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0.5 m 포도당 용액 100 g 속 포도당의 질량(g) 0.5 m 포도당 용액 100 g 속 포도당의 질량(g) 단, 포도당의 분자량 = 180 --------------------------------------------------- 0.5 m = 0.5 mol 포도당 / 1 kg 용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0.5 mol × (180 g/mol) = 90 g 포도당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90 g + 1000 g = 1090 g 용액 포도당 : 용액 = 90 g : 1090 g = ? g : 100 g ? = 90 × 100 / 1090 = 8.26 g 답: 8.26 g 2022. 5. 1.
1 M Cu(NO3)2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Cu(NO3)2의 질량(g) 1 M Cu(NO3)2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Cu(NO3)2의 질량(g) --------------------------------------------------- 제조하려는 용액의 양, 즉 부피에 따라 용질의 양이 달라진다. 가령 1 M Cu(NO3)2 용액 1 L를 만든다면, 이 용액 속 용질의 mol수 = (1 mol/L) × 1 L = 1 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필요한 용질의 질량은 Cu(NO3)2의 몰질량 = 187.56 g/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8326 ) 1 mol × (187.55 g/mol) = 187.56 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 2022. 5. 1.
0.1 M HCl 용액과 0.1 M H2SO4 용액의 pH가 다른 값을 갖는 이유 0.1 M HCl 용액과 0.1 M H2SO4 용액의 pH가 다른 값을 갖는 이유 --------------------------------------------------- 용액의 pH는 이온화되는 H^+ 이온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HCl 용액에서 HCl 1개는 H^+ 이온을 1개 내놓고, HCl(aq) → H^+(aq) + Cl^-(aq) H2SO4 용액에서 H2SO4 1개는 H^+ 이온을 거의 2개 가까이 내놓는다. a) H2SO4(aq) → H^+(aq) + HSO4^-(aq) b) HSO4^-(aq) ⇌ H^+(aq) + SO4^2-(aq) 또는 H2SO4(aq) → 2H^+(aq) + SO4^2-(aq) 두 용액의 농도가 같.. 2022. 4. 30.
0.05 M NaOH 용액 250 mL 제조에 필요한 NaOH의 질량 0.05 M NaOH 용액 250 mL 제조에 필요한 NaOH의 질량 단, NaOH의 순도 = 100%, FW = 40.00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NaOH의 질량(g)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0.05 × 0.250 × 40.00 / (100/100) = 0.5 g ※ 시약의 순도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순도/100) 생략.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504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0.05 M NaOH 용액 250 mL 만들기, NaOH 몰농도 기준문서 2022. 4. 30.
탄산염의 농도가 20 g/m3인 물의 노르말농도 탄산염의 농도가 20 g/m3인 물의 노르말농도 탄산 이온, CO3^2-의 g당량수 --------------------------------------------------- CO3^2-의 몰질량 = (12) + 3(16) = 60 g/mol 이고, CO3^2-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CO3^2-의 g당량수를 계산하면, g당량수 = 몰질량 / 당량수 = (60 g/mol) / (2 eq/mol) = 30 g/eq = 30 mg/meq 탄산염의 농도가 20 g/m3인 물의 노르말농도를 계산하면, (20 g/m3) (1 mol / 60 g) (2 eq / 1 mol) (1 m3 / 1000 L) = (20) (1 /.. 2022. 4. 30.
30% 암모니아수(d 0.769, FW 17.03)로 1 M NH3 용액 50 mL 만들기 30% 암모니아수(d 0.769, FW 17.03)로 1 M NH3 용액 50 mL 만들기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1) × (50/1000) × (17.03) / (30/100) / (0.769) = 3.69 mL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0999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30% NH3 몰농도 기준문서, 30% 암모니아 몰농도 기준문서 2022. 4. 29.
KMnO4의 노르말농도. 0.2 g Na2C2O4 + KMnO4 43 mL KMnO4의 노르말농도. 0.2 g Na2C2O4 + KMnO4 43 mL 순수한 0.2 g Na2C2O4를 KMnO4 용액으로 적정하였더니 종말점까지 43 mL가 들어갔다. KMnO4 용액의 노르말농도는? --------------------------------------------------- Na2C2O4의 몰질량 = 134.00 g/mol 이므로 0.2 g Na2C2O4의 몰수를 계산하면, 0.2 g / (134.00 g/mol) = 0.001492537 mol Na2C2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Na2C2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01492537 mo.. 2022. 4. 28.
98% H2SO4(d 1.8, FW 98) 5 mL를 1 L로 희석한 용액의 몰농도 98% H2SO4(d 1.8, FW 98) 5 mL를 1 L로 희석한 용액의 몰농도 시약병에서 98% H2SO4(d 1.8, FW 98) 5 mL를 취한 후 증류수로 희석하여 1 L를 만들었다. 이 용액의 몰농도(M)는? --------------------------------------------------- 5 mL × (1.8 g/mL) = 9 g 시약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60 ) 9 g × (98/100) = 8.82 g H2S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147 ) 8.82 g / (98 g/mol) = 0.09 mol H2S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2022. 4. 28.
물 100 g과 에탄올 C2H5OH 10 g으로 된 용액의 몰농도 물 100 g과 에탄올 C2H5OH 10 g으로 된 용액의 몰농도 단, 총 부피는 110 mL --------------------------------------------------- C2H5OH의 몰질량 = 2(12) + 6(1) + (16) = 46 g/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C2H5OH 10 g의 몰수 = 10 g / (46 g/mol) = 0.217 mol C2H5OH(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총 부피는 110 mL ---> 용액의 부피 = 0.110 L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217 mol / 0.1.. 2022. 4. 28.
10% HCl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36% HCl 시약의 부피(mL) 10% HCl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36% HCl 시약의 부피(mL) --------------------------------------------------- > 36% HCl의 밀도 = 1.1789 g/mL > 10% HCl의 밀도 = 1.0475 g/mL CVD = cvd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711 ) (36%) (? mL) (1.1789 g/mL) = (10%) (100 mL) (1.0475 g/mL) ? = [(10) (100) (1.0475)] / [(36) (1.1789)] = 24.68 mL 답: 24.68 mL [키워드] 퍼센트농도 용액을 부피로 기준문서, CVD = cvd 기준문서 2022. 4.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