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0.1% w/v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20% w/v 용액의 부피 0.1% w/v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20% w/v 용액의 부피 ---------------------------------------------------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진한 용액 속 용질의 질량 = 묽은 용액 속 용질의 질량 (20% w/v) (? mL) = (0.1% w/v) (500 mL) ? = (0.1) (500) / (20) = 2.5 mL 20% w/v 용액 2.5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500 mL 되도록 용매(물)를 가하면, ---> 0.1% w/v 용액 500 mL 2022. 11. 30. 10% w/w 글루코스 용액의 밀도는 1.05 g/mL 10% w/w 글루코스 용액의 밀도는 1.05 g/mL 10% w/w 글루코스 용액의 밀도는 1.05 g/mL이다. 이 용액의 % w/v 농도 및 몰농도를 각각 유효숫자 2자리로 답하라. 10 w/w%의 글루코스 수용액의 밀도는 1.05 g/cm^3이다. 이 수용액의 w/v% 농도 및 몰농도를 각각 유효숫자 2자리로 답하라. (글루코스 = 180) --------------------------------------------------- 10% w/w 글루코스 용액 = (10 g 글루코스 / 100 g 용액)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10 g / (180 g/mol) = 0.056 mol 글루코스 (용질) ( 참고: n = W/M https://yw.. 2022. 11. 29. 20% NaOH 용액의 밀도는 1.2. w/v%, mol/L, ppm 20% NaOH 용액의 밀도는 1.2. w/v%, mol/L, ppm 20 w/w%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밀도는 1.2 g/cm^3이다. 이 수용액의 농도를 w/v%, mol/L, ppm으로 나타내어라. --------------------------------------------------- ▶ 참고: 용액의 농도 표시법 [ https://ywpop.tistory.com/2655 ] --------------------------------------------------- 20 w/w% NaOH 용액 = (20 g NaOH / 100 g 용액) × 100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므로, 20 g / (40 g/mol) = 0.5 mol NaOH 100 g / (1.2 g/mL) = .. 2022. 11. 28. 1.00×10^(-5) M CdCl2 용액 중 Cd^2+의 ppm 농도 1.00×10^(-5) M CdCl2 용액 중 Cd^2+의 ppm 농도 1.00×10^(-5) mol/L CdCl2 용액 중의 Cd^2+ 농도는 몇 ppm인가? --------------------------------------------------- CdCl2(aq) → Cd^2+(aq) + 2Cl^-(aq) CdCl2 : Cd^2+ = 1 : 1 계수비(= 몰수비) ---> CdCl2의 몰수 = Cd^2+의 몰수 Cd의 몰질량 = 112.41 ≒ 112 g/mol 이므로, (1.00×10^(-5) mol/L) (112 g/mol) (1000 mg / 1 g) = (1.00×10^(-5)) (112) (1000) = 1.12 mg/L = 1.12 ppm ( 참고: 1 mg/L = 1 ppm https.. 2022. 11. 25. 0.1276 g water 25.0 mL 0.0633 M NaOH 18.4 mL mol mass 0.1276 g water 25.0 mL 0.0633 M NaOH 18.4 mL mol mass 미지의 일양성자 산 0.1276 g 시료를 물 25.0 mL에 용해시키고 0.0633 M NaOH 용액으로 적정하였다. 당량점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염기의 부피는 18.4 mL였다. a) 산의 몰질량을 계산하시오. A sample of 0.1276 g of an unknown monoprotic acid was dissolved in 25.0 mL of water and titrated with 0.0633 M NaOH. The acid required 18.4 mL of base to reach the equivalence point. a) What i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 2022. 11. 24. 몇배 희석. 20 mg/L를 5 mg/L로 몇배 희석. 20 mg/L를 5 mg/L로 시료 20 mg/L를 5 mg/L로 만들기 위해서는 몇배 희석해야하나? --------------------------------------------------- 희석배수 = 희석전 농도 / 희석후 농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73 ) = 20 / 5 = 4 답: 4배 희석 2022. 11. 23. 2250 mL 6.0 μmol Na2SO4 ppm Na 2250 mL 6.0 μmol Na2SO4 ppm Na 2250 mL 중에 6.0 μmol의 Na2SO4를 포함하는 용액이 있다. 몇 ppm의 Na를 포함하는가? --------------------------------------------------- 6.0 μmol Na2SO4 × (2 μmol Na / 1 μmol Na2SO4) = 6.0 × (2) = 12 μmol Na Na의 몰질량 = 22.99 g/mol 이므로, 12 μmol Na × (22.99 μg/μmol) = 275.88 μg Na (275.88 μg / 2250 mL) (1 mg / 1000 μg) (1000 mL / 1 L) = (275.88 / 2250) (1 / 1000) (1000) = 0.1226 mg/L = 0.1226.. 2022. 11. 23. H2SO4의 g당량수. H2SO4의 g당량 H2SO4의 g당량수. H2SO4의 g당량 H2SO4 이온화 반응식H2SO4(aq) → 2H^+(aq) + SO4^2-(aq)---> H2SO4 1분자당 수소 이온(H^+) 2개 생성---> H2SO4의 당량수 = 2 eq/mol( 참고 https://ywpop.blogspot.com/2024/09/blog-post_12.html ) [참고] 산-염기의 당량수는물에서 이온화될 때 내놓는 H^+ 또는 OH^- 이온의 개수와 같다.( 참고: 산-염기의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3093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H2SO4의 몰질량 = 98.08 g/mol 이고,H2SO4의 당량수 = 2 e.. 2022. 11. 21. 0.125 N H2SO4 24.2 mL 중화에 필요한 0.151 N NaOH의 부피(mL) 0.125 N H2SO4 24.2 mL 중화에 필요한 0.151 N NaOH의 부피(mL) 0.125 M H2SO4 24.2 mL 중화에 필요한 0.151 M NaOH의 부피(mL) --------------------------------------------------- [1] 0.125 N H2SO4 24.2 mL 중화에 필요한 0.151 N NaOH의 부피(mL) NV = N’V’ 산의 eq수 = 염기의 eq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125 N) (24.2 mL) = (0.151 N) (? mL) ? = (0.125) (24.2) / (0.151) = 20.033 mL ---> 답: 20.0 mL [2] 0.125 M H2SO4 24.2 mL 중화.. 2022. 11. 21. 0.00103 M Ca(OH)2 용액의 노르말농도 0.00103 M Ca(OH)2 용액의 노르말농도 --------------------------------------------------- [참고] 산-염기의 노르말농도 [ https://ywpop.tistory.com/3093 ] [참고] 몰농도(M)와 노르말농도(N)의 관계식 몰농도 × 당량수 = 노르말농도 [ https://ywpop.tistory.com/4105 ] --------------------------------------------------- Ca(OH)2는 2가 염기이므로, 또는 Ca(OH)2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0.00103 × 2 = 0.00206 0.00103 M Ca(OH)2 = 0.00206 N Ca(OH)2 [ 관련 글 https://ywpop.ti.. 2022. 11. 21.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