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0.445 mol acetic acid를 포함하는 18.0 M 용액의 부피 0.445 mol acetic acid를 포함하는 18.0 M 용액의 부피 What volume in milliliters of 18.0 M acetic acid (HC2H3O2) solution contains 0.445 mol acetic acid? --------------------------------------------------- 0.445 mol / (18.0 mol/L) = 0.0247 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답: 24.7 mL 2022. 5. 5. 2.5 M NaOH 용액 10.0 L 제조에 필요한 NaOH(kg) 2.5 M NaOH 용액 10.0 L 제조에 필요한 NaOH(kg) What mass in kilograms of sodium hydroxide is required to prepare 10.0 L of 2.5 M NaOH? --------------------------------------------------- > NaOH의 몰질량 = 40.00 g/mol (2.5 mol/L) (10.0 L) (40.00 g/mol) = (2.5) (10.0) (40.00) = 1000 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답: 1 kg 2022. 5. 5. 탄산나트륨 10수화물을 가지고 10% 탄산나트륨 용액 만들기 탄산나트륨 10수화물을 가지고 10% 탄산나트륨 용액 만들기 Na2CO3*10H2O 시약으로 10% Na2CO3 용액 만들기 --------------------------------------------------- 10% Na2CO3 용액 = (10 g Na2CO3 / 100 g 용액)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 Na2CO3의 화학식량 = 105.99 > Na2CO3*10H2O의 화학식량 = 286.14 10 g Na2CO3를 포함하는 Na2CO3*10H2O 시약의 질량을 계산하면, 10 g Na2CO3 × (286.14 g Na2CO3*10H2O / 105.99 g Na2CO3) = 10 × (286.14 / 105.99) = 27 g Na2C.. 2022. 5. 3. 30% H2O2 용액(d 1.11)의 노르말농도 ★ 30% H2O2 용액(d 1.11)의 노르말농도 --------------------------------------------------- ※ 용액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용액의 농도는 용액의 양에 상관없다, 용액의 농도는 용액의 양과 무관하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868 ) 퍼센트농도의 정의로부터 30% H2O2 용액 = (30 g H2O2 / 100 g 용액)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이므로... H2O2의 몰질량 = 34.01 g/mol 이고, H2O2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9023 ) 30 g H2O2의 eq수를 계산하면, 30.. 2022. 5. 3. 3% H2O2 용액(d 1.01)의 노르말농도 3% H2O2 용액(d 1.01)의 노르말농도 --------------------------------------------------- ※ 용액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용액의 농도는 용액의 양에 상관없다, 용액의 농도는 용액의 양과 무관하다. 퍼센트농도의 정의로부터 3% H2O2 용액 = (3 g H2O2 / 100 g 용액)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이므로... H2O2의 몰질량 = 34.01 g/mol 이고, H2O2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9023 ) 3 g H2O2의 eq수를 계산하면, 3 g × (1 mol / 34.01 g) × (2 eq / 1 mol) = 3.. 2022. 5. 3. 과산화수소 정량분석. 3% H2O2 10 mL + 0.02 M KMnO4 11 mL 과산화수소 정량분석. 3% H2O2 10 mL + 0.02 M KMnO4 11 mL 과망간산적정법에 의한 과산화수소 정량 ① 3% H2O2(비중 1.01) 10 mL를 피펫으로 정확하게 취하여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눈금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② 위 용액 5 mL를 취하여 25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묽혀서 전체가 대략 100 mL 정도로 되게 한 뒤, H2SO4(1:1) 10 mL를 가한다. ③ 삼각플라스크를 상온에서 뷰렛으로부터 0.02 M KMnO4 표준용액을 천천히 떨어뜨리면서 적정하면 과망간산이온의 자주색이 사라짐. 마지막 한 방울에 의하여 희미한 분홍색이 없어지지 않고 30초 이상 지속되는 점이 종말점이다. 0.02 M KMnO4 표준용액 11 mL를 적정했을 때 반응이 .. 2022. 5. 3. 4.2 g NaHCO3와 완전 반응에 필요한 0.1 M CH3COOH 용액의 부피(L) 4.2 g NaHCO3와 완전 반응에 필요한 0.1 M CH3COOH 용액의 부피(L) 단, NaHCO3 = 84 NaHCO3 + CH3COOH → CH3COONa + CO2 + H2O --------------------------------------------------- 4.2 g / (84 g/mol) = 0.05 mol NaHC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NaHCO3 + CH3COOH → CH3COONa + CO2 + H2O NaHCO3 : CH3COOH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0.05 mol NaHCO3와 반응하는 CH3COOH의 몰수 = 0.05 mol 0.05 mol CH3COOH를 포함하는 0.1 M CH3COOH 용액의 .. 2022. 5. 2. 과산화수소 정량분석. 0.3% H2O2 5 mL + 0.02 M KMnO4 8.2 mL 과산화수소 정량분석. 0.3% H2O2 5 mL + 0.02 M KMnO4 8.2 mL 과망간산적정법에 의한 과산화수소 정량 0.3% H2O2(비중 1.01) 5 mL를 증류수에 묽혀 100 mL 용액을 만들고 H2SO4(1:1) 용액 10 mL를 가한다. 이 용액에 0.02 M KMnO4 용액을 색이 변할 때까지 가하고 들어간 KMnO4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 이때 들어간 KMnO4 용액이 8.2 mL일 때 표정으로 구한 과산화수소의 퍼센트농도는 얼마인가? --------------------------------------------------- ▶ 참고: [실험] 과산화수소의 정량분석. H2O2의 순도 분석 [ https://ywpop.tistory.com/9817 ] ---------------.. 2022. 5. 2. 과망간산칼륨의 표정. 0.07 g Na2C2O4 + 0.02 M KMnO4 10.6 mL 과망간산칼륨의 표정. 0.07 g Na2C2O4 + 0.02 M KMnO4 10.6 mL 0.07 g Na2C2O4를 증류수에 녹여 70 mL 용액을 만들고H2SO4(1:1) 용액 5 mL를 가한다.이 용액에 0.02 M KMnO4 용액을 색이 변할 때까지 가하고들어간 KMnO4 용액의 부피를 측정한다.이때 들어간 KMnO4 용액이 10.6 mL일 때표정으로 구한 과망간산칼륨의 노르말농도는 얼마인가? Na2C2O4의 몰질량 = 133.9985 = 134.00 g/mol 이므로,0.07 g / (134.00 g/mol) = 0.000522388 mol Na2C2O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Balanced reaction2MnO4^.. 2022. 5. 2. 35% 염산 용액 50 g에 들어있는 염화수소의 질량(g) 35% 염산 용액 50 g에 들어있는 염화수소의 질량(g) 35% 염산 50 g에 염화 수소는 몇 g 들어있나? --------------------------------------------------- 50 g 용액 × (35/100) = 17.5 g 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답: 17.5 g [참고] 염산과 염화수소의 차이 > 순물질인 염화수소 기체를 물에 용해시킨 것이 염산. > 염산은 용질인 염화수소를 용매인 물에 용해시킨 균일 혼합물. > 염산 = 염화수소 + 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962 ) [키워드] 염산과 염화수소 기준문서, 염화수소와 염산 기준문서 2022. 5. 1.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1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