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73 g Al(NO3)3 950. mL 용액 73 g Al(NO3)3 950. mL 용액 73 g Al(NO3)3를 물에 녹여 950. mL 용액을 만들었다. 용액 속 질산염 이온의 농도는 얼마인가? Al(NO3)3의 몰질량 = 213.00 g/mol --------------------------------------------------- 73 g / (213.00 g/mol) = 0.3427 mol Al(NO3)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Al(NO3)3 용액의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0.3427 mol / 0.950 L = 0.361 M Al(NO3)3 이온화 반응식 Al(NO3)3(aq) → Al^3+(aq) + 3NO3^-(aq) Al(NO3)3 : NO3^- = 1 : 3 .. 2022. 11. 11. 1 M NaOH 용액(d 1.2)의 몰랄농도 1 M NaOH 용액(d 1.2)의 몰랄농도 1 M NaOH 용액의 몰랄농도 --------------------------------------------------- ▶ 참고: 몰농도를 몰랄농도로 [ https://ywpop.tistory.com/1914 ] --------------------------------------------------- 1 M 용액 = 1 mol 용질 / 1 L 용액 = 1 mol 용질 / 1000 mL 용액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몰농도와 몰랄농도의 정의상, 분모인 용질의 mol수는 같기 때문에, 용매의 질량(kg)수만 구하면 된다. [1] 용질의 질량 계산 NaOH의 몰질량 = 40.00 g/mol 이므로, 1 mol × .. 2022. 11. 11. 10 lb A (SG 0.879) 20 lb B (SG 0.866) 혼합물 10 lb A (SG 0.879) 20 lb B (SG 0.866) 혼합물 10 lb의 A (SG 0.879, MW 78), 20 lb의 B (SG 0.866, MW 92) 의 혼합물에서, (1) 이 혼합물의 부피 (ft3) (2) 혼합물 10 mL 속 B의 질량 (g) --------------------------------------------------- ▶ 참고: 질량 환산 [ https://ywpop.tistory.com/22440 ] ▶ 참고: 부피 환산 [ https://ywpop.tistory.com/17461 ] --------------------------------------------------- A의 밀도 = 0.879 g/mL 단위를 lb/ft3 단위로 환산하면, (0.879.. 2022. 11. 8. 글루코스(MW 180) 80~120 mg/dL를 SI 단위로 글루코스(MW 180) 80~120 mg/dL를 SI 단위로 혈청 글루코스(MW 180)의 기준범위는 80~120 mg/dL이다. 이것을 SI 단위로 나타내시오. --------------------------------------------------- ▶ 참고: SI 단위 [ https://ywpop.tistory.com/89 ] --------------------------------------------------- ▶ 농도의 SI 단위: mol/m^3 ▶ 글루코스의 몰질량 = 180 g/mol 글루코스의 질량을 몰수로 환산하면, (80 mg) (1 g / 1000 mg) (1 mol / 180 g) = (80) (1 / 1000) (1 / 180) = 0.000444 mol (120) (1 /.. 2022. 11. 6. 150 mL 용액 glucose 30 g/L, hepes 14 g/L, phenol red 0.5 g/L 150 mL 용액 glucose 30 g/L, hepes 14 g/L, phenol red 0.5 g/L 150 mL의 용액 내에 Glucose 30 g/L, Hepes 14 g/L, phenol red 0.5 g/L이 포함되어 있다. 이 용액 제조를 위한 계산 방법을 작성하시오. --------------------------------------------------- 150 mL = 0.150 L > (30 g/L) (0.150 L) = 4.5 g glucose > (14 g/L) (0.150 L) = 2.1 g hepes > (0.5 g/L) (0.150 L) = 0.075 g phenol red ① 100 mL 비커에 위에서 계산한 각 용질을 넣는다. ② 대략 50 mL의 증류수를 가해 용질을 .. 