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2

분자량 100 비전해질 5 M 수용액 밀도 1.3 g/mL 몰랄농도 분자량 100 비전해질 5 M 수용액 밀도 1.3 g/mL 몰랄농도 분자량이 100인 어떤 비전해질을 물에 녹였더니 5 M 수용액이 되었다. 이 수용액의 밀도가 1.3 g/mL이면, 몇 몰랄농도인가? --------------------------------------------------- ▶ 참고: 몰농도를 몰랄농도로 [ https://ywpop.tistory.com/1914 ] --------------------------------------------------- 5 M 용액 = 5 mol 용질 / 1 L 용액 = 5 mol 용질 / 1000 mL 용액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몰농도와 몰랄농도의 정의상, 분모인 용질의 mol수는 같기 때문에, 용매의.. 2023. 1. 19.
H2S gas ppmw to ppmv H2S gas ppmw to ppmv H2S gas ppmv to ppmw --------------------------------------------------- > 공기의 평균 분자량 = 28.93 g/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07 ) > H2S의 분자량 = 34.08 g/mol ▶ ppm 농도의 정의 ppmw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7 ) 기체 용액 = 기체 용질 + 기체 용매 = H2S + 공기(air) ppm 수준이면, 기체 용질의 양이 매우 작기 때문에, 기체 용질의 양을 무시할 수 있다. ---> 기체 용질 + 기체 용매 ≒ 기체 용매 라고 간주. 즉, ---> H2.. 2023. 1. 18.
46% v/v 에탄올 용액의 몰농도 46% v/v 에탄올 용액의 몰농도 --------------------------------------------------- 46% v/v 에탄올 = (46 mL 에탄올 / 100 mL 용액) × 100 ( 참고: % v/v https://ywpop.tistory.com/3164 ) 에탄올의 밀도 = 0.8 g/mL 이고 에탄올의 몰질량 = 46.07 g/mol 이므로, 46 mL 에탄올의 몰수를 계산하면, (46 mL) (0.8 g/mL) (1 mol / 46.07 g) = (46) (0.8) (1 / 46.07) = 0.799 mol 에탄올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799 mol / 0.100 L = 7.99.. 2023. 1. 16.
10 mg 황산을 포함하는 1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 10 mg 황산을 포함하는 1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황산 10 mg을 증류수에 녹여 100 mL로 하였을 때 노르말농도 H2SO4 10 mg을 증류수에 녹여 100 mL로 하였을 때 이 용액의 규정농도는? 단, H2SO4의 MW = 98 10 mg H2SO4 = 0.010 g H2SO4 H2SO4의 몰질량 = 98.08 g/mol 이고, H2S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10 g H2SO4의 eq수를 계산하면, (0.010 g) (1 mol / 98.08 g) (2 eq / 1 mol) = (0.010) (1 / 98.08) (2) = 0.0002039 eq H2SO4 ---> 0.010 g H2SO4 .. 2023. 1. 14.
농염산 질량 퍼센트 농도 70% 밀도 1.42 농염산 질량 퍼센트 농도 70% 밀도 1.42 농염산의 질량 퍼센트 농도는 70 w/w%, 밀도는 1.42 g/cm^3 이다. 이 농염산의 부피 퍼센트 농도, 몰농도를 유효숫자 3자리로 각각 구하라. --------------------------------------------------- ▶ 참고: 35% 염산의 몰농도 [ https://ywpop.tistory.com/8915 ] --------------------------------------------------- 70% w/w 염산 = (70 g 염산 / 100 g 용액) × 100 70 g 염산의 몰수 = 70 g × (1 mol / 36.46 g) = 70/36.46 mol 100 g 용액의 부피 = 100 g × (1 mL / 1.42.. 2023. 1. 10.
1 L containing 7.8 g NaOH 1 L containing 7.8 g NaOH Determine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s and pOH in 1 L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7.8 g of dissolved sodium hydroxide. --------------------------------------------------- NaOH의 몰질량 = 40.00 g/mol 이므로, 7.8 g / (40.00 g/mol) = 0.195 mol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195 mol / 1 L = 0.195 .. 2022. 12. 30.
85.0% 인산(d 1.689, FW 98.00) 시약으로 1 M H3PO4 용액 1 L 만들기 85.0% 인산(d 1.689, FW 98.00) 시약으로 1 M H3PO4 용액 1 L 만들기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1 × 1 × 98.00 / (85.0/100) / 1.689 = 68.26 mL [참고] 만약 시약병에 밀도가 나오면, 그 값을 사용.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2091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85% 인산 몰농도 기준문서 2022. 12. 28.
0.02 M KMnO4 용액 100 mL 조제하는 방법 0.02 M KMnO4 용액 100 mL 조제하는 방법 크롬을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분석할 때 0.02 M – KMnO4(MW = 158.03)용액을 조제하는 방법은? ① KMnO4 8.1 g을 정제수에 녹여 전량을 100 mL로 한다. ② KMnO4 3.4 g을 정제수에 녹여 전량을 100 mL로 한다. ③ KMnO4 1.8 g을 정제수에 녹여 전량을 100 mL로 한다. ④ KMnO4 0.32 g을 정제수에 녹여 전량을 100 mL로 한다. --------------------------------------------------- 0.02 M KMnO4 용액 100 mL 속에 들어있는 KMnO4의 질량을 계산하면, (0.02 mol/L) (100/1000 L) (158.03 g/mol) = (0.0.. 2022. 12. 28.
4% 용액과 1.2% 용액으로 1.5% 용액 20000 L 만들기 4% 용액과 1.2% 용액으로 1.5% 용액 20000 L 만들기 --------------------------------------------------- 퍼센트 농도는 기본적으로 질량 백분율을 의미하므로, 2000 L와 같이 부피의 양으로는 정확한 계산이 불가능하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64 ) 4% 용액의 부피를 x라 두면, M1V1 + M2V2 = M3V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420 ) (4%) (x L) + (1.2%) (20000 – x L) = (1.5%) (20000 L) 4x + (1.2) (20000) – 1.2x = (1.5) (20000) 2.8x = (1.5) (20000) – (1.2) (20000) .. 2022. 12. 28.
1 M 용액과 0.1 M 용액으로 0.5 M 용액 만들기 1 M 용액과 0.1 M 용액으로 0.5 M 용액 만들기 1 mol/L 염산과 0.1 mol/L 염산을 이용해, 0.5 mol/L 염산을 만들고 싶다. --------------------------------------------------- 0.5 M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1 M 용액의 부피 = x 라 두면, M1V1 + M2V2 = M3V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420 ) (1 M) (x mL) + (0.1 M) (100–x mL) = (0.5 M) (100 mL) x + 10 – 0.1x = 50 0.9x = 40 x = 40 / 0.9 = 44.44 mL 1 mol/L 염산 44.44 mL + 0.1 mol/L 염산 55.56 mL = 0.5 mol.. 2022. 1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