypobromite solution if 1.00 mL of the OBr^- solution reacts with 1.69 mg of NH3 (MW 17.03)? --------------------------------------------------.. 2022. 4. 23. 옥살산 10.00 mL 0.01117 M KMnO4 15.44 mL blank 0.04 mL 옥살산 10.00 mL 0.01117 M KMnO4 15.44 mL blank 0.04 mL 미지 옥살산 용액 10.00 mL 적정에 0.01117 M KMnO4 용액 15.44 mL가 소모되었다. 바탕적정에 0.04 mL 소비. 미지 옥살산 용액의 몰농도를 구하시오. A 10.00 mL aliquot of unknown oxalic acid solution required 15.44 mL of 0.01117 M KMnO4 solution to reach the purple end point. A blank titration of 10.00 mL of similar solution containing no oxalic acid required 0.04 mL to exhibit detectable colo.. 2022. 4. 23. 0.3 M NaOH 용액 100 mL 만들기 0.3 M NaOH 용액 100 mL 만들기 A조는 적정실험을 위하여 0.3 M NaOH 표준수용액 100 mL가 필요하다. 부피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이를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그리고 정확하게 설명하시오. (단, A조에게 주어진 부피플라스크는 100 mL이고, NaOH의 몰질량은 40 g/mol.)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NaOH의 질량(g)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0.3 × 0.100 × 40 = 1.2 g ※ 시약의 순도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순도/100) 생략.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504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2022. 4. 23. 3 M H3PO4 용액의 노르말농도 3 M H3PO4 용액의 노르말농도 3 M 인산 용액의 규정농도는 얼마인가? --------------------------------------------------- 몰농도 × 당량수 = 노르말농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인산, H3PO4의 당량수 = 3 eq/mol 이므로, 3 M × 3 = 9 N 답: 9 N 2022. 4. 22. 12 g KOH를 포함한 5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12 g KOH를 포함한 5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 KOH의 몰질량 = 56.11 g/mol 이고, K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12 g KOH의 eq수를 계산하면, (12 g) (1 mol / 56.11 g) (1 eq / 1 mol) = 0.214 eq KOH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노르말농도 = 용질 eq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131 ) = 0.214 eq / 0.500 L = 0.428 eq/L 답: 0.428 N 2022. 4. 22. Na2C2O4 sample 50.0 mL 0.02 M KMnO4 20.0 mL 0.05 mL Na2C2O4 sample 50.0 mL 0.02 M KMnO4 20.0 mL 0.05 mL 옥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미지 시료 50.0 mL 적정에 0.02 M KMnO4 표준 용액 20.0 mL 소모. 증류수 50.0 mL를 사용한 바탕 적정에 KMnO4 표준 용액 0.05 mL 소모. 미지 시료에 포함된 옥살산나트륨의 질량(g)을 구하시오. KMnO4 표준 용액의 소비량을 바탕 보정하면, 20.0 mL – 0.05 mL = 19.95 mL ( 참고: 바탕 적정 https://ywpop.tistory.com/20198 ) (0.02 mol/L) (19.95/1000 L) = 0.000399 mol ---> 적정 반응에 소모된 KMnO4의 몰수 [참고] KMnO4의 몰질량 = 158.03 g/mol 0... 2022. 4. 22. 1.5 mol HCl 수용액에 존재하는 이온의 몰수 1.5 mol HCl 수용액에 존재하는 이온의 몰수 --------------------------------------------------- HCl은 강산이므로,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하면, HCl(aq) → H^+(aq) + Cl^-(aq)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75 ) HCl 1 mol당 총 2 mol의 이온이 생성되므로, HCl : 이온 = 1 : 2 = 1.5 mol : ? mol ? = 2 × 1.5 = 3.0 mol 답: 3.0 mol 2022. 4. 21. 시료 중 Cl^- 이온 적정에 0.100 M Ag^+ 20.0 mL 필요 시료 중 Cl^- 이온 적정에 0.100 M Ag^+ 20.0 mL 필요 시료 중 Cl^- 이온 적정에 0.100 M Ag^+ 20.0 mL가 필요, a) 시료 중 녹아있는 Cl^-의 질량(g)은? b) 시료의 질량이 10.0 g이라면, Cl^-의 질량 백분율은? --------------------------------------------------- (0.100 mol/L) (20.0/1000 L) = 0.002 mol A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 적정에 소비된 Ag^+의 몰수 Ag^+(aq) + Cl^-(aq) → AgCl(s) Ag^+ : Cl^-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0.002 mol Ag^+와 반응한 Cl^-의 몰.. 2022. 4. 21.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1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