2022. 11. 6. 0.3 wt% H2O2의 몰농도(M) ★ 0.3 wt% H2O2의 몰농도(M)단, 용액의 밀도 = 1.01 g/mL 0.3% H2O2 = (0.3 g H2O2 / 100 g 용액) × 100(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1] 용질의 몰수 계산H2O2의 몰질량 = 34.0147 ≒ 34.01 g/mol 이므로,0.3 g / (34.01 g/mol) = 0.00882 mol H2O2(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 용액의 부피 계산100 g / (1.01 g/mL) = 99.0099 mL 용액 [3] 몰농도 계산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2022. 11. 5. 60% 소금물 90%(단가 1000원/kg) 20%(단가 500원/kg) 60% 소금물 90%(단가 1000원/kg) 20%(단가 500원/kg) 60% 소금물을 만들기 위하여 90% 소금물(단가 1000원/kg)과 20% 소금물(단가 500원/kg)을 혼합하였다. 60% 소금물의 단가는? --------------------------------------------------- 이것은 중학교 1학년 수학 문제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196 ) 가령 60% 소금물을 100 kg 만든다 했을 때, 90% 소금물의 질량 = x kg 이면, 20% 소금물의 질량 = 100–x kg. M1V1 + M2V2 = M3V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420 ) 90x + 20(100–x) = 60(100) 90x + .. 2022. 11. 5. 이온의 노르말농도(N) 이온의 노르말농도(N)양이온과 음이온의 노르말농도(N) 이온 결합 화합물이 이온화될 때( 또는 강산/강염기가 이온화될 때 )생성되는 각 이온의 노르말농도는이온의 계수(= 몰수)와 상관없이,모체 화합물의 노르말농도와 같다. 화합물의 노르말농도= 양이온의 노르말농도= 음이온의 노르말농도 예를 들어,1 N Ca(OH)2 용액 속,Ca^2+ 이온의 노르말농도 = 1 NOH^- 이온의 노르말농도 = 1 N [해설]Ca(OH)2(aq) → Ca^2+(aq) + 2OH^-(aq)이므로, 예를 들어,0.5 M Ca(OH)2 용액 속,[Ca^2+] = 1 × 0.5 M = 0.5 M[OH^-] = 2 × 0.5 M = 1 M > Ca(OH)2의 당량수.. 2022. 11. 5. 0.01 M NaCl 용액 50 mL 만들기 0.01 M NaCl 용액 50 mL 만들기 --------------------------------------------------- ▶ 참고: 2 M NaCl 용액 1 L 만들기 [ https://ywpop.tistory.com/17508 ] --------------------------------------------------- 0.01 M NaCl 용액 50 mL 속 NaCl의 질량 = (0.01 mol/L) (50/1000 L) (58.44 g/mol) = (0.01) (50/1000) (58.44) = 0.02922 g ≒ 0.029 g ( 전자저울 0.000 g 측정가능 ) [용액 제조 방법] 1) 50 mL 부피 플라스크에다가 위에서 계산한 질량만큼의 NaCl을 넣는다. 2) 대략 2.. 2022. 11. 4. 98% 시약으로 1 M H2SO4 용액 500 mL 만들기 98% 시약으로 1 M H2SO4 용액 500 mL 만들기 1 M NaOH 용액 1 L와 중화가능한 H2SO4 용액을 제조하시오. --------------------------------------------------- (1 mol/L) (1 L) = 1 mol NaOH = 1 mol OH^- H^+ + OH^- → H2O 이므로, 1 mol H^+를 포함하는, 즉 0.5 mol H2SO4를 포함하는 용액을 만들면 되는데, 농도 & 부피 조합 방법은 무한대. 가령, (1 mol/L) (0.500 L) = 0.5 mol 이므로, 1 M H2SO4 용액 500 mL를 만들면 된다. 만약 준비된 황산 시약의 순도가 98%라면,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 2022. 11. 3.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1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