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2

10% 용액과 5% 용액으로 7.5% 용액 만들기 10% 용액과 5% 용액으로 7.5% 용액 만들기 10 w/w% 식염수와 5 w/w% 식염수를 이용하여, 7.5 w/w% 식염수를 만들고 싶다. --------------------------------------------------- ▶ 참고: 퍼킨스 계산법 [ https://ywpop.tistory.com/6115 ] --------------------------------------------------- 10% 7.5 – 5 = 2.5 ↘ ↙ 7.5% ↙ ↘ 5% 10 – 7.5 = 2.5 10 w/w% 식염수 : 5 w/w% 식염수 = 1 : 1 질량비로 혼합. ---> 예를 들어, 각각 100 g씩 혼합하면, 7.5 w/w% 식염수가 된다. 또는 7.5% 용액 100 g 제조에 필요한 10.. 2022. 12. 25.
2 L 물이 들어있는 페트병에 35% 과산화수소수 2 L 물이 들어있는 페트병에 35% 과산화수소수 2 L 물이 들어있는 페트병에 35% 과산화수소수 용액을 얼마만큼 부어야지 1% 용액이 될까? --------------------------------------------------- 물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2 L 물 = 2000 mL 물 = 2000 g 물 묽힘법칙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35%) (x g) = (1%) (2000 + x g) 35x = 2000 + x 34x = 2000 x = 2000 / 34 = 58.8 g 답: 58.8 g [참고] 35% H2O2의 밀도 = 1.1326 g/mL 이므로, 58.8 g / (1.1326 g/mL) = 51.9 mL.. 2022. 12. 22.
1.50 M AgNO3(d 1.10) 용액의 wt% 1.50 M AgNO3(d 1.10) 용액의 wt% 1.50 mol/L 질산은 수용액의 밀도는 1.10 g/cm^3이다. 이 질산은 수용액의 질량 퍼센트 농도를 유효숫자 2자리로 구하라. --------------------------------------------------- > AgNO3의 몰질량 = 169.87 g/mol wt% = (몰농도 × 몰질량) / (밀도 × 1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03 ) = (1.50 × 169.87) / (1.10 × 10) = 23.164% = 23% (유효숫자 2자리) --------------------------------------------------- 몰농도(M)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이므로, ( 참.. 2022. 12. 21.
30% HCl 시약으로 2 M HCl 용액 0.5 L 만들기 30% HCl 시약으로 2 M HCl 용액 0.5 L 만들기 단, 30% HCl 시약의 밀도 = 1.10 g/mL 2.00 mol/L 염산 500 mL 만들 때 질량 퍼센트 농도 30.0% 염산 (밀도 1.10 g/cm^3) 몇 mL 필요한가? 유효숫자 2자리로 구하라.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2.00 × 0.500 × 36.46 / (30.0/100) / 1.10 = 110.48 mL = 1.1×10^2 mL (유효숫자 2자리)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 2022. 12. 21.
13% w/w 식염수 900 g 속 염화나트륨의 mol수 13% w/w 식염수 900 g 속 염화나트륨의 mol수 질량 퍼센트 농도가 13 w/w%인 식염수 900 g에 포함되는 염화나트륨은 몇 mol인가? --------------------------------------------------- 900 g × (13/100) = 117 g NaCl ---> 식염수 900 g 속 염화나트륨의 질량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NaCl의 몰질량 = 58.44 g/mol 이므로, 117 g / (58.44 g/mol) = 2.002 mol Na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답: 2.00 mol 2022. 12. 19.
35% 황산(d 1.26)의 몰농도 35% 황산(d 1.26)의 몰농도 질량 퍼센트 농도 35.0 w/w% 황산의 밀도는 1.26 g/cm^3이다. 이 수용액의 몰농도를 유효숫자 3자리로 구하라. ---------------------------------------------------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35.0 / 98.08) × 1.26 × 10 = 4.4963 M ≒ 4.50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47 ) 2022. 12. 19.
37.0% 농염산 1.19 g/mL 0.500 M HCl 1.00 L 37.0% 농염산 1.19 g/mL 0.500 M HCl 1.00 L 농염산은 중량 백분율에서의 농도 37.0%의 염화수소 수용액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 용액의 밀도는 1.19 g/mL이다. 0.500 M의 HCl 수용액 1.00 L를 부족하지 않게 만들 때는 몇 mL의 농염산이 필요한가?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500 × 1.00 × 36.46 / (37.0/100) / 1.19 = 41.4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2022. 12. 19.
몰농도 몰랄농도 질량농도. 3 g 설탕 + 100 g 물 몰농도 몰랄농도 질량농도. 3 g 설탕 + 100 g 물 --------------------------------------------------- ▶ 참고: 농도 표시법 [ https://ywpop.tistory.com/2655 ] --------------------------------------------------- 수크로스, C12H22O11, 설탕의 몰질량 = 342.30 g/mol 이므로, 3 g / (342.30 g/mol) = 0.008764 mol 설탕 (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용액의 질량 = 3 + 100 = 103 g 용액의 밀도 = 물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용액의 부피 = 103 mL 몰농도 = 용질 mol수 .. 2022. 12. 18.
0.02 N HCl 200 mL + 0.01 N NaOH 5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0.02 N HCl 200 mL + 0.01 N NaOH 5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 (0.02 eq/L) (200/1000 L) = 0.004 eq H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0.01 × (50/1000) = 0.0005 eq NaOH 0.004 eq HCl > 0.0005 eq NaOH 이고, 1당량 대 1당량 반응하므로, 0.004 – 0.0005 = 0.0035 eq HCl ---> 중화 반응 후 남아있는 HCl의 eq수 0.0035 eq / (250/1000 L) = 0.014 N HCl 답: 0.014 N HCl 2022. 12. 16.
2 N HCl 100 mL + 5 N HCl 100 mL 혼합 용액의 노르말농도 2 N HCl 100 mL + 5 N HCl 100 mL 혼합 용액의 노르말농도 --------------------------------------------------- M1V1 + M2V2 = M3V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420 ) (2 N) (100 mL) + (5 N) (100 mL) = (? N) (200 mL) ? = [(2) (100) + (5) (100)] / (200) = 3.5 N 2022.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