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2 퍼센트 농도와 묽힘 법칙 퍼센트 농도와 묽힘 법칙 --------------------------------------------------- ▶ 용액 = 용질 + 용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 ) Q) 물 100 g에 포도당 25 g이 녹아있을 때, 포도당의 퍼센트 농도는? A) 퍼센트 농도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0 = 용질 질량 / (용질 질량 + 용매 질량)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 25 / (25 + 100) × 100 = 20% Q) 10% NaOH 수용액 100 g의 농도를 5%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물의 질량은? A) 묽힘 법칙,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 2023. 2. 14. 6% 설탕물 500 g을 20% 이상의 설탕물로 6% 설탕물 500 g을 20% 이상의 설탕물로 6%의 설탕물 500 g이 있다. 이 설탕물에서 물을 최소 몇 g 이상 증발시키면 20% 이상의 설탕물이 되는지 구하여라. --------------------------------------------------- 6% 설탕물 500 g에 들어있는 설탕의 질량을 계산하면, 500 g × (6/100) = 30 g 설탕(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30 g 설탕을 포함하는 20% 설탕물의 질량을 계산하면, 20% = (30 g / ? g) × 100 ? = 30 / 20 × 100 = 150 g 설탕물(용액) 증발시킬 물(용매)의 질량을 계산하면, 용매 = 용액 – 용질 = 500 – 150 = 350 g 물(.. 2023. 2. 13. NeuAc (FW 309.3) 4 μg을 포함하는 40 μL 용액의 몰농도 NeuAc (FW 309.3) 4 μg을 포함하는 40 μL 용액의 몰농도 NeuAc (FW 309.3) 4 μg이 40 μL에 녹여져 있다면 몇 몰농도(M)에 해당하는가? --------------------------------------------------- μ 단위를 소거하면, 4 μg / 40 μL = 4 g / 40 L 용질의 몰질량 = 309.3 g/mol 이므로, 4 g / (309.3 g/mol) = 0.0129 mol = 0.013 mol 용질(NeuAc)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013 mol / 40 L = 0.000325 m.. 2023. 2. 9. 95% 황산 시약으로 2 M H2SO4 용액 100 mL 만들기 95% 황산 시약으로 2 M H2SO4 용액 100 mL 만들기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2 × (100/1000) × 98.08 / (95/100) / 1.8361 = 11.25 mL ※ 만약 시약병에 밀도가 나오면, 그 값을 사용.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615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95% 황산 몰농도 기준문서 2023. 2. 8. 38.8 mM sodium citrate 용액 30 mL 만들기 38.8 mM sodium citrate 용액 30 mL 만들기 --------------------------------------------------- ▶ 시약 > sodium citrate (dihydrate)의 몰질량 = 294.10 g/mol 38.8 mM = 0.0388 M (0.0388 mol/L) (30/1000 L) (294.10 g/mol) = (0.0388) (30/1000) (294.10) = 0.3423324 g sodium citrate ---> 38.8 mM sodium citrate 용액 30 mL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질량 30 mL짜리 부피 플라스크가 없으므로, 50 mL짜리 메스실린더를 사용한다. 50 mL 메스실린더에 0.3423 g sodium citrate를 가하.. 2023. 2. 4. 35% 염산 700 mL + 65% 질산 100 mL + 물 1000 mL 35% 염산 700 mL + 65% 질산 100 mL + 물 1000 mL 35% 염산 700 mL + 65% 질산 100 mL + 물 1000 mL ---> 혼합한 왕수의 몰수 --------------------------------------------------- HCl의 몰질량 = 36.46 g/mol 이고, 35% HCl의 밀도 = 1.174 g/mL 이므로, 35% 염산 700 mL 속 HCl의 몰수 = (700 mL) (1.174 g/mL) (35/100) (1 mol / 36.46 g) = (700) (1.174) (35/100) (1 / 36.46) = 7.8889 mol HCl HNO3의 몰질량 = 63.01 g/mol 이고, 65% HNO3의 밀도 = 1.391 g/mL 이므로, 6.. 2023. 1. 31. 72℃ 질산칼륨(KNO3) 포화용액 200 g을 18℃로 냉각 ★ 72℃ 질산칼륨(KNO3) 포화용액 200 g을 18℃로 냉각 72℃에서 질산칼륨(KNO3)의 포화용액 200 g을 18℃로 냉각시키면 몇 g의 질산칼륨이 결정으로 석출되는가? (단, 질산칼륨의 용해도(g/100 g)는 18℃에서 30, 72℃에서 150이다.) ① 48 g ② 96 g ③ 120 g ④ 240 g --------------------------------------------------- [포화용액의 질량이 주어진 상황] 단, 용해도로 계산한 질량(250 g)과 다른 경우. ▶ 고체의 용해도의 정의 > 포화 용액에서, 용매 100 g당 용질의 g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320 ) from 질산칼륨의 용해도(g/100 g)는 18℃에서 30, 72℃에서.. 2023. 1. 27. 1.00 M 아세트산 250.0 mL 제조에 필요한 17.4 M 아세트산의 부피 1.00 M 아세트산 250.0 mL 제조에 필요한 17.4 M 아세트산의 부피 17.4 M 아세트산 HC2H3O2 저장 용액으로부터 1.00 M 아세트산 용액 250.0 mL를 만들 때 필요한 저장 용액의 부피는? --------------------------------------------------- 묽힘 법칙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7.4 M) (? mL) = (1.00 M) (250.0 mL) ? = (1.00) (250.0) / (17.4) = 14.3678 mL 답: 14.4 mL 2023. 1. 26. 96% w/w 황산(d 1.84, FW 98)의 노르말농도(N) ★ 96% w/w 황산(d 1.84, FW 98)의 노르말농도(N) 96% w/w 황산 용액 = (96 g 황산 / 100 g 용액) × 100(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H2SO4의 몰질량 = 98 g/mol 이고,H2S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96 g 황산의 eq수를 계산하면,(96 g) (1 mol / 98 g) (2 eq/mol)= (96) (1 / 98) (2)= 1.95918 eq 황산 (용질) 100 g 용액의 부피를 계산하면,100 g / (1.84 g/mL) = 54.3478 mL 용액 노르말농도 = 용질.. 2023. 1. 23. 100 mg/mL를 1 μg/mL로 희석 100 mg/mL를 1 μg/mL로 희석 --------------------------------------------------- > 1 mg = 1000 μg > 1 μg = 0.001 mg ---> 1 μg/mL = 0.001 mg/mL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00 mg/mL) (? mL) = (0.001 mg/mL) (100 mL) ? = (0.001) (100) / (100) = 0.001 mL 100 mg/mL 용액 0.001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100 mL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면, 1 μg/mL 용액 100 mL가 됩니다. 2023. 1. 20.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136 다음 반응형